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 (科擧)
명사
1. 고려와 조선 시대에 실시했던 관리를 뽑기 위한 국가 시험.
1. GWAGEO: civil service examination: A national examination to select public servants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
과거 시험.
Past tests. -
과거 제도.
Past institutions. -
과거를 준비하다.
Prepare for the past. -
과거를 치르다.
Seek the past. -
과거에 급제하다.
Pass the examination in the past. -
과거에 응시하다.
Examine the past. -
옛날에는 능력을 기준으로 하는 과거를 통해 인재를 뽑았다.
In the old days, talent was drawn through the past based on ability. -
옛날 과거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합격한 사람은 바로 관직에 오를 수 있었다.
In the old days, those who passed the examination with excellent grades were immediately able to enter government service. -
♔
옛날 과거 문제는 많이 어려웠을까요?
Was the old past a lot difficult?
♕ 아무래도 관리를 뽑는 시험이었으니 쉽지는 않았을 거예요.
It wasn't easy because it was a management test.
🗣️ 발음, 활용: • 과거 (
과거
)
🗣️ 과거 (科擧) @ 뜻풀이
- 시제 (時制) : 언어에서, 현재, 과거, 미래 등의 시간을 표현하는 문법.
- 과거형 (過去形) : 문법에서,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단어나 표현의 형태.
- 오래전 (오래前) : 긴 시간이 지난 과거.
- -더- :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그대로 옮겨 와서 전달한다는 뜻을 나타내는 어미.
- -던고 : (아주낮춤으로)(옛 말투로) 과거의 사실에 대해 점잖게 묻거나 꾸짖어 묻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삼시 (三時) :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때.
- 문관 (文官) : (옛날에) 나라에서 실시하는 과거 시험에 합격한 고급 관리.
- 급제 (及第) : (옛날에) 과거 시험에 합격함.
- -었더라면 : 현재 그렇지 않음을 표현하기 위해 과거 상황과 반대되는 가정을 할 때 쓰는 표현.
- 금강 (錦江) : 전라북도에서 시작하여 전라북도 동부 지역과 충청북도 남동 지역을 지나 서해로 흘러드는 강. 중류와 하류에 평야가 발달되어 있어 과거 백제 문화의 중심지를 이루었다.
- 급제하다 (及第하다) : (옛날에) 과거 시험에 합격하다.
- -였더라면 : 현재 그렇지 않음을 표현하기 위해 과거 상황과 반대되는 가정을 할 때 쓰는 표현.
- -았더라면 : 현재 그렇지 않음을 표현하기 위해 과거 상황과 반대되는 가정을 할 때 쓰는 표현.
- 장원 (壯元/狀元) : 옛날에 과거 시험에서 첫째 등급에서 첫째로 뽑힘, 또는 그 사람.
🗣️ 과거 (科擧) @ 용례
- 과거 몇 번의 큰 전쟁을 거치면서 우리나라의 많은 문화유산이 소멸했다. [소멸하다 (消滅하다)]
- 머나먼 과거. [머나멀다]
- 과거 시장을 지낸 적이 있던 그가 이번에 국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였다. [지내다]
- '먹었다'의 '-었-'은 과거 시제를 나타낸다. [시제 (時制)]
- 노인은 젋은 시절의 이야기를 과거 시제로 말했다. [시제 (時制)]
