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 (演劇)
☆☆☆ 명사
1. 배우가 무대 위에서 대본에 따라 관객에게 연기를 보이는 것.
1. PLAY; DRAMA; THEATER: An act in which an actor or actress acts on a stage according to a script for the audience.
-
어린이 연극.
Children's play. -
연극 공연장.
A theatrical performance hall. -
연극 관객.
A theater audience. -
연극 단체.
A theatrical organization. -
연극 대본.
The script for the play. -
연극 배우.
Theater actor. -
연극을 관람하다.
Watch a play. -
연극을 보다.
Watch a play. -
오늘 본 연극은 매우 감동적이었다.
The play i saw today was very moving. -
연극 공연장을 찾는 관객은 영화 관람객에 비해 매우 적다.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theater is very small compared to the number of moviegoers. -
♔
나랑 같이 주말에 연극 보러 갈래?
Would you like to go to the play with me this weekend?
♕ 연극 제목이 뭔데?
What's the title of the play?
2. 다른 사람에게 거짓을 사실인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한 말이나 행동.
2. ACT; PRETENSE; MAKE-BELIEVE: A remark or act designed to make others believe something fake as real.
-
연극을 꾸미다.
Make a play. -
연극을 하다.
Play a play. -
우리는 모두 승규의 연극에 감쪽같이 속았다.
We were all completely deceived by seung-gyu's play. -
아버지는 직장을 잃은 사실을 들키지 않으려고 여태까지 우리에게 회사를 다니는 것처럼 연극을 하셨다.
My father has been acting like he's working for us so far to avoid being caught losing his job. -
♔
지금까지 나를 사랑한 건 모두 연극이었니?
Was it all a play that loved me so far?
♕ 그렇지 않다는 걸 알잖아.
You know it's not.
🗣️ 발음, 활용: • 연극 (
연ː극
) • 연극이 (연ː그기
) • 연극도 (연ː극또
) • 연극만 (연ː긍만
)
📚 파생어: • 연극하다(演劇하다): 배우가 무대 위에서 대본에 따라 관객에게 연기를 보이다., 다른 사…
📚 분류: 대중 문화 주말 및 휴가
🗣️ 연극 (演劇) @ 뜻풀이
- 아트홀 (arthall) : 각종 시설을 갖추고 음악, 연극, 무용 등의 공연을 하는 장소.
- 마당극 (마당劇) : 주로 사회를 고발하는 내용을 담은, 야외에서 하는 연극.
- 신파 (新派) : 시대의 풍속, 사랑, 슬픈 이야기 등을 내용으로 하는 대중적인 연극.
- 무대 예술 (舞臺藝術) : 연극, 음악, 무용 등 무대에서 공연하는 예술.
- 등장하다 (登場하다) : 소설, 연극, 영화 등에 어떤 인물이 나타나다.
- 무언극 (無言劇) : 대사나 음향 효과 등의 소리가 없이 배우의 동작만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연극.
- 엑스트라 (extra) : 영화, 연극, 드라마 등에서 비중이 크지 않은 역. 또는 그 역을 맡은 사람.
- 팬터마임 (pantomime) : 대사 없이 표정과 몸짓만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연극.
- 리바이벌하다 (revival하다) : 이전의 영화, 연극, 노래 등을 다시 상영하거나 공연하다. 또는 그것을 다시 유행시키다.
- 편 (篇) : 책이나 문학 작품, 또는 영화나 연극 등을 세는 단위.
- 만들다 : 영화나 연극 등을 새로 완성하여 내다.
- 가극 (歌劇) : 대사를 음악 연주에 맞추어 노래로 부르는 서양식 연극.
- 상연되다 (上演되다) : 연극, 무용, 음악 등의 공연이 무대에서 행해져 관객에게 보이게 되다.
- 상연하다 (上演하다) : 연극, 무용, 음악 등의 공연을 무대에서 해서 관객에게 보이다.
- 서막 (序幕) : 연극 등에서, 인물과 사건 등을 예비적으로 보여 주는, 처음을 여는 막.
