해석

관련 한자어 10

(1) 耳懸鈴鼻懸鈴 (이현령비현령):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

(2) 不立文字 (불립문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

(3) 長句之學 (장귀지학): 문장(文章)의 장(章)과 …

(4) 傳不習乎 (전불습호): ‘전해 받은 것을 익히지 …

(5) 色讀 (색독): 글을 읽을 때 문장 전체의…

(6) 章句之學 (장구지학): 글의 장과 구의 풀이에만 …

(7) 望文生義 (망문생의): 글을 바라보면서 의미를 생…

(8) 賢母良妻 (현모양처): 어진 어머니이면서 착한 아…

(9) 亡戟得矛 (망극득모): 극(戟)을 잃고 모(矛)를…

(10+) 모두 10개

3

2

1

耳懸鈴鼻懸鈴


이현령비현령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실이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됨을 이르는 말.

해석 관련 한자어 10개 중 1번째

不立文字


불립문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므로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

해석 관련 한자어 10개 중 2번째

長句之學


장귀지학

문장(文章)의 장(章)과 귀(句)의 해석(解釋)에만 치우쳐 전체(全體)의 대의(大意)에는 통(通)하지 않으므로, 중국(中國) 한대(漢代) 훈고학(訓詁學)의 일컬음.

해석 관련 한자어 10개 중 3번째

傳不習乎


전불습호

‘전해 받은 것을 익히지 못했는가?’라는 뜻으로, 스승에게 전수 받은 학문 수양을 게을리 하지 않았는가를 반성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아직 익숙하지 못한 것을 남에게 전해 가르치는 일은 없었는가를 …

해석 관련 한자어 10개 중 4번째

色讀


색독

글을 읽을 때 문장 전체의 의미를 파악하지 아니하고 글자가 표현하는 뜻만을 이해하며 읽음.

해석 관련 한자어 10개 중 5번째

章句之學


장구지학

글의 장과 구의 풀이에만 치우쳐 전체 대의(大意)에는 통하지 않는 학문이라는 뜻으로, 중국 한(漢)나라의 훈고학을 이르는 말.

해석 관련 한자어 10개 중 6번째

望文生義


망문생의

글을 바라보면서 의미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고전을 해석하는데 정밀한 고증을 하지 않고 멋대로 추측하여 판단한다는 행위로 학자가 가장 경계해야 할 부분임.

해석 관련 한자어 10개 중 7번째

賢母良妻


현모양처

어진 어머니이면서 착한 아내.

해석 관련 한자어 10개 중 8번째

亡戟得矛


망극득모

극(戟)을 잃고 모(矛)를 얻는다는 뜻으로, 물건 따위를 얻거나 잃는 데에 있어 그 이해를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해석 관련 한자어 10개 중 9번째

斷章取義


단장취의

남이 쓴 문장이나 시의 한 부분을 그 문장이나 시가 가진 전체적인 뜻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인용하는 일. 또는 그 인용으로 자기의 주장이나 생각을 합리화하는 일.

해석 관련 한자어 10개 중 10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