- 언어 구문에서 시간은 과거 시제, 현재 시제, 미래 시제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시제 (時制)]
- 한국은 과거 두 자리 숫자의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었다. [숫자 (數字)]
- 새 정부의 개혁은 과거 비리 척결에 휘말려 본말이 전도되고 있다. [본말이 전도되다]
- 옛날에는 갑, 을, 병의 과거 합격 순위에 따라 벼슬을 할 수 있었다. [갑 (甲)]
- 과거 우리의 어머니들은 굶는 한이 있어도 아이들은 학교에 보내셨다. [-는 한이 있어도]
- 불행한 과거. [불행하다 (不幸하다)]
- 과거의 행적. [행적 (行跡/行績/行蹟)]
- 정치인의 과거 행적이 사회에 뜨거운 논란을 일으켰다. [행적 (行跡/行績/行蹟)]
- 불문한 과거. [불문하다 (不問하다)]
- 과거 시험장에는 벼슬을 꿈꾸는 문사들이 구름같이 몰려들었다. [문사 (文士)]
- 오늘은 현재 시제를 과거 시제와 미래 시제로 바꾸는 연습을 했다. [현재 시제 (現在時制)]
- 한국어는 현재의 일을 현재 시제가 아닌 과거 시제 표지로 나타내기도 한다. [현재 시제 (現在時制)]
- 학생, 과거 시제인 '먹었다'를 현재 시제로 바꿔서 표현해 볼래요? [현재 시제 (現在時制)]
- 그 문장은 과거 시제가 아닌 현재 완료 시제로 번역될 수 있다. [현재 완료 (現在完了)]
- 과거 병력. [병력 (病歷)]
- 이순신 장군을 아직까지 기억하는 것은 과거 전쟁에서의 전공이 대단했기 때문이다. [전공 (戰功)]
- 과거 봉건 제도하에서 여성이란 가정에서 살림만 돌보는 존재였다. [봉건 제도 (封建制度)]
- 추악한 과거. [추악하다 (醜惡하다)]
- 나는 온갖 비행을 일삼던 추악한 과거에서 벗어나 새 출발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추악하다 (醜惡하다)]
- 과거 동서 냉전의 시대에 마르크스는 사회주의 국가에서 숭배되던 존재였다. [동서 (東西)]
- 과거에는 미국과 소련이 정치적으로 많은 갈등을 빚었다며? [동서 (東西)]
- 과거 울릉도와 주변 섬들은 우산국이라는 하나의 독립된 나라였다. [독립되다 (獨立되다)]
- 과거 신약 개발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들에 의해 독점되었지만 최근에는 한국이 신약 개발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독점되다 (獨占되다)]
- 한일 공동 선언에서 과거 직시를 통해 양국이 미래 지향적인 관계를 구축해 나갈 것을 약속하였다. [직시 (直視)]
- 까마득한 과거. [까마득하다]
- 과거 한국은 노동 및 기술 집약적 기계 공업을 통해 효과적인 경제 개발을 이끌어냈다. [집약적 (集約的)]
- 과거 시험에 급제한 선비는 훗날 정승의 자리에까지 올랐다. [정승 (政丞)]
- 남부끄러운 과거. [남부끄럽다]
- 과거 전쟁이 일어났던 그 지역의 곳곳에서는 아직도 불발탄이 발견되어 폭발물 처리 부대가 수거 작업을 하고 있다. [불발탄 (不發彈)]
- 과거 왕에게 충언을 하다 처형된 신하들도 있었다. [충언 (忠言)]
- 후회스러운 과거. [후회스럽다 (後悔스럽다)]
- 과거 불문. [불문 (不問)]
- 과거 이맘때. [이맘때]
- 그 국회 의원은 회사를 경영한 과거 지위를 정치적인 수단으로 이용했다. [정치적 (政治的)]
- 과거 의적들이 날라다 주는 전곡으로 마을 사람들은 굶을 걱정 없이 살았다고 한다. [전곡 (錢穀)]
- 영광스러운 과거. [영광스럽다 (榮光스럽다)]
- 마라톤으로 세계를 제패했던 그는 가끔씩 영광스러웠던 자신의 과거를 떠올리곤 한다. [영광스럽다 (榮光스럽다)]
- 활용한 동사 형태를 잘못 봐서 현재 시제를 과거 시제로 착각했다. [활용하다 (活用하다)]
- 동사와 관형사형 어미 ‘-던’이 결합한 관형절의 시제는 과거 회상인 경우가 많다. [관형절 (冠形節)]
