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활용: • 기구 (
기구
) ▹ 분류:
• 측정기 (測定器) : 양의 크기를 재는 데 쓰는 기계나 기구.
• 개혁적 (改革的) : 불합리한 제도나 기구 등을 새롭고 고치는.
• 비데 (bidet) : 변기에 설치하여, 용변을 본 후 항문을 물로 씻는 데 쓰는 기구.
• 비 : 먼지나 쓰레기를 쓸어 내는 기구.
• 죽부인 (竹夫人) : 대나무를 가늘게 쪼갠 가닥들을 얼기설기 엮어 만든, 여름밤에 시원한 기운이 돌게 하기 위해 끼고 자는 기구.
• 등 (燈) : 불을 켜서 어두운 곳을 밝히는 데 쓰이는 기구.
• 알 : 전기를 통하여 빛을 내는 유리로 된 둥근 기구.
• 토스터 (toaster) : 전기를 이용해 식빵을 굽는 기구.
• 스틱 (stick) : 하키 등의 운동 경기에 쓰이는 긴 막대 모양의 기구.
• 램프 (lamp) : 전기를 이용하여 불을 켜는 기구.
• 운영비 (運營費) : 조직이나 기구 등을 관리하고 이끌어 나가는 데 드는 돈.
• 석유난로 (石油暖爐) : 석유를 원료로 해서 방이나 건물의 안을 따뜻하게 하는 기구.
• 인두 : 바느질할 때 불에 달구어 구겨진 천을 눌러 펴거나 주름을 잡는 데 쓰던 기구.
• 석쇠 : 쇠를 네모지거나 둥근 모양으로 그물처럼 엮어서 만든, 고기나 생선 등을 굽는 기구.
• 전기면도기 (電氣面刀器) : 전기를 이용해 수염을 깎을 수 있게 만든 기구.
• 숟가락 : 밥이나 국 등을 떠먹는 데 쓰는, 둥글고 오목한 부분과 긴 손잡이가 있는 기구.
• 물뿌리개 : 꽃이나 채소 등에 물을 줄 때 사용하는 기구.
• 튼튼히 : 조직이나 기구 등이 쉽게 무너지거나 흔들리지 않는 상태로.
• 탄탄히 : 조직이나 기구 등이 쉽게 무너지거나 흔들리지 않는 상태로.
• 전기밥솥 (電氣밥솥) : 전기를 이용하여 밥을 짓도록 만든 기구.
• 운영되다 (運營되다) : 조직이나 기구 등이 관리되고 이끌어져 나가다.
• 아령 (啞鈴) : 길지 않은 막대기의 양 끝에 둥글고 무거운 것이 달려 있어, 양손에 하나씩 들고 팔 운동을 하는 운동 기구.
• 개혁자 (改革者) : 불합리한 제도나 기구 등을 새롭고 고치는 사람.
• 딱총 (딱銃) : 화약을 종이나 통 속에 싸 넣고 그 끝에 심지를 달아 불을 붙이면 터지게 만든 놀이 기구.
• 탐조등 (探照燈) : 무엇을 밝히거나 찾아내기 위해 멀리까지 빛을 비추는 조명 기구.
• 클립 (clip) : 탄력이나 나선을 이용하여 종이 등을 집거나 끼워서 고정하는 기구.
• 탄탄하다 : 조직이나 기구 등이 쉽게 무너지거나 흔들리지 않는 상태에 있다.
• 정수기 (淨水器) : 물을 깨끗하게 거르는 기구.
• 유엔 (UN) : 제이 차 세계 대전 후 국가 간의 평화와 안전의 유지, 우호 관계 증진 및 협력을 위해 만든 국제 평화 기구.
• 농장 (農場) : 땅, 기구, 가축 등 농사에 필요한 것들을 갖추고 농업을 경영하는 곳.
• 보청기 (補聽器) : 귀가 잘 안 들리는 사람이 잘 들을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귀에 끼우는 기구.
• 운영 (運營) : 조직이나 기구 등을 관리하고 이끌어 나감.
• 확성기 (擴聲器) : 소리를 크게 하여 멀리까지 들리게 하는 기구.
• 가스레인지 (gasrange) :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음식물을 데우고 익히는 기구.
• 젓다 : 액체나 가루 등이 고르게 퍼지거나 섞이도록 손이나 기구 등으로 이리저리 돌리다.
• 핀셋 (pincette) : 손으로 집기 어려운 물건을 집는 데에 쓰는, 족집게와 비슷한 기구.
• 가전제품 (家電製品) :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 기구.
• 목마 (木馬) : 기계 체조에서 쓰며 말의 모양처럼 만든 기구.
