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SSERTION: The act of strongly presenting one's opinion or belief, or such opinion or belief.
▹ 발음, 활용: • 주장 (
주장
)
▹ 파생어:
• 주장되다(主張되다): 자신의 의견이나 신념이 굳게 내세워지다.
• 주장하다(主張하다): 자신의 의견이나 신념을 굳게 내세우다.
▹ 분류:
• 내밀다 : 의견이나 주장 등을 계속 내세우다.
• 강경하다 (強硬하다) : 태도나 주장 등이 타협하거나 양보하지 않을 정도로 강하다.
• 평행선 (平行線) : (비유적으로) 의견이나 주장 등이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계속 대립함.
• 무용론 (無用論) : 어떤 것이 쓸모없고 필요 없다는 주장.
• 선전문 (宣傳文) : 어떤 주의나 주장, 사물의 좋은 점 등을 사람들에게 말하여 널리 알리는 글.
• 선전물 (宣傳物) : 어떤 주의나 주장, 사물의 좋은 점 등을 사람들에게 말하여 널리 알리는 데에 쓰는 물건.
• 선전용 (宣傳用) : 어떤 주의나 주장, 사물의 좋은 점 등을 사람들에게 말하여 널리 알리는 데에 씀. 또는 그런 것.
• 선전하다 (宣傳하다) : 어떤 주의나 주장, 사물의 좋은 점 등을 사람들에게 말하여 널리 알리다.
• 표어 (標語) : 주장 등을 간단하게 나타낸 짧은 말이나 글.
• 명분론 (名分論) : 어떤 일을 하기 위해 이유나 핑계를 내세우는 입장이나 주장.
• 반박문 (反駁文) : 어떤 의견이나 주장 등에 반대하는 내용을 적은 글.
• 합치되다 (合致되다) : 의견, 주장, 생각 등이 서로 어긋나지 않고 정확히 맞게 되다.
• 합치하다 (合致하다) : 의견, 주장, 생각 등이 서로 어긋나지 않고 정확히 맞다.
• -론 (論) : ‘주장’ 또는 ‘이론’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종말론 (終末論) : 천지의 변화로 이 세계가 끝나고 신이 최후의 심판을 할 것이라는 주장.
• 굽히다 : 자신의 뜻, 의견, 주장 등을 꺾고 남을 따르다.
• 반론 (反論) : 다른 사람의 주장이나 의견에 반대하여 말함. 또는 그런 주장.
• 부화뇌동 (附和雷同) : 자기 생각이나 주장 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 움직임.
• 동조자 (同調者) : 다른 사람의 말이나 생각, 주장 등을 옳게 여겨 따르면서 행동을 함께하는 사람.
• 동조적 (同調的) : 다른 사람의 말이나 생각, 주장 등을 옳게 여겨 따르는 것.
• 진화론 (進化論) : 생물은 생명이 시작된 이후부터 점점 변해 가는 것이라는 주장.
• 창달 (暢達) : 의견이나 주장, 생각 등을 방해받는 것 없이 자유롭게 표현하고 전달함.
• 찬반양론 (贊反兩論) : 찬성과 반대로 서로 맞서는 두 가지 주장.
• 창달하다 (暢達하다) : 의견이나 주장, 생각 등을 방해받는 것 없이 자유롭게 표현하고 전달하다.
• 일축되다 (一蹴되다) : 소문이나 의혹, 주장 등이 강하게 부인되거나 더 이상 말해지지 않다.
• 강경히 (強硬히) : 태도나 주장 등을 타협하거나 양보하지 않을 정도로 강하게.
• 강경 (強硬) : 태도나 주장 등이 타협하거나 양보하지 않을 정도로 강함.
• 일치점 (一致點) : 둘 이상의 의견이나 주장 등이 서로 같거나 들어맞는 점.
• 정론 (正論) : 올바르고 이치에 맞는 의견이나 주장.
• 이설 (異說) :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과는 다른 의견이나 주장.
• -으라고요 :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한 제안, 명령, 주장 등을 되풀이하거나 강조함을 나타내는 표현.
