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인 (殺人)
☆☆ 명사
1. 사람을 죽임.
-
살인 동기.
Murderer motivation. -
살인 미수.
Attempted murder. -
살인 사건.
Murder case. -
살인 용의자.
A murder suspect. -
살인을 저지르다.
Commit murder. -
살인을 하다.
Commit a murder. -
범인은 살인에 대해 전혀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았다.
The criminal had no remorse for the murder. -
평화로운 마을에서 그런 끔찍하고 잔인한 살인 사건이 일어나다니 믿을 수가 없다.
I can't believe such a terrible and cruel murder took place in a peaceful village. -
♔
살인 용의자의 인상착의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Please explain the description of the murder suspect.
♕ 키가 크고 얼굴이 흰 편이고 날카로운 인상이었어요.
Tall, fair-faced, sharp-faced.
유의어
살해(殺害): 사람을 죽임.
🗣️ 발음, 활용: • 살인 (
사린
)
📚 파생어: • 살인적(殺人的): 사람의 목숨을 빼앗을 만큼 몹시 심한. • 살인적(殺人的): 사람의 목숨을 빼앗을 만큼 몹시 심한 것. • 살인하다(殺人하다): 사람을 죽이다.
📚 분류: 사건, 사고, 재해 기술하기
🗣️ 살인 (殺人) @ 뜻풀이
- 폭력범 (暴力犯) : 폭력이나 흉기를 사용하여 강도나 살인 같은 범죄를 저지른 사람.
- 파렴치범 (破廉恥犯) : 살인, 강간 등과 같이 도덕에 어긋나는 행동으로 인한 범죄. 또는 그런 범죄를 저지른 사람.
- 강력범 (強力犯) : 폭력이나 흉기를 사용하여 강도나 살인 같은 범죄를 저지른 사람.
🗣️ 살인 (殺人) @ 용례
- 연쇄 살인 사건의 진상을 파헤치기 위해 형사와 경찰청 정보원은 모든 자료를 샅샅이 수집했다. [정보원 (情報員)]
- 경찰은 살인 사건의 필연성을 입증했다. [필연성 (必然性)]
- 얼마 전에 여기에서 살인 사건이 있었잖아. [쭈뼛거리다]
- 저는 단지 살인 교사에 따랐을 뿐입니다. [교사 (敎唆)]
- 올해 겨우 다섯 살인 그 아역 배우의 뛰어난 연기력은 나이가 믿기지 않을 정도였다. [배우 (俳優)]
- 치정 살인. [치정 (癡情)]
- 끔찍한 살인 사건이 연달아 일어나서 마을 주민들은 공포에 떨었다. [공포 (恐怖)]
- 경찰은 연쇄 살인 용의자의 몽타주를 배포하고 행방을 추적하고 있었다. [몽타주 (montage)]
- 스무 살인 민준이가 할아버지로 분장하니 꼭 일흔이 넘은 할아버지 같았다. [분장하다 (扮裝하다)]
- 지난번 살인 사건은 많은 의문을 남긴 채로 해결되지 않고 있다. [남기다]
- 예순일곱 살인 그녀는 뜻밖의 암 선고를 받고 망연자실했다. [받다]
- 요즘 십 년 전 살인 사건이 다시 조명을 받고 있대. [조명 (照明)]
- 그 살인 사건은 몇 년째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로 남겨져 있다. [미스터리 (mystery)]
- 뭐니 뭐니 해도 연쇄 살인이 등장하는 미스터리가 흥미진진하지. [미스터리 (mystery)]
- 경찰은 최근 발생한 살인 사건에 대해서 샅샅이 밝혀냈다. [샅샅이]
- 인근 마을에서 잇따른 살인 사건 발생 소식을 듣고 겁이 덜컹 났다. [덜컹]