- 서부극 (西部劇) : 19세기 후반 미국의 서부 개척 시대를 배경으로 개척자와 악당의 대결을 그린 영화나 연극.
- 무형 문화재 (無形文化財) : 전통의 연극, 무용, 음악, 공예 기술 등과 같이 구체적인 모습이나 모양이 없는 문화재.
- 프로듀서 (producer) : 영화, 연극, 방송 등에서 기획과 제작에 관한 모든 것을 책임지는 사람.
- 피날레 (finale) : 몇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연극, 음악, 경기 등에서 마지막 부분.
- 피디 (PD) : 영화, 연극, 방송 등에서 기획과 제작에 관한 모든 것을 책임지는 사람.
- 하이라이트 (highlight) : 스포츠, 연극, 영화 등에서 가장 돋보이거나 흥미 있는 장면.
- 배역 (配役) : 영화나 연극, 드라마 등에서, 역할을 나누어 배우에게 맡기는 일. 또는 그 역할.
- 배우 (俳優) : 영화나 연극, 드라마 등에 나오는 인물의 역할을 맡아서 연기하는 사람.
- 배경 음악 (背景音樂) : 영화나 연극, 드라마 등에서 그 장면의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들려주는 음악.
- 배역진 (配役陣) : 영화나 연극, 드라마 등에서, 역할을 나누어 맡은 모든 배우.
- 번안극 (飜案劇) : 외국의 희곡에서 작품의 내용은 그대로 두고 풍속, 인명, 지명 등을 자기 나라에 맞게 고쳐서 공연하는 연극.
- 번역극 (飜譯劇) : 외국의 희곡을 자기 나라 말로 바꾸어 공연하는 연극.
- 주인공 (主人公) : 연극, 영화, 소설 등에서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인물.
- 극 (劇) : ‘연극’이나 ‘드라마’ 등의 뜻을 나타내는 말.
- 주제가 (主題歌) : 영화, 연극, 드라마 등에 들어 있는, 주제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노래.
- 주제곡 (主題曲) : 영화, 연극, 드라마 등에 들어 있는, 주제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곡.
- 대단원 (大團圓) : 영화, 연극, 소설 등에서 복잡한 일들이 해결되고 끝나는 마지막 부분.
- 레퍼토리 (repertory) : 음악가나 극단 등이 공연할 수 있도록 준비한 음악이나 연극 작품 등의 목록.
- 무대극 (舞臺劇) : 관객이 있는 무대에서 하는 연극.
- 극화 (劇化) : 사건이나 이야기 등을 연극, 드라마, 영화 등과 같은 극으로 만듦.
- 촌극 (寸劇) : 아주 짧은 연극.
- 등장인물 (登場人物) : 소설, 연극, 영화 등에 나오는 인물.
- 창극 (唱劇) : 판소리의 형식으로 만들어 여러 사람이 배역을 맡고 노래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진행하는 연극.
- 창작극 (創作劇) : 기존의 작품을 따라 하거나 흉내 내지 않고 새롭게 만든 연극.
- 가면극 (假面劇) : 가면을 쓰고 하는 연극.
- 작가 (作家) : 시, 소설, 연극, 방송 대본, 그림 등을 처음으로 만들어 내는 사람.
- 여주인공 (女主人公) : 소설, 영화, 연극, 드라마 등에서 중심이 되는 역할을 하는 여자.
- 공연 (公演) : 음악, 무용, 연극 등을 많은 사람들 앞에서 보이는 것.
- 어릿광대 : 곡예나 연극 등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나와서 재미있는 말과 행동으로 분위기를 좋게 만드는 사람.
- 공연장 (公演場) : 연극, 음악, 무용 등의 공연을 하는 장소.
- 공연하다 (公演하다) : 음악, 무용, 연극 등을 많은 사람들 앞에서 보이다.
- 공연되다 (公演되다) : 음악, 무용, 연극 등이 많은 사람들 앞에서 보여지다.