• 사설 (社說) : 신문이나 잡지에서 글쓴이의 주장 또는 의견을 써 놓은 글.
• 선전 (宣傳) : 어떤 주의나 주장, 사물의 좋은 점 등을 사람들에게 말하여 널리 알림.
• 선전되다 (宣傳되다) : 어떤 주의나 주장, 사물의 좋은 점 등이 사람들에게 말해져 널리 알려지다.
• 자유방임 (自由放任) : 국가의 간섭을 배제하고 개인의 경제 활동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려는 경제 사상에 찬성하는 주장.
• 정설 (定說) : 일반적으로 옳다고 널리 인정된 견해나 주장.
• 동조 (同調) : 다른 사람의 말이나 생각, 주장 등을 옳게 여겨 따름.
• 목소리 : (비유적으로) 의견이나 주장.
• 기치 (旗幟) : 어떤 일을 할 때 앞세우는 태도나 주장.
• 구호 (口號) : 요구나 주장, 생각 등을 나타내는 짧은 말이나 글.
• 깃발 (旗발) : 어떤 사상이나 목적을 뚜렷하게 내세우는 태도나 주장.
• 반박되다 (反駁되다) : 어떤 의견이나 주장 등에 반대되어 말해지다.
• 반박하다 (反駁하다) : 어떤 의견이나 주장 등에 반대하여 말하다.
• 반박 (反駁) : 어떤 의견이나 주장 등에 반대하여 말함.
• -라는데야 : 어떤 주장 등의 내용을 전하며 그러한 조건이라면 어쩔 수 없다는 듯이 다음 내용을 말함을 나타내는 표현.
• 실증주의 (實證主義) : 관념적인 사고가 아니라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과 현상만이 확실한 지식이 된다고 하는 주장.
• 국가주의 (國家主義) : 국가의 권력과 이익, 발전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추구하는 방침이나 주장.
• 경험주의 (經驗主義) : 철학에서 모든 지식은 실제의 경험에서 생기는 것이라는 주장.
• 합치 (合致) : 의견, 주장, 생각 등이 서로 어긋나지 않고 정확히 맞음.
• -라고요 :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한 제안, 명령, 주장 등을 되풀이하거나 강조함을 나타내는 표현.
• 동조적 (同調的) : 다른 사람의 말이나 생각, 주장 등을 옳게 여겨 따르는.
• 동조하다 (同調하다) : 다른 사람의 말이나 생각, 주장 등을 옳게 여겨 따르다.
• 일축하다 (一蹴하다) : 소문이나 의혹, 주장 등을 강하게 부인하거나 더 이상 말하지 않다.
• 입각하다 (立脚하다) : 어떤 사실이나 주장 등에 근거를 두고 그 입장을 지지하다.
• 논자의 주장. [논자 (論者)]
• 나는 법 제도가 사회의 변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논자의 주장에 동의했다. [논자 (論者)]
• 중심된 주장. [중심되다 (中心되다)]
• 많은 말을 했지만 그의 중심된 주장은 서민을 위한 정책을 펴야 한다는 것이다. [중심되다 (中心되다)]
• 원고의 주장. [원고 (原告)]
• 판사는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여 피고가 원고에게 삼백만 원을 주라고 판결했다. [원고 (原告)]
• 상반하는 주장. [상반하다 (相反하다)]
• 노동자들은 회사와 이해가 상반하여 절대 타협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상반하다 (相反하다)]
• 중도적 주장. [중도적 (中道的)]
• 강경한 주장. [강경하다 (強硬하다)]
• 상이한 주장. [상이하다 (相異하다)]
• 무의미한 주장. [무의미하다 (無意味하다)]
• 사변적인 주장. [사변적 (思辨的)]
• 일부 학자들은 음양의 조화를 중요시한 동양의 철학이 사변적이고 관념적이라고 주장했다. [사변적 (思辨的)]
• 그 학자의 주장이 학계에 받아들여지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사변적 (思辨的)]