- 아버지는 살인 혐의를 받은 아들의 무죄를 입증하기 위하여 직접 변호를 하겠다고 나섰다. [변호 (辯護)]
- 저 피고인이 바로 살인 용의자로 잡힌 사람이지요? [기소 (起訴)]
- 김 형사는 살인 사건 장소의 검증 과정에서 결정적 단서를 찾아냈다. [검증 (檢證)]
- 살인 사건. [사건 (事件)]
- 살인 혐의. [혐의 (嫌疑)]
- 응, 죄도 없이 살인 누명을 썼으니 지금껏 얼마나 억울했을까? [쓰다]
- 이번 살인 사건은 한 사람이 저지른 일일까요? [단독범 (單獨犯)]
- 어젯밤, 살인 혐의로 체포된 김 모 씨가 수갑을 풀고 경찰의 눈을 피해 도주했습니다. [도주하다 (逃走하다)]
- 단서가 전혀 없는 수수께끼의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 [수수께끼]
- 살인범의 잔학. [잔학 (殘虐)]
- 잔학 살인. [잔학 (殘虐)]
- 네가 준 살인 사건에 대한 책을 읽었는데 정말 무섭더라. [잔학 (殘虐)]
- 그들은 살인자로 지목되어 경찰에 쫓기게 되었고, 경찰을 피해 도망자 생활을 시작했다. [도망자 (逃亡者)]
- 민준이는 우연히 살인 사건을 목격하여 졸지에 살해 위협에 시달리는 도망자 신세가 되었다. [도망자 (逃亡者)]
- 그 잔인한 살인 사건에 대해 사람들이 매우 분노하고 있어요. [격양하다 (激揚하다)]
- 살인 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가 시작되었다. [검찰 (檢察)]
- 악랄한 살인을 저지른 사형수들이 수감된 감옥을 방문하여 그곳에서 사형을 기다리고 있던 한 죄수를 만났다. [사형수 (死刑囚)]
- 응. 사형 집행 전에 살인 누명이 벗겨져서 다행이야. [사형수 (死刑囚)]
- 최근에 사람의 머리에 못을 박아 죽이는 엽기적인 살인 사건이 일어나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했다. [엽기적 (獵奇的)]
- 살인 혐의로 체포되다. [체포되다 (逮捕되다)]
- 살인 사건 수사를 시작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아직 아무런 단서도 나오지 않아 답답하다. [단서 (端緖)]
- 연쇄 살인범. [살인범 (殺人犯)]
- 살인범이 잡히다. [살인범 (殺人犯)]
- 살인범을 잡다. [살인범 (殺人犯)]
- 살인범을 쫓다. [살인범 (殺人犯)]
- 살인범을 체포하다. [살인범 (殺人犯)]
- 살인범으로 몰리다. [살인범 (殺人犯)]
- 경찰은 끔찍한 살인 사건이 다시 재현되지 않도록 치안 유지에 더욱 힘썼다. [재현되다 (再現되다)]
- 강력계 김 형사는 현재 살인 사건을 수사 중이다. [강력계 (強力係)]
- 살인 현장에는 피해자의 피가 낭자했다. [낭자하다 (狼藉하다)]
- 재판장님, 법정에 살인 현장을 목격한 목격자가 증인으로 나왔습니다. [신분 (身分)]
- 이번 살인 사건에 대한 기사 봤어? 정말 잔인하더라. [광기 (狂氣)]
- 연쇄 살인 사건이 터지자 경찰은 수사본부를 설치하고 사건 해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수사본부 (搜査本部)]
- 살인죄를 지은 그는 결국 사형장에 서게 되었다. [사형장 (死刑場)]
- 김 씨가 사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지 십 년 만에 살인 누명이 벗겨졌다. [사형장 (死刑場)]
- 반성의 기미가 보이지 않던 살인범도 사형장에서는 피해자의 가족을 향해 울면서 잘못을 인정했다. [사형장 (死刑場)]