- 관객 (觀客) : 운동 경기, 영화, 연극, 음악회, 무용 공연 등을 구경하는 사람.
- 관객석 (觀客席) : 운동 경기, 영화, 연극, 음악회, 무용 공연 등을 구경하는 사람들이 앉는 자리.
- 극본 (劇本) : 영화나 연극, 드라마를 만들기 위해 쓴 글.
- 시연 (試演) : 무용이나 연극 등을 일반 관객에게 보여 주기 전에 특정한 사람들에게 시험 삼아 먼저 보여 줌.
- 역 (役) : 영화나 연극 등에서 배우가 맡아서 하는 인물.
- 역할 (役割) : 드라마, 연극, 영화 등에서 맡은 배역.
- 역할극 (役割劇) : 참가자가 주어진 상황에서 특정한 역할을 맡아 연기하는 연극.
- 연출 (演出) : 영화, 연극, 방송 등에서 각본에 따라 모든 일을 지시하고 감독하여 하나의 작품으로 만드는 일.
- 연출가 (演出家) : 영화, 연극, 방송 등에서 각본에 따라 모든 일을 지시하고 감독하여 하나의 작품으로 만드는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
- 연출자 (演出者) : 영화, 연극, 방송 등에서 각본에 따라 모든 일을 지시하고 감독하여 하나의 작품으로 만드는 일을 하는 사람.
- 연출하다 (演出하다) : 영화, 연극, 방송 등에서 각본에 따라 모든 일을 지시하고 감독하여 하나의 작품으로 만들다.
- 신파극 (新派劇) : 시대의 풍속, 사랑, 슬픈 이야기 등을 내용으로 하는 대중적인 연극.
- 예술제 (藝術祭) : 음악, 연극, 무용, 문학 등을 공연하거나 발표하는 행사.
- 리바이벌 (revival) : 이전의 영화, 연극, 노래 등을 다시 상영하거나 공연함. 또는 그것이 다시 유행함.
- 등장시키다 (登場시키다) : 소설, 연극, 영화 등에 어떤 인물을 나타나게 하다.
- 등장 (登場) : 소설, 연극, 영화 등에 어떤 인물이 나타남.
- 리바이벌되다 (revival되다) : 이전의 영화, 연극, 노래 등이 다시 상영되거나 공연되다. 또는 그것이 다시 유행되다.
- 무대 (舞臺) : 연극, 무용, 음악 등을 공연하기 위하여 객석 앞에 좀 높게 만들어 놓은 넓은 자리.
- 캐릭터 (character) : 소설, 만화, 연극, 영화 등에 등장하는 인물. 또는 작품 내용 속에서 드러나는 인물의 개성과 이미지.
- 상연 (上演) : 연극, 무용, 음악 등의 공연을 무대에서 해서 관객에게 보이는 일.
- 극화하다 (劇化하다) : 사건이나 이야기 등을 연극, 드라마, 영화 등과 같은 극으로 만들다.
- 효과 (效果) : 영화나 연극 등에서 소리나 빛, 컴퓨터 그래픽 등을 이용하여 그 장면에 어울리는 분위기를 만드는 일.
- 인형극 (人形劇) : 인형을 가지고 하는 연극.
- 희비극 (喜悲劇) : 희극적인 요소와 비극적인 요소가 섞여 있는 연극.
- 리허설 (rehearsal) : 연극, 음악, 방송 등에서 공연을 하기 전에 실제 공연처럼 미리 해 보는 연습.
- 퇴장 (退場) : 연극 무대 등에서 등장인물이 무대 밖으로 나감.
- 단막극 (短幕劇) : 적은 수의 막으로 이루어진 짧은 연극.
- 퇴장하다 (退場하다) : 연극 무대 등에서 등장인물이 무대 밖으로 나가다.
- 자작극 (自作劇) : 자기가 만든 연극.
- 남사당 (男사당) : (옛날에)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며 노래, 춤, 짧은 연극 등을 보여 주고 돈을 벌던 남자들의 무리.
