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거 (選擧)
☆☆ 명사
1. 일정한 조직이나 집단에서 투표를 통해 대표자나 임원을 뽑음.
1. ELECTION: The act of choosing a representative or executive of an organization or group through a vote.
-
공정 선거.
Fair election. -
대통령 선거.
Presidential election. -
반장 선거.
Class president election. -
선거 결과.
Election results. -
선거를 치르다.
Hold an election. -
선거를 하다.
Hold an election. -
선거에서 이기다.
Win an election. -
선거에서 지다.
Lose the election. -
오늘은 우리 반의 반장 선거를 하는 날이다.
Today is the day of the class' election for class president. -
선거 결과, 그가 과반수의 지지를 얻어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As a result of the election, he was elected president with the support of a majority. -
♔
다음 대통령 선거는 언제 있어요?
When's the next presidential election?
♕ 오 년 뒤에 있어요.
It's in five years.
🗣️ 발음, 활용: • 선거 (
선ː거
)
📚 파생어: • 선거하다(選擧하다): 일정한 조직이나 집단에서 투표를 통해 대표자나 임원을 뽑다. • 선거되다: 일정한 조직이나 집단에서 대표자나 임원이 뽑히다., 선거권을 가진 사람에 의해…
📚 분류: 정치 및 행정 행위
🗣️ 선거 (選擧) @ 뜻풀이
- 간접 선거 (間接選擧) : 일반 선거인에 의하여 선출된 중간 선거인이 후보자를 뽑는 선거.
- 기권하다 (棄權하다) : 투표, 선거, 경기 등에 참가할 수 있는 권리를 스스로 버리다.
- 낙방 (落榜) : 시험이나 선발, 선거 등에서 떨어짐.
- 간선 (間選) : ‘간접 선거’를 줄여 이르는 말.
- 선거 공약 (選擧公約) : 선거 운동을 할 때에, 후보자가 시민들에게 제시하는 공적인 약속.
- 떨어지다 : 시험이나 선거, 선발 등에 뽑히지 못하다.
- 보통 선거 (普通選擧) : 선거인의 자격에 재산, 신분, 성별, 교육 정도 등의 제한을 두지 않고, 성인이 되면 누구에게나 선거권이 주어지는 선거.
- 보궐 선거 (補闕選擧) : 임기 중에 의원이 사망이나 사직 등을 하여 빈자리가 생겼을 때 그 자리를 채우기 위해 비정기적으로 하는 선거.
- 부정 선거 (不正選擧) : 정당하지 못한 수단이나 방법으로 치러진 선거.
- 부동표 (浮動票) : 선거 때, 투표를 할 정당이나 후보자를 확실히 정하지 않은 사람의 표.
- 당락 (當落) : 선거, 시험 등에 붙는 것과 떨어지는 것.
- 던지다 : 선거 등에서 표를 내다.
- 총선 (總選) : 국회 의원 전체를 한꺼번에 뽑는 선거.
- 총선거 (總選擧) : 국회 의원 전체를 한꺼번에 뽑는 선거.
- 직접 선거 (直接選擧) : 선거인이 피선거인을 직접 뽑는 선거.
- 직선 (直選) : ‘직접 선거’를 줄여 이르는 말.
- 공명선거 (公明選擧) : 부정이 없이 공정하고 떳떳하게 치르는 선거.
- 나가다 : 모임에 참여하거나, 운동 경기에 출전하거나, 선거 등에 후보자로 나서다.
- 표밭 (票밭) : (비유적으로) 투표할 사람이 모여 있는 선거 구역.
- 재선 (再選) : 선거에서 한 번 당선되었던 사람이 두 번째로 또 당선됨.
- 국민 투표 (國民投票) : 선거 이외에, 국가의 중요한 사항에 대하여 국민의 의견을 묻는 투표.
- 보선 (補選) : ‘보궐 선거’를 줄여 이르는 말.
- 재선거 (再選擧) : 선거가 무효가 되었을 때, 또는 당선인이 없거나 결격 사유가 드러났을 때 다시 실시하는 선거.
- 지역구 (地域區) : 일정한 지역을 단위로 하여 정한 선거 구역.
- 직선제 (直選制) : ‘직접 선거 제도’를 줄여 이르는 말.