- 살인 사건을 맡은 수사진은 현장에 있는 증거물들을 샅샅이 조사하고 있다. [수사진 (搜査陣)]
- 경찰은 일 년째 수사 중이던 살인 사건의 범인을 검거했다. [범인 (犯人)]
- 이번에 그 살인 사건을 일으킨 외국인 말이지? [추방하다 (追放하다)]
- 대형 교통사고며, 살인 사건이며 세상이 온통 뒤숭숭한 일 뿐이다. [뒤숭숭하다]
- 네. 이번 사건은 원한으로 인한 살인 사건인 듯합니다. [난자하다 (亂刺하다)]
- 살인 사건이 계속해서 일어나자 공포가 마을을 휩쌌다. [휩싸다]
- 경찰이 살인 사건의 진상을 밝혔다. [진상 (眞相)]
- 범인이 치밀하게 살인을 계획했다면서? [기도 (企圖)]
- 응. 그런데 다행히 살인 기도가 미수에 그쳤대. [기도 (企圖)]
- 명석한 두뇌로 살인 사건의 실마리를 찾아가는 인물이에요. [탐정 (探偵)]
- 살인 사건 피해자의 시신은 범인들의 암매장으로 뒤늦게 발견되었다. [암매장 (暗埋葬)]
- 경찰에게 잡힌 살인범은 자기가 죽인 사람들을 몰래 묻은 암매장 장소를 털어놓았다. [암매장 (暗埋葬)]
- 응, 그래서 경찰이 혹시 살인 사건이 아닌지 조사 중이래. [주검]
- 살인죄로 복역하다. [복역하다 (服役하다)]
- 그 살인 사건의 진범이 잡혀 억울한 누명을 쓰고 3년간 복역하고 있던 김 씨의 누명이 벗겨졌다. [복역하다 (服役하다)]
- 올해 열 살인 조카는 이제 삼 학년이 된다. [삼 (三)]
- 김 기자, 이번 살인 사건의 범인을 아직 잡지 못했다면서요? [합동 (合同)]
- 피의자의 살인 혐의를 벗기려면 범인을 잡는 수밖에 없다. [벗기다]
- 이번 살인 사건의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된 암살단이 검거되었다. [암살단 (暗殺團)]
- 살인 사건에 관한 수사가 일단 마무리되었지만 박 형사는 아직 규명되지 않은 진실이 있다고 믿고 있다. [규명되다 (糾明되다)]
- 살인 사건을 직접 목격한 민준이는 극심한 공포심 때문에 잠을 잘 수가 없었다. [공포심 (恐怖心)]
- 인터넷 게시판은 이번 살인 사건의 피의자를 비난하는 도배 글로 시끄러웠다. [도배 (塗褙)]
- 살인 방조. [방조 (幇助/幫助)]
- 그 살인범의 어머니 역시 아들의 살인을 도운 살인 방조 혐의로 체포되었다. [방조 (幇助/幫助)]
- 살인 미수죄. [미수죄 (未遂罪)]
- 살인 미수죄는 살인보다는 형량이 낮지만 명백한 범죄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미수죄 (未遂罪)]
- 살인 사건을 수사하기 위해 특별히 차출된 형사들로 수사 팀이 구성되었다. [차출되다 (差出되다)]
- 이번 사건이 연쇄 살인 사건이라는 거지? [유사점 (類似點)]
- 뉴스에서 너무 끔찍한 살인 사건 얘기가 나왔거든. [경악 (驚愕)]
- 잔인한 살인 사건이 벌어져 온 사회를 발칵 뒤집었다. [뒤집다]
- 근간 신문의 사회면은 온통 최근 발생한 살인 사건에 대한 기사로 채워져 있다. [근간 (近刊)]
- 경찰은 어제 발생한 살인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 [조사하다 (調査하다)]
- 아는 사람이 살인 누명을 썼다가 무죄임이 밝혀졌어요. [옥살이하다 (獄살이하다)]
- 연쇄 살인 사건은 서민들을 공포에 떨게 하였다. [서민 (庶民)]
- 검사는 살인 사건의 흑막을 밝히기 위해 철저하게 수사했다. [흑막 (黑幕)]
- 용의자 김 씨의 살인 혐의가 불기소 처리가 되자, 피해자 가족들이 부당함을 호소하였다. [불기소 (不起訴)]
- 여섯 살인 지수는 책을 줄줄 읽는데 동갑내기 승규는 떠듬떠듬 읽는다. [떠듬떠듬]