- 시연회 (試演會) : 무용이나 연극 등을 일반 관객에게 보여 주기 전에 전문가나 특정한 사람들에게 먼저 보여 주는 것.
- 극화되다 (劇化되다) : 사건이나 이야기 등이 연극, 드라마, 영화 등과 같은 극으로 만들어지다.
- 제작진 (製作陣) : 연기자를 빼고 연극, 영화, 방송을 만드는 데 관계되는 모든 사람.
- 모노드라마 (monodrama) : 한 사람의 배우가 혼자서 모든 배역을 맡아 하는 연극.
- 활극 (活劇) : 싸움, 도망, 모험 등을 위주로 하여 만든 영화나 연극.
🗣️ 연극 (演劇) @ 용례
- 연극 관람자. [관람자 (觀覽者)]
- 연극 평론가. [평론가 (評論家)]
- 유민이는 잡지에서 연극 평론가가 소개한 연극을 친구와 보러 갔다. [평론가 (評論家)]
- 어제 본 연극 재미있었어? [공인하다 (共認하다)]
- 그는 평생 연극 무대밖에 모르고 배우 노릇을 하며 살았다. [노릇]
- 연극 어땠어? [감동 (感動)]
- 오늘 본 연극 정말 슬프더라. [독백 (獨白)]
- 지수는 연극 연습을 하며 지문에서 표현하고 있는 표정을 지으려고 애썼다. [지문 (地文)]
- 맞아. 이 연극 보길 잘한 것 같아. [열연하다 (熱演하다)]
- 연극 배우들은 저마다 더덕더덕 분장을 해서 괴이한 얼굴을 하고 있었다. [더덕더덕]
- 어제 연극 재미있게 봤니? [가로지르다]
- 나는 연극 공연을 위해 아이들과 머리를 맞대어 대본을 만들었다. [머리(를) 맞대다]
- 저처럼 연기 경험이 없는 사람도 연극 동호회에 들어갈 수 있나요? [가입 (加入)]
- 물론이죠. 연극에 관심만 있으시다면 누구라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가입 (加入)]
- 나 연극배우 그만둬야 할까 봐. 너무 힘드네. [척박하다 (瘠薄하다)]
- 연극 쪽의 환경이 너무 척박하니 다들 그런 생각을 할 거야. [척박하다 (瘠薄하다)]
- 실험 연극. [실험 (實驗)]
- 이번 연극의 안무는 파격적인 실험이었습니다. [실험 (實驗)]
- 연극 무대에 컴백하다. [컴백하다 (comeback하다)]
- 아까 본 연극 어땠어? 나는 진짜 재미나던데. [감흥 (感興)]
- 빨강, 초록, 파랑의 삼원색 조명만으로도 연극 무대에 필요한 모든 빛깔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삼원색 (三原色)]
- 지수와 친구들은 연극 무대를 꾸미는 작업에 모두 매달려 있다. [매달리다]
- 연극 발표회에서 동생은 태연스레 연기하려 했지만 긴장한 나머지 대사를 잊어버렸다. [태연스레 (泰然스레)]
- 첫 연극 공연을 앞두고 긴장된 그는 대기실에서 발발 떨고 있는 모양이었다. [발발]
- 가두 연극. [가두 (街頭)]
- 연극 한 편. [편 (篇)]
- 그 예술 회관에서는 문화인들의 전시회와 연극 공연 등이 자주 열리곤 했다. [문화인 (文化人)]
- 연극 동호인. [동호인 (同好人)]
- 한바탕의 연극. [한바탕]
- 연극 대본. [대본 (臺本)]
- 단막 연극. [단막 (單幕)]
- 그 단막 연극은 짧지만 강한 여운을 남겼다. [단막 (單幕)]
- 연극계를 리드하다. [리드하다 (lead하다)]
- 연극계를 리드하는 배우로 선정된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리드하다 (lead하다)]
- 어떤 배역이든 가리지 않고 연극 무대에 꾸준히 오른 결과라고 봅니다. [리드하다 (lead하다)]
- 연극 공연 중에 휴대폰 벨 소리가 울려 연극에 큰 피해를 주는 일이 생겨났다. [벨 소리 (bell소리)]