- 과거 급제. [급제 (及第)]
- 그는 두 번 만에 과거 급제의 꿈을 이루었다. [급제 (及第)]
- 조선 시대에는 출세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과거 급제였다. [급제 (及第)]
- 옛날에 과거 시험 급제를 위해서는 뛰어난 글짓기 실력이 요구되었다. [급제 (及第)]
- 그 외국인 학생은 미래 시제 문장에 과거 시제 어미 '-었-'을 잘못 사용했다. [어미 (語尾)]
- 이 수도원은 과거 종교 박해 때문에 문을 닫은 적이 있습니다. [수도자 (修道者)]
- 과거 완료를 배우다. [과거 완료 (過去完了)]
- 과거 완료를 틀리다. [과거 완료 (過去完了)]
- 과거 완료로 나타내다. [과거 완료 (過去完了)]
- 과거 완료로 쓰다. [과거 완료 (過去完了)]
- 과거 완료로 표현하다. [과거 완료 (過去完了)]
- 영어의 완료 시제에는 과거 완료, 현재 완료, 미래 완료가 있다. [과거 완료 (過去完了)]
- 그는 매일 열심히 글공부를 하면서도 과거 시험에는 뜻이 없었다. [글공부 (글工夫)]
- 어두운 과거. [어둡다]
- 죄수는 감옥을 나가면 어두운 과거를 떨쳐 버리고 새 삶을 살기로 결심했다. [어둡다]
- 응, 어쩌면 과거에 큰 잘못을 저질렀을지도 몰라. [어둡다]
- 나는 과거 함께 일하던 사람을 만나 술좌석을 가진 적이 있다. [술좌석 (술坐席)]
- 과거 청산. [청산 (淸算)]
- 사내는 과거의 잘못에 대한 청산 없이 뻔뻔하게 사람들 앞에 나타났다. [청산 (淸算)]
- 아닙니다. 잘못된 과거의 청산이 되지 않으면 밝은 미래가 있을 수 없습니다. [청산 (淸算)]
- 걸어온 과거. [걸어오다]
- 우리나라가 과거 실천했던 계획 경제는 성공 사례로 꼽히고 있습니다. [계획 경제 (計劃經濟)]
- 연예인 이 모씨는 과거 도박에 손을 대면서 타락하기 시작했다고 고백했다. [타락하다 (墮落하다)]
- 우리는 과거 획일주의로 인해 개인의 개성과 창의성을 무시하곤 했다. [획일주의 (劃一主義)]
- 역사학자들은 과거 우리나라의 문호 개방을 근대의 시작을 여는 정책이라고 재평가했다. [재평가하다 (再評價하다)]
- 시제에는 보통 과거, 현재, 미래가 있다. [미래 (未來)]
- 이 부분은 미래 시제로 쓰였는데 과거 시제로 잘못 해석했다. [미래 (未來)]
- 박 씨는 과거 시험에 합격하여 그 마을의 새로운 사또로 부임했다. [사또 (使道▽)]
- 대한민국은 과거 일제의 침략과 식민지 지배를 경험했다. [침략 (侵略)]
- 응, 과거 영국과 합방되었던 영향 때문에 영어를 사용한대. [합방되다 (合邦되다)]
- 암울한 과거. [암울하다 (暗鬱하다)]
- 과거 강력한 문명 국가가 자리 잡은 곳에는 그 국가를 중심으로 위성 국가가 존재했다. [위성 국가 (衛星國家)]
- 옛날에는 재야인사들이 과거 시험을 통해 국가의 관리가 될 수 있었다. [재야인사 (在野人士)]
- 굴욕적인 과거. [굴욕적 (屈辱的)]
- 먼 과거. [멀다]
- 굴욕적 과거. [굴욕적 (屈辱的)]
- 과거 우리 정부에서는 인구 증가를 막기 위해 가족계획을 장려했다. [가족계획 (家族計劃)]
- 정부가 과거 빼앗긴 유물들을 조사하고 있다. [조사되다 (調査되다)]
- 과거 혼혈아라는 이유로 차별과 멸시 속에 사셨다고 들었습니다. [멸시 (蔑視)]
- 과거로의 회귀. [회귀 (回歸)]
- 누구도 과거 체제로의 회귀는 원하지 않았다. [회귀 (回歸)]
- 아무리 옛것이 좋다고 하더라도 무조건적인 과거로의 회귀는 바람직하지 않다. [회귀 (回歸)]
- 아저씨는 과거 구금 생활 중에 당한 고문으로 다리를 절뚝이신다. [구금 (拘禁)]
- 과거 시험을 볼 때에는 수험생이 경서를 고사장으로 가지고 들어오지 못하도록 몸수색을 했다. [경서 (經書)]
- 사내는 과거 운동화를 훔친 잘못에 대한 속죄의 뜻으로 주인에게 돈을 갚았다. [속죄 (贖罪)]
- 수도권은 과거 산업화 시대에 인구가 기하급수로 팽창하여 주택난이 극심하였다. [기하급수 (幾何級數)]