• 수레 : 사람을 태우거나 짐을 싣는 데 쓰는, 사람이나 짐승이 끄는 바퀴가 달린 기구.
• 두다 : 직책, 조직, 기구 등을 설치하다.
• 그네 : 길게 늘어뜨린 두 줄에 발판이나 앉을 자리를 달아 거기에 타서 몸을 앞뒤로 왔다 갔다 흔들게 하는 놀이 기구.
• 도구 (道具) : 어떤 일을 할 때 쓰이는 기구. 또는 연장.
• 스피커 (speaker) : 소리를 크게 하여 멀리까지 들리게 하는 기구.
• 승압기 (昇壓器) : 전압을 높이는 기구.
• 곤봉 (棍棒) : 체조에 쓰이는 짤막한 몽둥이 모양의 운동 기구 또는 그것으로 하는 운동.
• 제재소 (製材所) : 베어 낸 나무를 건축물이나 기구 등을 만드는 재료로 쓸 수 있게 자르거나 다듬는 곳.
• 기술공 (技術工) : 특정한 기술을 이용하여 기계나 기구 등을 만들거나 수리하는 일을 하는 사람.
• 튼튼하다 : 조직이나 기구 등이 쉽게 무너지거나 흔들리지 않는 상태에 있다.
• 대공원 (大公園) : 사람들이 쉬고 즐길 수 있도록 자연 경관과 문화 시설, 놀이 기구 등을 갖추어 놓은 큰 공원.
• 리스 (lease) : 기계, 설비, 기구 등을 장기간 임대하는 것.
• 콘센트 (←concentricplug) : 전기가 흐르는 선과 코드를 이어주며, 플러그를 끼워 전기를 통하게 하는 기구.
• 짐수레 : 짐을 싣는 데 쓰는, 사람이나 짐승이 끄는 바퀴가 달린 기구.
• 스토브 (stove) : 가스, 석유, 장작 등을 연료로 때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따뜻하게 하는 기구.
• 확대경 (擴大鏡) : 물체를 실제 크기보다 크게 보이도록 볼록 렌즈로 만든 기구.
• 힘 : 기계나 기구 등이 스스로 움직이거나 다른 물체를 움직이게 하는 작용.
• 의료기 (醫療器) : 상처나 병을 치료하는 데 쓰는 기구.
• 현미경 (顯微鏡) : 눈으로는 볼 수 없을 만큼 작은 물체나 물질을 크게 볼 수 있게 만든 기구.
• 여과기 (濾過器) : 액체 속에 들어 있는 알갱이나 가라앉은 물질을 걸러 내는 데 쓰는 기구.
• 담뱃대 : 담배를 피우는 데 쓰는 기구.
• 프리즘 (prism) : 빛을 굴절시키거나 분산시킬 때 쓰는, 유리 또는 수정 등으로 만든 세모 기둥 모양의 기구.
• 청동기 (靑銅器) : 청동으로 만든 그릇이나 기구.
• 바벨 (barbell) : 역도나 근육 단련 훈련을 할 때 쓰는, 쇠막대기 양쪽에 무거운 쇳덩이가 달린 운동 기구.
• 백열등 (白熱燈) : 빛을 내는 조명 기구.
• 방독면 (防毒面) : 독가스나 세균 등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 얼굴에 쓰는 기구.
• 역기 (力器) : 역도나 근육 단련 훈련을 할 때 쓰는, 쇠막대기 양쪽에 무거운 쇳덩이가 달린 운동 기구.
• 전자레인지 (電子range) : 고주파를 이용하여 먹을거리를 데우는 조리 기구.
• 방아 : 곡식을 찧거나 빻는 기구.
• 다기 (茶器) : 찻주전자, 찻종 등과 같이 차를 끓여 마시는 데 쓰는 여러 기구.
• 걸상 (걸床) : 사람이 앉기 위해 만든 기구.
• 탈 (頉) : 기계나 기구, 설비 등의 고장.
• 연필깎이 (鉛筆깎이) : 연필을 깎는 데에 쓰는 기구.
• 가전 (家電) :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 기구.
• 열기구 (熱氣球) : 큰 주머니 속의 공기에 열을 가해 부피를 커지게 하여 떠오르게 만든 기구.
• 회전목마 (回轉木馬) : 목마에 사람을 태우고 빙글빙글 돌아가게 만든 놀이 기구.
• 가스보일러 (gasboiler) :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난방 기구.
• 특별 검사 (特別檢事) : 국회의 요청으로 구성되어 독자적인 권한을 가지고 고위 공직자의 비리나 위법 혐의에 대하여 수사하는 임시 수사 기구. 또는 그 수사를 맡은 검사.
• 집기 (什器) : 집 안이나 사무실 등에서 쓰는 온갖 기구.