• 사변적 주장. [사변적 (思辨的)]
• 이 주장이 사변적 내용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변적 (思辨的)]
• 도발적 주장. [도발적 (挑發的)]
• 그는 논문을 통해 기존 학자들의 견해가 완전히 틀렸다는 도발적 주장을 했다. [도발적 (挑發的)]
• 승규가 농구팀 주장 자리에 계속 말뚝을 박고 있으니 후배들은 주장을 해 볼 기회가 없었다. [말뚝(을) 박다]
• 모욕적 주장. [모욕적 (侮辱的)]
• 주장 관철. [관철 (貫徹)]
• 반민주적 주장. [반민주적 (反民主的)]
• 단정적 주장. [단정적 (斷定的)]
• 하나같은 주장. [하나같다]
• 경제학자들은 곧 경제 위기가 닥칠 것이라고 하나같은 주장을 했다. [하나같다]
• 보수파의 주장. [보수파 (保守派)]
• 합일된 주장. [합일되다 (合一되다)]
• 수학자의 주장. [수학자 (數學者)]
• 일관된 주장. [일관되다 (一貫되다)]
• 극렬분자의 주장. [극렬분자 (極烈分子)]
• 이단적인 주장. [이단적 (異端的)]
• 기존 이론을 뒤엎는 그의 이단적인 주장은 학회장에 참석한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이단적 (異端的)]
• 이단적인 주장. [이단적 (異端的)]
• 김 목사는 이단적인 주장으로 기독교 교파에서 제명될 위기에 놓였다. [이단적 (異端的)]
• 김 박사의 이번 논문은 학계에서 전혀 인정되지 않는 이단적 주장일 뿐이었다. [이단적 (異端的)]
• 이단적 주장. [이단적 (異端的)]
• 주장, 이대로 가면 우리 팀이 지겠어. [작전 타임 (作戰time)]
• 일방적인 주장. [일방적 (一方的)]
• 저 축구팀의 주장 선수야. [센터 (center)]
• 공허한 주장. [공허하다 (空虛하다)]
• 그른 주장. [그르다]
• 우리는 승규의 주장이 그르다는 것을 알았지만 지금으로서는 그의 말을 따를 수밖에 없었다. [그르다]
• 소수당의 주장. [소수당 (少數黨)]
• 흐지부지한 주장. [흐지부지하다]
• 어설픈 주장. [어설프다]
• 어색한 주장. [어색하다 (語塞하다)]
• 얼토당토않은 주장. [얼토당토않다]
• 민준이는 가끔 토론 중에 논리에 맞지 않게 얼토당토않은 주장을 할 때가 있다. [얼토당토않다]
• 억지스러운 주장. [억지스럽다]
• 엇갈린 주장. [엇갈리다]
• 무리한 주장. [무리하다 (無理하다)]
• 사상가의 주장. [사상가 (思想家)]
• 사상가가 주장하다. [사상가 (思想家)]
• 모든 것은 실용적이어야 한다는 사상가들의 주장은 과학의 발달에 밑바탕이 되었다. [사상가 (思想家)]
• 각방의 주장. [각방 (各方)]
• 유서 내용에 대한 각방의 주장이 달라 유산 상속 문제가 불거졌다. [각방 (各方)]
• 역설적인 주장. [역설적 (逆說的)]
• 사장은 신입 사원의 역설적인 주장을 신선하고 파격적이라며 호응했다. [역설적 (逆說的)]
• 용납된 주장. [용납되다 (容納되다)]
• 그 단체는 사회에 해를 끼치는 악습이 더 이상 용납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용납되다 (容納되다)]
• 옛날에는 지구가 돈다는 주장은 용납되지 않았단다. [용납되다 (容納되다)]
• 과학적인 사실인데 왜 사람들이 그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을까요? [용납되다 (容納되다)]
• 경화된 주장. [경화되다 (硬化되다)]
• 일반적인 주장. [일반적 (一般的)]
• 그릇된 주장. [그릇되다]
• 주장 완장. [완장 (腕章)]
• 중성적인 주장. [중성적 (中性的)]
• 논리적인 주장. [논리적 (論理的)]
• 김 교수의 주장에 대한 박 교수의 반박은 매우 논리적이었다. [논리적 (論理的)]
• 결론적인 주장. [결론적 (結論的)]