- 기권 (棄權) : 투표, 선거, 경기 등에 참가할 수 있는 권리를 스스로 버림.
- 낙방하다 (落榜하다) : 시험이나 선발, 선거 등에서 떨어지다.
- 압승 (壓勝) : 시합이나 선거 등에서 크게 이김.
- 대선 (大選) : 대통령을 뽑는 선거.
- 지지율 (支持率) : 선거 등에서 투표하는 사람들이 어떤 후보를 지지하는 비율.
- 경선 (競選) : 투표를 통하여 여러 후보 가운데 한 사람을 뽑는 선거.
- 압승하다 (壓勝하다) : 시합이나 선거 등에서 크게 이기다.
- 간선제 (間選制) : ‘간접 선거 제도’를 줄여 이르는 말.
🗣️ 선거 (選擧) @ 용례
- 선거 공약. [공약 (公約)]
- 이번 선거에서 후보들이 내건 공약들이 다 비슷비슷했다. [공약 (公約)]
- 나는 선거를 할 때 주로 정당을 보는 편이야. [공약 (公約)]
- 보통 선거 실시. [보통 선거 (普通選擧)]
- 보통 선거의 원칙. [보통 선거 (普通選擧)]
- 보통 선거가 행해지다. [보통 선거 (普通選擧)]
- 보통 선거에 위배되다. [보통 선거 (普通選擧)]
- 문맹자에게 투표권을 부여하지 않은 그 사례는 보통 선거에 위배된다. [보통 선거 (普通選擧)]
- 그 나라는 보통 선거에 의해서가 아니라 당의 권력자들 간의 밀실 타협으로 국가 지도자를 선출한다. [보통 선거 (普通選擧)]
- 이번 선거 결과가 대내외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하다. [대내외적 (對內外的)]
- 대선 후보의 어설픈 선거 공략에 아무도 그를 지지하지 않았다. [어설프다]
- 각 언론사들의 예상과 부합한 선거 결과가 나왔다. [부합하다 (符合하다)]
- 요즘 초등학교 반장 선거에는 아이들 대신 학부모들이 극성스럽게 선거 운동을 하는 경우도 있다. [극성스럽다 (極盛스럽다)]
- 선거 결과가 나왔나요? [압도적 (壓倒的)]
- 선거 때 어떤 후보를 뽑아야 할지 정말 모르겠어. [판단되다 (判斷되다)]
- 불법 선거. [불법 (不法)]
- 이번에 불법 선거 운동으로 신임을 잃었거든. [불법 (不法)]
- 이번 선거 운동과 병행하여 조직 내 단결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병행하다 (竝行하다)]
- 각 정당은 이번 선거 결과로 드러난 국민의 뜻에 따라 과거를 반성하고 새로운 앞날을 설계해야 마땅하다. [반성하다 (反省하다)]
- 깨끗한 선거 문화를 만들기 위해 선거에 대한 불법은 엄정히 처리되어야 한다. [엄정히 (嚴正히)]
- 공무원들이 조직적으로 선거에 개입하다니 말도 안 돼. [엄정히 (嚴正히)]
- 맞아, 공직자들은 선거에 임할 때 엄정히 중립을 지켜야 하는 건데. [엄정히 (嚴正히)]
- 선거 전에 우리 당의 지지율이 높아 낙승을 예상했으나 선거 결과는 정반대로 나타났다. [낙승 (樂勝)]
- 우리는 선거 상황실에 모여서 초조한 마음으로 개표 결과를 기다렸다. [상황실 (狀況室)]
- 정당의 사무실이 매각될 경우 그 돈을 선거 자금으로 활용할 것이다. [매각되다 (賣却되다)]
- 대통령 선거 방식이 대표자에 의한 간접 선거에서 직접 선거로 개헌되었다. [개헌되다 (改憲되다)]
- 공명한 선거. [공명하다 (公明하다)]
- 공명하게 선거를 치르다. [공명하다 (公明하다)]
- 그들은 공명한 선거를 위하여 후보들이 주는 선물을 사양했다. [공명하다 (公明하다)]
- 공명한 선거를 위해 힘써 주십시오. [공명하다 (公明하다)]
- 깨끗하고 공정한 선거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공명하다 (公明하다)]
- 너는 선거 때 시장으로 누구를 뽑을 거니? [적격자 (適格者)]
- 벽에 붙은 포스터에는 이번 선거 후보들의 이름이 굵직굵직하게 쓰여 있었다. [굵직굵직하다]