- 단편 연극. [단편 (短篇)]
- 오늘 본 연극은 세 개의 단편으로 구성되었다. [단편 (短篇)]
- 연극 배우. [배우 (俳優)]
- 대중 연극. [대중 (大衆)]
- 연극 배우는 몸짓을 다소 과장되게 동작하는 특징이 있다. [동작하다 (動作하다)]
- 우리는 극단 홈페이지에 사연을 올린 분들에게 연극 초대권을 보냈다. [초대권 (招待券)]
- 그는 열 편의 연극 작품을 히트시킨 인기 극작가이다. [극작가 (劇作家)]
- 이 영화는 인기 극작가의 연극을 원작으로 해서 새롭게 각색된 것이다. [극작가 (劇作家)]
- 아, 승규가 거북이 탈을 쓰고 한다는 연극 말이지? [가면극 (假面劇)]
- 연극 마당. [마당]
- 김 작가는 그 소설을 보고 연극 대본을 착상하였다. [착상하다 (着想하다)]
- 연극 초연. [초연 (初演)]
- 한 때 대스타였던 내가 어떻게 이런 연극 무대에 오르겠어. [벗어던지다]
- 연극 무대에 서는 기분이 어떠신가요? [출연 (出演)]
- 우리는 연극을 공연하기 위해 작은 공연장을 빌렸다. [공연장 (公演場)]
- 내일 연극 보러 가기로 한 거 기억하지? [공연장 (公演場)]
- 전위 연극. [전위 (前衛)]
- 관객들은 색다른 전위 연극의 표현을 이해하느라 고민했다. [전위 (前衛)]
- 연극 마지막 장면 정말 멋지지 않았어? [조명 (照明)]
- 연극을 공연하다. [공연하다 (公演하다)]
- 우리 연극 동호회는 앞으로 한 달간 소극장에서 연극을 공연한다. [공연하다 (公演하다)]
- 연극 공연. [공연 (公演)]
- 승규와 지수는 연극 공연을 보며 간만에 둘만의 시간을 가지고 있었다. [공연 (公演)]
- 극단의 연극. [극단 (劇團)]
- 극단에서는 새로 공연할 연극의 여자 주인공을 모집하고 있다. [극단 (劇團)]
- 우리 극단은 고아원의 아이들을 위하여 특별 연극을 준비했다. [극단 (劇團)]
- 연극 관람권. [관람권 (觀覽券)]
- 지수는 친구와 함께 보기 위해 연극 관람권 두 장을 샀다. [관람권 (觀覽券)]
- 연극 구경. [구경]
- 연극 극본. [극본 (劇本)]
- 연극 배우들이 극본을 외우며 연기를 연습하고 있다. [극본 (劇本)]
- 연극 교실. [교실 (敎室)]
- 나는 어제 연극 교실 회원들과 함께 요즘 인기 있는 연극을 보고 왔다. [교실 (敎室)]
- 민준이는 연극의 모든 소품과 조명을 책임 맡고 있다. [소품 (小品)]
- 요즘 새 연극 공연 준비로 바쁘지? [소품 (小品)]
- 연극 감상. [감상 (鑑賞)]
- 나는 어렸을 때 아름다운 여배우를 꿈꾸며 연극 오디션을 보러 다녔다. [여배우 (女俳優)]
- 연극 시연. [시연 (試演)]
- 이 연극의 시연을 관람한 평론가들은 연극에 대해 비교적 좋은 평가를 내렸다. [시연 (試演)]
- 연극 공연을 눈앞에 둔 배우들이 저마다 맡은 연기 연습에 임하였다. [연습 (演習)]
- 연극 연출가. [연출가 (演出家)]
- 승규는 여러 편의 연극을 연출하여 이미 유명 연출가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었다. [연출가 (演出家)]
- 연극 연출자. [연출자 (演出者)]
- 오늘 본 연극은 정말 재미있었어. [연출자 (演出者)]
- 이제부터 연극 준비를 시작해 볼까요? [각자 (各自)]
- 나는 어제 퇴근 후 동료들과 함께 연극 관람을 하고 집으로 돌아갔다. [동료 (同僚)]
- 연극 연출. [연출 (演出)]
- 이번 연극은 연출이 훌륭했다. [연출 (演出)]