- 올해 일곱 살인 김 양은 고등학교 졸업 검정고시에 최연소 급제를 했다. [급제 (及第)]
- 실력 있는 형사는 살인 사건을 일으킨 범인의 정체를 쉽게 파헤쳤다. [파헤치다]
- 경찰은 살인 사건의 수사 경과를 상관에게 보고하였다. [경과 (經過)]
- 그 연쇄 살인 사건에 관한 재판 결과가 어떻게 되었니? [범죄성]
- 우리 동네에서 살인 사건 일어났대. [해치다 (害치다)]
- 하수인이 교사를 받아 살인을 저질렀다고 했다. [하수인 (下手人)]
- 살인 주범이 붙잡히면서 실제 살인을 한 하수인들도 잇따라 검거되었다. [하수인 (下手人)]
- 살인 사건의 범인을 잡았다면서요? [하수인 (下手人)]
- 이번에 발생한 살인 사건 범인 잡혔대? [자연사 (自然死)]
- 살인 사건이 일어났다는 기사 읽었니? [잔혹하다 (殘酷하다)]
- 악마적 살인 행각을 벌인 살인마가 경찰에 붙잡혔대. [악마적 (惡魔的)]
- 살인 혐의자. [혐의자 (嫌疑者)]
- 살인 사건을 목격한 김 씨는 증인으로 경찰서에 소환이 되었다. [소환 (召喚)]
- 그들은 죄도 없고 힘도 없는 생사람에게 살인 누명을 씌울 작정이었다. [생사람 (生사람)]
- 최 작가는 이번에 살인 폭력이 등장하는 추리 소설을 썼다. [추리 소설 (推理小說)]
- 올해 서른아홉 살인 박 씨는 좋은 짝을 만나 드디어 총각 딱지를 뗐다. [총각 딱지를 떼다]
- 살인 방조자. [방조자 (幇助者)]
- 살인 방조자는 살인자에 비해서는 가벼운 형벌을 받는다. [방조자 (幇助者)]
- 경찰은 이번 살인 사건의 주범과 공범은 물론이고 방조자까지 모두 잡아들이는 데 성공했다. [방조자 (幇助者)]
- 살인 사건의 용의자 김씨는 무죄로 평결되어 풀려났다. [평결되다 (評決되다)]
- 이번 살인 사건 피해자를 검시한 결과가 나왔나요? [검시하다 (檢屍하다)]
- 김 씨는 현장에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살인 누명을 써서 억울한 옥살이를 했다. [누명 (陋名)]
- 마을에 의문의 살인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자 주민들은 겁을 집어먹고 외출을 삼갔다. [집어먹다]
- 여섯 살인 승규는 한글을 배운 후 길거리의 간판들을 줄줄 읽었다. [한글]
- 경감이 아직 미해결된 연쇄 살인 사건에 관한 수사를 직접 나서기 시작하였다. [경감 (警監)]
- 여러 시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피고인의 살인 혐의에 관한 공판이 진행되었다. [공판 (公判)]
- 지금부터 살인 사건에 대한 공판을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피고인 측부터 변론하시죠. [공판 (公判)]
-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살인 사건의 범인의 재판에는 방청을 신청한 방청객이 많았다. [방청객 (傍聽客)]
- 강 형사는 무슨 까닭인지 이번 살인 사건을 단순한 사고라고 규정짓고 서둘러 수사를 마무리했다. [규정짓다 (規定짓다)]
- 어떤 이유에서든 사람을 죽였으면 살인자가 되는 거 아냐? [규정짓다 (規定짓다)]
- 경찰이 범인을 검거하여 이번 살인 사건에 대한 수사는 일단락을 지었다. [일단락 (一段落)]
- 살인 사건의 용의자가 발표되었다면서요? [면밀히 (綿密히)]
- 다섯 살인 지수는 벌써 한글을 읽을 줄 안다. [읽다]
- 일곱 살인 승규는 벌써 한자로 자기 이름을 쓸 줄 안다. [한자 (漢字)]
-
ㅅㅇ (
샤워
)
: 비처럼 물을 뿜어내는 기구로 몸을 씻음.