- 승규는 동아리의 새로운 선거 규칙을 만들기 위해 선배들이 남긴 전례를 참고했다. [전례 (前例)]
- 이번 선거에서 김 시장이 또다시 당선되어 재선 임기를 채우게 되었다. [재선 (再選)]
- 전교 회장 선거에서 두 후보의 표가 똑같이 나와서 재선을 실시하기로 했다. [재선 (再選)]
- 이번에 당선된 김 후보가 불법 선거 운동을 했던 점이 드러나 재선이 치러질 전망이다. [재선 (再選)]
- 선거 때가 되면 정치적 선동에 휘둘리는 경우가 많다. [선동 (煽動)]
- 시장 선거. [시장 (市長)]
- 시장을 뽑는 선거가 내일로 다가왔다. [시장 (市長)]
- 국회 의원 선거. [국회 의원 (國會議員)]
- 너는 이번 국회 의원 선거에서 누구를 뽑을 거야? [국회 의원 (國會議員)]
- 부정 선거. [부정 (不正)]
- 선거 운동 중에 일어나는 부정을 방지하기 위해 법을 새로 제정하였다. [부정 (不正)]
- 저도 이번 선거 때 투표를 할 수 있나요? [참정권 (參政權)]
- 이번 대통령 선거 결과는 정말 예상 밖이었어. [군소 (群小)]
- 선거 때가 되면 후보자들은 선동적 발언을 하며 사람들의 표를 얻고자 했다. [선동적 (煽動的)]
- 선거 결과가 어떻게 나왔니? [근소하다 (僅少하다)]
- 재경 관계자는 이번 선거에서 선거 자금이 상당히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재경 (財經)]
- 선거 유세 막판. [막판]
- 선거 막판에 수세에 몰린 그 후보자는 지지율을 높이기 위해 선거 유세에 더욱 힘을 쏟았다. [막판]
- 신분증으로 본인 확인 후 선거 용지를 받아 투표하시면 됩니다. [절차 (節次)]
- 학생들은 학급 임원 모의 선거에 참여해 선거 방식을 미리 익혀 두었다. [모의 (模擬/摸擬)]
- 그들은 공식 선거 운동을 마무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저마다 자기 후보를 지지해 줄 것을 호소하며 부동표 잡기에 총력을 기울였다. [부동표 (浮動票)]
- 여론 조사 결과 이번 선거에서 특별히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사람이 삼십 퍼센트나 된다고 합니다. [부동표 (浮動票)]
- 김 씨는 국회 의원에 당선되기 위해 더욱더 가열하게 선거 운동을 했다. [가열하다 (苛烈하다)]
- 선거 후보 선호도 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김 후보를 지지했다. [응답자 (應答者)]
- 선거권을 빼앗다. [빼앗다]
- 법원은 김 후보의 부정 선거 운동을 이유로 피선거권을 빼앗았다. [빼앗다]
- 정부는 부정 선거 혐의를 씌워 한 도지사를 자리에서 내몰았다. [내몰다]
- 대통령 선거 유세장은 각 후보들을 지지하는 사람들의 열기로 뜨거웠다. [유세장 (遊說場)]
- 너 이번 선거에서 누구를 뽑을지 정했니? [유세장 (遊說場)]
- 대선 후보들은 팔도를 돌며 치열한 선거 유세를 펼쳤다. [팔도 (八道)]
- 백 후보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선거 후 새로운 진보 정당 창당을 목표로 삼고 있다. [창당 (創黨)]
- 전문가들은 여당이 이번 선거에서 창당 이래 최대의 참패를 면치 못할 가능성이 많다고 말했다. [창당 (創黨)]
- 선거 위원. [위원 (委員)]
- 당의 대표 위원들이 모여 이번 선거에 대해서 토의를 했다. [위원 (委員)]
- 부정한 선거. [부정하다 (不正하다)]
- 후보들은 가가호호 돌아다니며 선거 운동을 벌였다. [가가호호 (家家戶戶)]
- 선거 결과는 조간신문의 일 면을 장식했다. [조간신문 (朝刊新聞)]
- 정당들이 선거 결과에 너무 집착해 과열을 빚어냈다. [빚어내다]