- 앙코르 연극. [앙코르 (encore)]
- 김 감독의 연극이 앙코르로 다시 공연된대. [앙코르 (encore)]
- 비 오는 날 누가 혼자서 궁상떨며 연극 보러 오겠니? [궁상떨다 (窮狀떨다)]
- 시체를 시늉하는 연극 배우. [시늉하다]
- 운영난으로 문을 닫는 연극 공연장이 많대. [운영난 (運營難)]
- 연극 실연. [실연 (實演)]
- 지수가 쓴 희곡 작품이 연극 무대에 올라간다고? [실연 (實演)]
- 서울에 요새 연극 전용 극장들이 많이 생기고 있는데요. [쌓이다]
- 우리 조는 다른 조와 달리 발표 주제를 연극 형식으로 꾸며 교수님께 좋은 평가를 받았다. [형식 (形式)]
- 외설 연극. [외설 (猥褻)]
- 계산된 연극. [계산되다 (計算되다)]
- 김 씨의 행동과 말 하나하나는 모두 승규를 속이기 위해 계산된 연극이었다. [계산되다 (計算되다)]
- 오늘 본 연극 정말 좋았죠? [무명 (無名)]
- 승규는 각본에 있는 대사를 제대로 외우지도 않고 연극 무대에 올랐다. [각본 (脚本)]
- 연극 무대를 비추는 조명이 깜박깜박 어두워졌다 밝아지기를 반복했다. [깜박깜박]
- 관람권에는 연극 시작 20분 전에 개표한다고 쓰여 있다. [개표하다 (改票하다)]
- 그는 얼굴에 인두겁을 쓰고 연극 무대에 올랐다. [인두겁 (人두겁)]
- 연극 상연. [상연 (上演)]
- 어제 본 연극은 긴 상연 시간도 느끼지 못할 만큼 재미있었다. [상연 (上演)]
- 조금 있으면 연극이 시작할 시간이야! [상연 (上演)]
- 너 연극 감독으로 데뷔했다면서? [단막극 (短幕劇)]
- 잔혹 연극. [잔혹 (殘酷)]
- 연극 보실 때 좌석은 앞쪽으로 예약해 드릴까요? [전망하다 (展望하다)]
- 극화한 연극. [극화하다 (劇化하다)]
- 홍보 담당자는 그 연극이 한 운동선수의 실제 사연을 극화한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극화하다 (劇化하다)]
- 연극 리허설. [리허설 (rehearsal)]
- 연극이 끝나고 객석과 무대를 밝히던 여러 조명과 각광이 꺼졌다. [각광 (脚光)]
- 연극 무대에 올랐더니 각광에 눈이 부셔서 앞에 있는 관객들이 보이지 않았다. [각광 (脚光)]
- 무대 뒤편에서는 배우들이 연극 무대에 오를 준비를 하고 있었다. [뒤편 (뒤便)]
- 지수가 맡은 역할은 연극 전체 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적다. [전체 (全體)]
- 유명한 배우가 예술 대학 연극 영화과의 겸임 교수로 초빙되었다. [겸임 교수 (兼任敎授)]
- 대학생 때 처음 자작극을 썼던 것을 계기로 지금 연극 작가가 되었다. [자작극 (自作劇)]
- 아까 잠깐 등장한 배우가 이 연극을 쓴 사람이래. [자작극 (自作劇)]
- 극장의 검은 장막이 내려오면서 연극 공연이 끝이 났다. [장막 (帳幕)]
- 나는 극단에 가서 연극 포스터를 붙이는 잔일을 하며 연기도 배웠다. [잔일]
- 전위적인 연극. [전위적 (前衛的)]
- 전위 예술가는 파격적이고 전위적인 연출의 연극을 만들었다. [전위적 (前衛的)]
- 형은 자신이 정말 원하는 일을 찾았다며 부모님의 반대를 무릅쓰고 연극 무대에 섰다. [무대에 서다]
- 오 년 전에 말기 암 판정을 받았던 연극 배우가 암을 이기고 새 작품으로 무대에 서 화제가 되었다. [무대에 서다]
- 연극 제작진. [제작진 (製作陣)]
-
ㅇㄱ (
입구
)
: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문이나 통로.