- 맞아. 과거 대도시를 중심으로만 발전했던 것에서 슬슬 벗어나고 있는 것 같아. [중소 (中小)]
- 백 의원은 과거 십 년간 변칙적으로 정치 자금을 조달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변칙적 (變則的)]
- 과거 우리나라의 가족제도는 주로 가장을 중심으로 하는 대가족 제도였다. [가족 제도 (家族制度)]
- 과거 군부 독재 시절의 검찰은 죄 없는 민주주의자들을 끔찍한 고문과 학살로 혹독하게 핍박하였다. [핍박하다 (逼迫하다)]
- 과거 몇 년간의 추세를 보여주는 기업의 회계는 성장과 쇠퇴를 나타내는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다. [바로미터 (barometer)]
- 이 모형은 과거 전쟁 중에 사라진 절의 모습을 복원한 것이란다. [되세우다]
- 치욕적 과거. [치욕적 (恥辱的)]
- 나는 그에게 희롱을 당한 치욕적 과거를 아직까지 잊지 못하고 있다. [치욕적 (恥辱的)]
- 치욕스러운 과거. [치욕스럽다 (恥辱스럽다)]
- 과거는 현재보다 무조건 이상적이라는 생각은 과거 지향의 복고주의 역사관이다. [복고주의 (復古主義)]
- 우리나라는 과거에 외국과 교류하지 않는 폐쇄적인 모습을 보인 때가 있었단다. [복고주의 (復古主義)]
- 이곳은 과거 조상들이 나라를 지키기 위해 적군과 치열하게 대전을 벌인 곳이거든요. [대전 (對戰)]
- 자신의 과거 학교생활을 되돌아본 지수는 스스로가 한심하게 느껴졌다. [되돌아보다]
- 치욕적인 과거. [치욕적 (恥辱的)]
- 그가 과거 애인의 이름을 입 밖에 내는 실수를 저지른 것이 불화의 빌미가 되었다. [빌미]
- 이 조각상은 과거 이름난 조각가가 왕에게 진상한 거래. [진상하다 (進上하다)]
- 집착한 과거. [집착하다 (執着하다)]
- 비슷한 범죄가 연이어 발생하자 경찰은 급하게 마무리 지은 과거 사건을 재조명하겠다고 발표했다. [재조명하다 (再照明하다)]
- 과거 독재 정권 당시에는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정치적 공작이 자주 이루어졌다. [공작 (工作)]
- 과거 식민지였던 나라는 지배를 받던 당시에는 자위권이 없었다. [자위권 (自衛權)]
- 과거 시제를 배우다. [과거 시제 (過去時制)]
- 과거 시제를 틀리다. [과거 시제 (過去時制)]
- 과거 시제로 나타내다. [과거 시제 (過去時制)]
- 과거 시제로 쓰다. [과거 시제 (過去時制)]
- 과거 시제로 표현하다. [과거 시제 (過去時制)]
- 과거 시제는 과거의 사실, 동작, 습관을 나타낼 때 쓴다. [과거 시제 (過去時制)]
- 조선 시대에 뛰어난 장수인 그는 과거 시험에서 장원으로 급제했다. [장원 (壯元/狀元)]
- 과거 같으면. [같다]
- 뽕나무는 과거 양잠이 성했을 때 많이 심었던 나무이다. [양잠 (養蠶)]
- 어슴푸레한 과거. [어슴푸레하다]
-
ㄱㄱ (
각각
)
: 여럿을 하나씩 떼어 놓은 하나하나의 것.
☆☆☆
명사
🌏 EACH; EVERY SINGLE: Every one of two or more considered individually. -
ㄱㄱ (
과거
)
: 지나간 때.
☆☆☆
명사
🌏 PAST: A time that has passed -
ㄱㄱ (
관광
)
: 어떤 곳의 경치, 상황, 풍속 등을 찾아가서 구경함.
☆☆☆
명사
🌏 TOURISM: The act of going to a place to see or observe its scenery, environment, customs, etc. -
ㄱㄱ (
고기
)
: 음식으로 먹는 동물의 살.
☆☆☆
명사
🌏 MEAT: The flesh of animals that is eaten as food. -
ㄱㄱ (
거기
)
: 듣는 사람에게 가까운 곳을 가리키는 말.
☆☆☆
대명사
🌏 THERE: A pronoun used to indicate a place close to the listener. -
ㄱㄱ (
건강
)
: 몸이나 정신이 이상이 없이 튼튼한 상태.