- 선거 관리 위원회에서는 선거를 앞두고 불법 선거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선거법 위반 사범 집중 단속에 나섰다. [사범 (事犯)]
- 정부는 은행 돈이 선거 자금으로 유입되는 일이 없도록 관리를 철저히 하였다. [유입되다 (流入되다)]
- 응. 저마다 선거 운동에 열심이더라. [다툼]
- 선거 때가 되니 정가에서 많은 소문들이 흘러나오기 시작한다. [정가 (政街)]
- 맞아. 그래서 난 이번 선거 때 교육 정책의 변혁을 추구하는 후보자를 지지하려고 해. [변혁 (變革)]
- 그 나라는 대통령 선거 이후에 평화로운 권력 이양이 진행되었다. [이양 (移讓)]
- 타락 선거. [타락 (墮落)]
- 부통령 선거. [부통령 (副統領)]
- 미국에서는 대통령 후보와 부통령 후보가 짝을 이루어 선거에 출마한다. [부통령 (副統領)]
- 선거 열기가 불어닥치다. [불어닥치다]
- 선거 출마. [출마 (出馬)]
- 왜 김 의원은 평소엔 점잔을 빼다가도 선거 때만 되면 백팔십도 돌변하게 될까요? [돌변하다 (突變하다)]
- 정치인은 선거에서 떨어지면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돌변하다 (突變하다)]
- 대통령 선거 개표. [개표 (開票)]
- 이번 국회 의원 선거 개표 결과는 예상과 크게 달랐다. [개표 (開票)]
- 유보되었던 정치 비자금 수사가 선거 이후 다시 시작되었다. [유보되다 (留保되다)]
- 투표장 분위기만 봐도 선거 결과에 대해 어느 정도 대세 판단이 가능했다. [대세 (大勢)]
- 중앙 선거관리위원회 회의에서 결정된 선거 관리 대책이 열 개의 시, 도 선거관리위원회에 시달됐다. [시달되다 (示達되다)]
- 선거 공보. [공보 (公報)]
- 우리 부서에서는 각 가정에 선거 공보를 보내는 일을 한다. [공보 (公報)]
- 김 의원은 선거 과정에서 법을 어긴 죄로 경찰에 구속되었다. [법 (法)]
- 관권 선거. [관권 (官權)]
- 관권을 동원한 부정 선거에 대항하여 혁명이 일어났다. [관권 (官權)]
- 한 선거 후보자가 보선 결과를 보이콧을 해서 선거 관리 위원회가 조사에 나섰다. [보이콧 (boycott)]
- 선거는 끝났지만 아직 개표한 곳은 없다. [개표하다 (開票하다)]
- 빠르고 정확하게 개표하기 위하여 선거 관리 위원회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개표하다 (開票하다)]
- 이제 최 후보에게는 선거 공약 완수가 문제이다. [완수 (完遂)]
- 선거 기권. [기권 (棄權)]
- 기권 표는 선거를 하지 않겠다는 뜻이므로 그 표는 무효가 된다. [기권 (棄權)]
- 지부장 선거. [지부장 (支部長)]
- 대법원장은 전 대통령의 탄핵 소추 배경을 불법 선거 개입, 재산 형성 과정에서의 의혹 등으로 설명했다. [소추 (訴追)]
- 대통령 선거 후보들이 유권자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열심히 선거 운동을 한다. [유권자 (有權者)]
- 선거 운동원. [운동원 (運動員)]
- 여당의 대통령 후보를 지지하는 선거 운동원이에요. [운동원 (運動員)]
- 상대편 후보의 급부상으로 위기감을 느낀 김 후보는 급히 선거 대책 회의를 열었다. [급부상 (急浮上)]
- 지자제 선거. [지자제 (地自制)]
- 선거 관리 위원회는 불법 선거 활동을 한 후보자의 자격을 박탈하였다. [박탈하다 (剝奪하다)]
- 선거 이후 새롭게 구성된 국회가 개원을 했다. [개원 (開院)]
- 한 후보자는 선거 관련 금품을 살포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되었다. [살포하다 (撒布하다)]