• 마찰되는 주장. [마찰되다 (摩擦되다)]
• 다른 주장. [다르다]
• 사학자의 주장. [사학자 (史學者)]
• 최근의 사학자들은 몇 가지 사실을 근거로, 우리나라의 청동기 문명이 알려진 것보다 앞섰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학자 (史學者)]
• 원론적 주장. [원론적 (原論的)]
• 불순 주장. [불순 (不純)]
• 합리화된 주장. [합리화되다 (合理化되다)]
• 주장이 합리화되다. [합리화되다 (合理化되다)]
• 합리화된 그의 주장은 사람들에게 설득력 있게 들렸다. [합리화되다 (合理化되다)]
• 합리적인 주장. [합리적 (合理的)]
• 교사들은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 공교육이 합리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합리적 (合理的)]
• 엮은이의 주장. [엮은이]
• 소송인의 주장. [소송인 (訴訟人)]
• 대립하는 주장. [대립하다 (對立하다)]
• 터무니없는 주장. [터무니없다]
• 맹랑한 주장. [맹랑하다 (孟浪하다)]
• 승규의 주장은 맹랑하고 공상적인 것이라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맹랑하다 (孟浪하다)]
• 권리 주장. [권리 (權利)]
• 자신에게 부여된 의무를 다할 때 비로소 자신의 권리도 주장할 수 있는 것이다. [권리 (權利)]
• 강경론자 주장. [강경론자 (強硬論者)]
• 상대방의 주장 중 합리적인 부분은 받아들이고 비합리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비판해야 한다. [비합리적 (非合理的)]
• 신학자의 주장. [신학자 (神學者)]
• 반대편 주장. [반대편 (反對便)]
• 네 의견만 주장할 것이 아니라 반대편의 의견도 들어 봐야 하지 않겠니? [반대편 (反對便)]
• 결백하다는 주장. [결백하다 (潔白하다)]
• 합리적 주장. [합리적 (合理的)]
• 일치된 주장. [일치되다 (一致되다)]
• 리드하는 주장 선수. [리드하다 (lead하다)]
• 부정한 주장. [부정하다 (否定하다)]
• 결론적 주장. [결론적 (結論的)]
• 앞에 여러 말을 늘어놓았지만 승규의 결론적 주장은 간단했다. [결론적 (結論的)]
• 저편 주장. [저편 (저便)]
• 일반적 주장. [일반적 (一般的)]
• 그의 주장은 학계에서 널리 인정되는 일반적 이론과는 거리와 멀었다. [일반적 (一般的)]
• 언어학자의 주장. [언어학자 (言語學者)]
•
ㅈㅈ (
직장
•
ㅈㅈ (
직접
•
ㅈㅈ (
자주
•
ㅈㅈ (
직접
•
ㅈㅈ (
잡지
• ㅈㅈ ( 점점 )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도가 조금씩 더. [GRADUALLY: Little by little as times goes by.] ☆☆☆ 부사
시작
주
주
끝
시작
장
장
끝
▹ 분류
• 하루 생활 (11) • 외양 (97) • 법 (42) • 건강 (155) • 소개하기(자기소개) (52) • 실수담 말하기 (19) • 여행 (98) • 사건, 사고, 재해 기술하기 (67) • 직장 생활 (197) • 과학과 기술 (91) • 언론 (36) • 시간 표현하기 (82) • 공공 기관 이용하기(도서관) (8) • 가족 행사-명절 (2) • 한국 생활 (16) • 여가 생활 (48) • 초대와 방문 (28) • 주거 생활 (48) • 보건과 의료 (204) • 물건 사기 (99) • 컴퓨터와 인터넷 (43) • 집안일 (41) • 스포츠 (88) • 인간관계 (255) • 문화 비교하기 (47) • 사회 제도 (78) • 사회 문제 (226) • 건축 (43) • 영화 보기 (8) • 직업과 진로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