• 갈퀴 : 철사나 대나무 조각을 엮어서 만든, 낙엽이나 곡물 등을 긁어모으는 데 사용하는 부챗살 모양의 기구.
• 환풍기 (換風機) : 방 안의 더럽고 탁한 공기를 내보내고 바깥의 맑은 공기를 들어오게 하는 기구.
• 장착되다 (裝着되다) : 옷, 기구, 장비 등에 장치가 달리거나 붙여지다.
• 걸쇠 : 주전자나 냄비 등을 불 위에 올려놓을 때 걸치는 기구.
• 기기 (機器/器機) : 기계, 기구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드라이어 (drier) : 찬 바람이나 더운 바람이 나와 머리를 말리거나 매만지는 데 쓰는 기구.
• 충전기 (充電器) : 전기 에너지를 모아 두는 장치에 전기를 채워 넣는 데 쓰는 기구.
• 장착 (裝着) : 옷, 기구, 장비 등에 장치를 달거나 붙임.
• 판 (板) : 바둑판이나 장기판 등 반반한 표면을 사용하는 기구.
• 평행봉 (平行棒) : 네 개의 기둥 위에 두 개의 대를 나란히 놓은, 기계 체조에 쓰는 기구.
• 정비공 (整備工) : 기계, 기구, 시설 등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살피고 고치는 기술자.
• 물레방아 : 물이 떨어질 때 생기는 힘으로 바퀴를 돌려 곡식을 찧거나 빻는 기구.
• 스키 (ski) : 눈 위로 미끄러져 가도록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좁고 긴 기구.
• 찍다 : 어떤 틀이나 기구 속에 넣고 눌러서 같은 모양의 물건을 만들다.
• 문명의 이기 : 현대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만들어진 편리한 생활 수단이나 기구.
• 측우기 (測雨器) : 조선 시대에 만든, 비가 내린 양을 재는 기구.
• 맷돌 : 둥글넓적한 두 돌 사이에 곡식을 넣고 손잡이를 돌려서 곡식을 가는 데 쓰는 기구.
• 창 (槍) : 창던지기 경기에 쓰는 기구.
• 습도계 (濕度計) : 공기 속에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는 정도를 재는 기구.
• 보행기 (步行器) : 젖을 먹는 어린 아이가 걸음을 익히기 위해 타는, 바퀴가 달린 기구.
• 가판대 (街販臺) : 물건을 놓고 팔기 위하여 거리에 임시로 설치한 기구.
• 자루 : 손으로 다루는 연장이나 기구 등의 끝에 달린 손잡이.
• 쥐덫 : 쥐를 잡는 데 쓰는 기구.
• 한시적 기구. [한시적 (限時的)]
• 이 놀이 기구 타려는 사람 엄청 많네. [한참]
• 방한 기구. [방한 (防寒)]
• 자치 기구. [자치 (自治)]
• 이번에 우리도 학생들만의 자치 기구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자치 (自治)]
• 소독한 기구. [소독하다 (消毒하다)]
• 전열 기구. [전열 (電熱)]
• 이 놀이 기구 정말 재미있지 않니? [급상승 (急上昇)]
• 국제 연합 산하 기구. [국제 연합 (國際聯合)]
• 수술실에는 수술대와 수술 기구, 약품 등이 구비되어 있다. [수술대 (手術臺)]
• 쇠로 만든 기구. [쇠]
• 인류는 청동 대신 쇠로 농기구를 만들어 농업 생산력을 높였다. [쇠]
• 네, 회원님. 미납금 십만 원을 완불하시면 당일부터 다시 기구 사용이 가능합니다. [미납금 (未納金)]
• 냉방 기구. [냉방 (冷房)]
• 경제 협력 개발 기구. [경제 협력 (經濟協力)]
• 자체 기구. [자체 (自體)]
• 국제 기구. [국제 (國際)]
• 조리용 기구. [조리용 (調理用)]
• 조리 기구. [조리 (調理)]
• 이발 기구. [이발 (理髮)]
• 초소형 기구. [초소형 (超小型)]
• 예열 기구. [예열 (豫熱)]
• 제도적인 기구. [제도적 (制度的)]
• 중앙 정치 기구. [정치 기구 (政治機構)]
• 지방 정치 기구. [정치 기구 (政治機構)]
• 커다란 정치 기구. [정치 기구 (政治機構)]
• 정치 기구 개편. [정치 기구 (政治機構)]
• 정치 기구에 들어가다. [정치 기구 (政治機構)]
• 정치 기구를 개혁하다. [정치 기구 (政治機構)]
• 실리콘은 불에 녹을 수 있으므로 전열 기구 가까이에 놓지 마십시오. [실리콘 (silicon)]
• 피임 기구. [피임 (避妊/避姙)]
• 지난주에 놀이동산으로 소풍을 다녀왔는데 사람이 정말 많아 놀이 기구 하나를 타는 데 삼십 분 이상을 기다렸다. [놀이동산]