- 선거가 다가오니 거리가 시끄럽네. [살포하다 (撒布하다)]
- 언론의 선거 개입 의도가 노골화되고 있어요. [노골화되다 (露骨化되다)]
- 선거 참모. [참모 (參謀)]
- 이번 선거는 후보들이 치열한 접전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며 선거 경쟁이 가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가열 (加熱)]
- 김 의원은 불법 선거 운동으로 그 동안의 위상이 실추되었다. [실추되다 (失墜되다)]
- 유명한 연예인의 국회 의원 선거 출마 선언 이야기 들었어? [선언 (宣言)]
- 간접 선거 방식. [간접 선거 (間接選擧)]
- 간접 선거를 실시하다. [간접 선거 (間接選擧)]
- 간접 선거를 치르다. [간접 선거 (間接選擧)]
- 과거에는 대통령 선거가 국회 의원에 의한 간접 선거 방식으로 치러졌다. [간접 선거 (間接選擧)]
- 미국에서는 대통령 선출을 앞두고 간접 선거를 위한 선거인단 투표가 이루어지고 있다. [간접 선거 (間接選擧)]
- 사람들은 자신의 마음에 드는 공약을 내건 국회의원 선거 후보들을 밀어주었다. [밀어주다]
- 정부의 이번 정책은 대통령의 선거 공약의 연장선에 놓여 있는 것이다. [연장선 (延長線)]
- 김 후보자의 선거 자금은 지지자들이 낸 헌금으로 마련되었다. [헌금 (獻金)]
- 그 후보자는 동네방네 다니며 선거 운동을 했다. [동네방네 (洞네坊네)]
- 일부 정치 세력이 투표 과정에 부당히 개입해 선거 결과를 조작한 사실이 밝혀졌다. [부당히 (不當히)]
- 이 박사는 부정 선거 사실을 알자 앞장서서 이를 지탄하고 나섰다. [지탄하다 (指彈하다)]
- 조합장 선거. [조합장 (組合長)]
- 선거 지구. [지구 (地區)]
- 여러 후보가 등록한 서울 지구 선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구 (地區)]
- 그 후보는 좋은 공약과 꾸준한 민심 공략으로 선거 판도를 뒤집었다. [판도 (版圖)]
- 공식 선거 운동. [선거 운동 (選擧運動)]
- 불법 선거 운동. [선거 운동 (選擧運動)]
- 선거 운동 기간. [선거 운동 (選擧運動)]
- 선거 운동을 펼치다. [선거 운동 (選擧運動)]
- 선거 운동을 하다. [선거 운동 (選擧運動)]
- 공식 선거 운동 기간은 오늘부터 선거일 전날 자정까지다. [선거 운동 (選擧運動)]
- 당국에서는 불법 선거 운동을 집중적으로 단속할 계획이다. [단속하다 (團束하다)]
- 선거 막바지에 특정 후보를 헐뜯는 전단이 대량으로 살포되었다고 한다. [살포되다 (撒布되다)]
- 검찰은 국회의원 선거 과정에서 금품이 살포된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에 나섰다. [살포되다 (撒布되다)]
- 지금 전국에서 선거 결과가 나오고 있죠? [특별시 (特別市)]
- 네. 특별시를 포함하여 다섯 개 광역시와 도에서 선거 결과가 집계되고 있습니다. [특별시 (特別市)]
- 대통령은 선거 공약으로 제시했던 사항을 그대로 추진하여 국민들의 높은 지지를 얻었다. [추진하다 (推進하다)]
- 나도 그렇게 생각해. 그래서 이번 반장 선거 때 지수를 뽑을 거야. [앞장서다]
- 동장 선거. [동장 (洞長)]
- 선거에 당선된 신임 동장이 주민들에게 서면으로 감사 인사를 전했다. [동장 (洞長)]
- 선거일에 갑자기 내린 폭설로 투표율이 저조해 재투표가 실시되었다. [재투표 (再投票)]
- 당선자가 선거 유세 기간 중에 다른 후보를 비난한 것이 밝혀져 재투표를 했다. [재투표 (再投票)]
- 회사 총주주 선거가 재투표에 들어간 이유가 무엇입니까? [재투표 (再投票)]
-
ㅅㄱ (
시계
)
: 시간을 나타내는 기계.