☆☆☆
명사
🌏 ENTRANCE; ENTRY; GATE: A passage or gate through which one enters a certain place. -
ㅇㄱ (
안개
)
: 땅 가까이에서 수증기가 뭉쳐 아주 작은 물방울들이 부옇게 떠 있는 현상.
☆☆☆
명사
🌏 FOG; MIST; HAZE: The phenomenon where water vapor comes together to form tiny, misty droplets that float close to the ground. -
ㅇㄱ (
안경
)
: 눈을 보호하거나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이 잘 볼 수 있도록 눈에 쓰는 물건.
☆☆☆
명사
🌏 GLASSES; SPECTACLES: An instrument that one wears over the eyes to proctect them or to supplement his/her eyesight for better vision. -
ㅇㄱ (
약간
)
: 얼마 되지 않게. 또는 얼마쯤.
☆☆☆
부사
🌏 A LITTLE; A BIT: Not much; somewhat -
ㅇㄱ (
야구
)
: 아홉 명씩으로 이루어진 두 팀이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 하며, 상대 선수가 던진 공을 방망이로 치고 경기장을 돌아 점수를 내는 경기.
☆☆☆
명사
🌏 BASEBALL: A game played by two opposing teams of nine people, taking turns batting and fielding, in which the hitter scores points by hitting a ball thrown by the pitcher with a bat and then running around the field of four bases. -
ㅇㄱ (
얘기
)
: 어떠한 사실이나 상태, 현상, 경험, 생각 등에 관해 누군가에게 하는 말.
☆☆☆
명사
🌏 STORY: Words that are intended to tell others about a fact, state, phenomenon, experience, thought, etc. -
ㅇㄱ (
얼굴
)
: 눈, 코, 입이 있는 머리의 앞쪽 부분.
☆☆☆
명사
🌏 FACE: The front part of the head that has the eyes, nose and mouth. -
ㅇㄱ (
여권
)
: 다른 나라를 여행하는 사람의 신분이나 국적을 증명하고, 여행하는 나라에 그 사람의 보호를 맡기는 문서.
☆☆☆
명사
🌏 PASSPORT: An official document that proves a traveler's nationality or identity in a foreign country, and requests his/her protection for the country. -
ㅇㄱ (
여기
)
: 말하는 사람에게 가까운 곳을 가리키는 말.
☆☆☆
대명사
🌏 HERE; THIS: A pronoun used to indicate a place close to the speaker. -
ㅇㄱ (
악기
)
: 음악을 연주하는 데 쓰는 기구.
☆☆☆
명사
🌏 MUSICAL INSTRUMENT: An instrument used to play music. -
ㅇㄱ (
외국
)
: 자기 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
☆☆☆
명사
🌏 FOREIGN COUNTRY: A country other than one's own. -
ㅇㄱ (
요금
)
: 시설을 쓰거나 구경을 하는 값으로 내는 돈.
☆☆☆
명사
🌏 FARE; FEE; CHARGE: A sum of money paid for using a facility or watching something at a facility. -
ㅇㄱ (
연극
)
: 배우가 무대 위에서 대본에 따라 관객에게 연기를 보이는 것.
☆☆☆
명사
🌏 PLAY; DRAMA; THEATER: An act in which an actor or actress acts on a stage according to a script for the audience. -
ㅇㄱ (
월급
)
: 일한 대가로 한 달마다 지급하는 보수.