☆☆☆
명사
🌏 HEALTH; WELLBEING: A state of body and mind that is robust with no illness. -
ㄱㄱ (
고개
)
: 목을 포함한 머리 부분.
☆☆☆
명사
🌏 HEAD: A word referring to one's head, including the neck. -
ㄱㄱ (
가격
)
: 물건의 가치를 돈으로 나타낸 것.
☆☆☆
명사
🌏 PRICE: A value amount for something that is for sale. -
ㄱㄱ (
감기
)
: 보통 기침, 콧물, 두통, 오한의 증상이 있는, 전염성이 있는 병.
☆☆☆
명사
🌏 COLD: A contagious disease that generally comes with symptoms such as coughing, runny nose, headache and chills. -
ㄱㄱ (
결과
)
: 어떤 일이나 과정이 끝난 후의 상태나 현상.
☆☆☆
명사
🌏 RESULT; OUTCOME: The state or status after a project or process is completed. -
ㄱㄱ (
가구
)
: 집 안에서 쓰이는 침대, 옷장, 식탁 등과 같은 도구.
☆☆☆
명사
🌏 FURNITURE: Objects used in a house such as a bed, chest, table, etc. -
ㄱㄱ (
각각
)
: 하나하나마다 따로.
☆☆☆
부사
🌏 EACH; EVERY: Separately; each per each. -
ㄱㄱ (
경기
)
: 운동이나 기술 등의 능력을 서로 겨룸.
☆☆☆
명사
🌏 GAME; MATCH: Sports or skill-based competitions. -
ㄱㄱ (
그거
)
: 듣는 사람에게 가까이 있거나 듣는 사람이 생각하고 있는 것을 가리키는 말.
☆☆☆
대명사
🌏 A pronoun used to indicate something close to the listener or something the listener has in mind. -
ㄱㄱ (
광고
)
: 사람들에게 널리 알림.
☆☆☆
명사
🌏 ADVERTISEMENT; PUBLICITY: The act of promoting something to people. -
ㄱㄱ (
그것
)
: 듣는 사람에게 가까이 있거나 듣는 사람이 생각하고 있는 것을 가리키는 말.
☆☆☆
대명사
🌏 A pronoun used to indicate something close to the listener, or something the listener has in mind. -
ㄱㄱ (
가게
)
: 작은 규모로 물건을 펼쳐 놓고 파는 집.
☆☆☆
명사
🌏 SHOP; STORE: A place where products are displayed and sold on a small scale. -
ㄱㄱ (
관계
)
: 둘 이상의 사람, 사물, 현상 등이 서로 관련을 맺음. 또는 그런 관련.
☆☆☆
명사
🌏 RELATIONSHIP: A state in which two or more people, things, phenomena, etc., become interrelated; or such a relation. -
ㄱㄱ (
구경
)
: 흥미나 관심을 가지고 봄.
☆☆☆
명사
🌏 SIGHTSEEING: An act of watching something or someone with curiosity or interest. -
ㄱㄱ (
그곳
)
: 듣는 사람에게 가까운 곳을 가리키는 말.
☆☆☆
대명사
🌏 THERE: A pronoun used to indicate somewhere that is close to the listener. -
ㄱㄱ (
기간
)
: 어느 일정한 때부터 다른 일정한 때까지의 동안.
☆☆☆
명사
🌏 PERIOD; TERM: The gap from a certain time to another time.
• 공공 기관 이용하기(출입국 관리 사무소) (2) • 사회 제도 (78) • 인간관계 (255) • 주말 및 휴가 (47) • 성격 표현하기 (110) • 건축 (43) • 취미 (103) • 예술 (76) • 지리 정보 (138) • 정치 (149) • 환경 문제 (81) • 집안일 (41) • 요일 표현하기 (13) • 언어 (160) • 물건 사기 (99) • 심리 (365) • 한국 생활 (16) • 스포츠 (88) • 약속하기 (4) • 초대와 방문 (28) • 문화 차이 (52) • 문화 비교하기 (47) • 컴퓨터와 인터넷 (43) • 외양 (97) • 주거 생활 (48) • 식문화 (104) • 음식 설명하기 (78) • 공공 기관 이용하기(도서관) (8) • 문제 해결하기(분실 및 고장) (28) • 사회 문제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