☆☆☆
명사
🌏 CLOCK: A machine that shows the time. -
ㅅㄱ (
세계
)
: 지구 위에 있는 모든 나라.
☆☆☆
명사
🌏 WORLD; UNIVERSE: All the countries on the earth. -
ㅅㄱ (
소금
)
: 짠맛을 내는 하얀 가루.
☆☆☆
명사
🌏 SALT: A white powder that tastes saline. -
ㅅㄱ (
습관
)
: 오랫동안 되풀이하는 동안에 저절로 익혀진 행동 방식.
☆☆☆
명사
🌏 HABIT: A mode of behavior naturally learned through repetition. -
ㅅㄱ (
사고
)
: 예상하지 못하게 일어난 좋지 않은 일.
☆☆☆
명사
🌏 ACCIDENT: An unfortunate affair that happens unexpectedly. -
ㅅㄱ (
소개
)
: 둘 사이에서 양쪽의 일이 잘 진행되게 힘씀.
☆☆☆
명사
🌏 MEDIATION: An act of making efforts, in the midst of something, to help things work out between two parties. -
ㅅㄱ (
수고
)
: 어떤 일을 하느라 힘을 들이고 애를 씀. 또는 그런 어려움.
☆☆☆
명사
🌏 TROUBLE; EFFORT: The act of making efforts to do something, or such a trouble. -
ㅅㄱ (
시간
)
: 어떤 때에서 다른 때까지의 동안.
☆☆☆
명사
🌏 TIME: The amount of time from one point to another. -
ㅅㄱ (
시간
)
: 하루의 24분의 1이 되는 동안을 나타내는 단위.
☆☆☆
의존 명사
🌏 HOUR: A bound noun indicating one of the 24 hours in a day. -
ㅅㄱ (
생각
)
: 사람이 머리를 써서 판단하거나 인식하는 것.
☆☆☆
명사
🌏 THOUGHT: The act of a human being using his/her brains to judge or perceive something. -
ㅅㄱ (
수건
)
: 몸, 얼굴, 손의 물기를 닦는 데 쓰는 천.
☆☆☆
명사
🌏 TOWEL: A cloth used to wipe the water off the body, face and hand. -
ㅅㄱ (
사과
)
: 모양이 둥글고 붉으며 새콤하고 단맛이 나는 과일.
☆☆☆
명사
🌏 APPLE: A round-shaped sweet and sour fruit with red skin. -
ㅅㄱ (
성격
)
: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성질이나 품성.
☆☆☆
명사
🌏 PERSONALITY; CHARACTER: A person's innate quality or character. -
ㅅㄱ (
성공
)
: 원하거나 목적하는 것을 이룸.
☆☆☆
명사
🌏 SUCCESS: The act of achieving something that one wanted or aimed for. -
ㅅㄱ (
식구
)
: 한집에서 함께 사는 사람.
☆☆☆
명사
🌏 FAMILY MEMBER: A group of people who mainly live together in the same house. -
ㅅㄱ (
시골
)
: 도시에서 떨어져 있어 인구가 적고 개발이 덜 된 곳.
☆☆☆
명사
🌏 RURAL AREA; COUNTRYSIDE: An underdeveloped, thinly populated area far from a city.
• 요리 설명하기 (119) • 요일 표현하기 (13) • 음식 주문하기 (132) • 건강 (155) • 길찾기 (20) • 날씨와 계절 (101) • 컴퓨터와 인터넷 (43) • 여가 생활 (48) • 철학·윤리 (86) • 초대와 방문 (28) • 외양 (97) • 소개하기(자기소개) (52) • 음식 설명하기 (78) • 주거 생활 (48) • 감정, 기분 표현하기 (191) • 사회 제도 (78) • 식문화 (104) • 가족 행사 (57) • 직장 생활 (197) • 물건 사기 (99) • 보건과 의료 (204) • 복장 표현하기 (121) • 공공 기관 이용하기(출입국 관리 사무소) (2) • 언어 (160) • 대중 매체 (47) • 소개하기(가족 소개) (41) • 사회 문제 (226) • 스포츠 (88) • 언론 (36) • 공공 기관 이용하기(도서관)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