☆☆☆
명사
🌏 SALARY; MONTHLY WAGE: Money paid for one's labor on a monthly basis. -
ㅇㄱ (
연결
)
: 둘 이상의 사물이나 현상 등이 서로 이어지거나 관계를 맺음.
☆☆☆
명사
🌏 CONNECTION: Two or more things or phenomena being connected or related to each other. -
ㅇㄱ (
약간
)
: 얼마 되지 않음.
☆☆☆
명사
🌏 LITTLE; BIT; SMALL: A state of being small in amount, quantity, degree, etc. -
ㅇㄱ (
아기
)
: 젖을 먹는 아주 어린 아이.
☆☆☆
명사
🌏 BABY: An infant that feeds on breast milk. -
ㅇㄱ (
약국
)
: 약사가 약을 만들거나 파는 곳.
☆☆☆
명사
🌏 PHARMACY: A place where pharmacists prepare or sell medicine. -
ㅇㄱ (
영국
)
: 유럽 북서쪽 끝에 있는 섬나라. 산업 혁명이 시작된 나라로 각종 공업이 발달하였으며 입헌 군주국이다. 주요 언어는 영어이고 수도는 런던이다.
☆☆☆
명사
🌏 ENGLAND; THE UNITED KINGDOM: An island country at the northwestern end of Europe; it is a constitutional monarchy and the hom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has developed industries; its main language is English and its capital is London. -
ㅇㄱ (
이곳
)
: 말하는 사람에게 가까운 곳을 가리키는 말.
☆☆☆
대명사
🌏 HERE: A pronoun used to indicate a place close to the speaker. -
ㅇㄱ (
일곱
)
: 여섯에 하나를 더한 수.
☆☆☆
수사
🌏 SEVEN: The number that is the sum of six and one. -
ㅇㄱ (
육교
)
: 도로나 철로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다리.
☆☆☆
명사
🌏 OVERPASS: A bridge built over a road or railroad so that people can cross it. -
ㅇㄱ (
이거
)
: 말하는 사람에게 가까이 있거나 말하는 사람이 생각하고 있는 것을 가리키는 말.
☆☆☆
대명사
🌏 THIS: A pronoun that is used to refer to something that is close to the speaker or that the speaker is thinking of. -
ㅇㄱ (
이것
)
: 말하는 사람에게 가까이 있거나 말하는 사람이 생각하고 있는 것을 가리키는 말.
☆☆☆
대명사
🌏 THIS: The word that refers to something that is close to the speaker or something that the speaker is thinking of. -
ㅇㄱ (
인기
)
: 어떤 대상에 쏠리는 많은 사람들의 높은 관심이나 좋아하는 마음.
☆☆☆
명사
🌏 POPULARITY: Great interest or favor shown by many people to a certain person or thing. -
ㅇㄱ (
일곱
)
: 여섯에 하나를 더한 수의.
☆☆☆
관형사
🌏 SEVEN: Being the number that is the sum of six and one. -
ㅇㄱ (
일기
)
: 날마다 그날그날 겪은 일이나 생각, 느낌 등을 적은 글.
☆☆☆
명사
🌏 DIARY; JOURNAL: A writing that records one's personal daily experiences, thought, feelings, etc.
• 환경 문제 (81) • 사과하기 (7) • 시간 표현하기 (82) • 사회 제도 (78) • 음식 설명하기 (78) • 음식 주문하기 (132) • 날짜 표현하기 (59) • 법 (42) • 전화하기 (15) • 문화 차이 (52) • 문제 해결하기(분실 및 고장) (28) • 정치 (149) • 주말 및 휴가 (47) • 복장 표현하기 (121) • 감사하기 (8) • 초대와 방문 (28) • 집안일 (41) • 성격 표현하기 (110) • 종교 (43) • 인사하기 (17) • 대중 매체 (47) • 공연과 감상 (52) • 연애와 결혼 (28) • 대중 문화 (82) • 지리 정보 (138) • 가족 행사-명절 (2) • 길찾기 (20) • 교육 (151) • 요리 설명하기 (119) • 철학·윤리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