☆☆☆
명사
🌏 SHOWER; SHOWER BATH: The act of washing the body with a nozzle that sprays water like rain. -
ㅅㅇ (
사용
)
: 무엇을 필요한 일이나 기능에 맞게 씀.
☆☆☆
명사
🌏 USE; USAGE: An act of using something for a certain job or function. -
ㅅㅇ (
사월
)
: 일 년 열두 달 가운데 넷째 달.
☆☆☆
명사
🌏 APRIL: The fourth month of a year, out of twelve months. -
ㅅㅇ (
사이
)
: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까지 또는 한곳에서 다른 곳까지의 거리나 공간.
☆☆☆
명사
🌏 SPACE; DISTANCE; GAP: The distance or space between one object and another, or between one place and another. -
ㅅㅇ (
서양
)
: 유럽과 아메리카 지역.
☆☆☆
명사
🌏 OCCIDENT: Europe and America. -
ㅅㅇ (
시월
)
: 일 년 열두 달 중 열 번째 달.
☆☆☆
명사
🌏 OCTOBER: The tenth month among the twelve months of a year. -
ㅅㅇ (
생일
)
: 사람이 세상에 태어난 날.
☆☆☆
명사
🌏 BIRTHDAY: The day a person was born. -
ㅅㅇ (
수업
)
: 교사가 학생에게 지식이나 기술을 가르쳐 줌.
☆☆☆
명사
🌏 CLASS; LESSON; COURSE: A teacher teaching a student certain studies or skills. -
ㅅㅇ (
서울
)
: 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는 곳.
☆☆☆
명사
🌏 CAPITAL: The place where the nation's central government is located. -
ㅅㅇ (
삼월
)
: 일 년 열두 달 가운데 셋째 달.
☆☆☆
명사
🌏 MARCH: The third month of a year, out of twelve months. -
ㅅㅇ (
사업
)
: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하여 어떤 조직을 경영하는 일.
☆☆☆
명사
🌏 BUSINESS: The act of managing an organization for economic gain. -
ㅅㅇ (
속옷
)
: 겉옷의 안쪽에 몸에 직접 닿게 입는 옷.
☆☆☆
명사
🌏 UNDERWEAR: Clothes worn directly on top of the body inside the outer clothing. -
ㅅㅇ (
수영
)
: 물속을 헤엄침.
☆☆☆
명사
🌏 SWIMMING: Swimming in the water.
• 역사 (92) • 음식 설명하기 (78) • 공공 기관 이용하기(도서관) (8) • 예술 (76) • 감정, 기분 표현하기 (191) • 공연과 감상 (52) • 병원 이용하기 (10) • 공공 기관 이용하기(출입국 관리 사무소) (2) • 물건 사기 (99) • 집 구하기 (159) • 법 (42) • 환경 문제 (81) • 소개하기(가족 소개) (41) • 성격 표현하기 (110) • 언어 (160) • 취미 (103) • 길찾기 (20) • 소개하기(자기소개) (52) • 대중 문화 (82) • 건축 (43) • 문제 해결하기(분실 및 고장) (28) • 외양 (97) • 약국 이용하기 (6) • 스포츠 (88) • 주거 생활 (48) • 대중 매체 (47) • 가족 행사-명절 (2) • 종교 (43) • 한국의 문학 (23) • 교통 이용하기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