• 아니요. 놀이 기구를 타는 걸 무서워해서 거의 가지 않아요. [놀이동산]
• 실험 기구. [실험 (實驗)]
• 중립적인 기구. [중립적 (中立的)]
• 사법 기관은 중립적인 기구로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해. [중립적 (中立的)]
• 놀이 기구를 타다. [타다]
• 나는 겁이 많아서 놀이공원에 있는 놀이 기구 같은 것은 못 탄다. [타다]
• 상설 기구. [상설 (常設)]
• 우리 놀이공원 패스에는 놀이 기구 탑승권이 포함되어 있다. [패스 (pass)]
• 세계 무역 기구 가맹국. [가맹국 (加盟國)]
• 세계 보건 기구 가맹국. [가맹국 (加盟國)]
• 경제 협력 기구 가맹국. [가맹국 (加盟國)]
• 합의제 기구. [합의제 (合議制)]
• 수유 기구. [수유 (授乳)]
• 미용 기구. [미용 (美容)]
• 합법 기구. [합법 (合法)]
• 국제 연합은 그 자치 정부를 합법 기구로 인정했다. [합법 (合法)]
• 임시 기구. [임시 (臨時)]
• 헬스클럽 직원은 회원들에게 운동 기구 사용법을 알려 주었다. [헬스클럽 (healthclub)]
• 대남 기구. [대남 (對南)]
• 놀이 기구 앞에는 부모가 동반하는 어린이만 놀이 기구에 탑승이 가능하다는 안내문이 적혀 있었다. [동반하다 (同伴하다)]
• 우리 이 놀이 기구 한 번만 더 타자. [좋은 노래도 세 번 들으면 귀가 싫어한다]
• 제도적 기구. [제도적 (制度的)]
• 전담 기구. [전담 (專擔)]
• 공작 기구. [공작 (工作)]
• 소방 기구. [소방 (消防)]
• 금속제 조리 기구. [금속제 (金屬製)]
•
ㄱㄱ (
각각
•
ㄱㄱ (
과거
•
ㄱㄱ (
관광
•
ㄱㄱ (
고기
•
ㄱㄱ (
거기
• ㄱㄱ ( 건강 ) : 몸이나 정신이 이상이 없이 튼튼한 상태. [HEALTH; WELLBEING: A state of body and mind that is robust with no illness.] ☆☆☆ 명사
• ㄱㄱ ( 고개 ) : 목을 포함한 머리 부분. [HEAD: A word referring to one's head, including the neck.] ☆☆☆ 명사
• ㄱㄱ ( 가격 ) : 물건의 가치를 돈으로 나타낸 것. [PRICE: A value amount for something that is for sale.] ☆☆☆ 명사
• ㄱㄱ ( 감기 ) : 보통 기침, 콧물, 두통, 오한의 증상이 있는, 전염성이 있는 병. [COLD: A contagious disease that generally comes with symptoms such as coughing, runny nose, headache and chills.] ☆☆☆ 명사
• ㄱㄱ ( 결과 ) : 어떤 일이나 과정이 끝난 후의 상태나 현상. [RESULT; OUTCOME: The state or status after a project or process is completed.] ☆☆☆ 명사
• ㄱㄱ ( 가구 ) : 집 안에서 쓰이는 침대, 옷장, 식탁 등과 같은 도구. [FURNITURE: Objects used in a house such as a bed, chest, table, etc.] ☆☆☆ 명사
• ㄱㄱ ( 각각 ) : 하나하나마다 따로. [EACH; EVERY: Separately; each per each.] ☆☆☆ 부사
• ㄱㄱ ( 경기 ) : 운동이나 기술 등의 능력을 서로 겨룸. [GAME; MATCH: Sports or skill-based competitions.] ☆☆☆ 명사
• ㄱㄱ ( 그거 ) : 듣는 사람에게 가까이 있거나 듣는 사람이 생각하고 있는 것을 가리키는 말. [A pronoun used to indicate something close to the listener or something the listener has in mind.] ☆☆☆ 대명사
• ㄱㄱ ( 광고 ) : 사람들에게 널리 알림. [ADVERTISEMENT; PUBLICITY: The act of promoting something to people.] ☆☆☆ 명사
• ㄱㄱ ( 그것 ) : 듣는 사람에게 가까이 있거나 듣는 사람이 생각하고 있는 것을 가리키는 말. [A pronoun used to indicate something close to the listener, or something the listener has in mind.] ☆☆☆ 대명사
• ㄱㄱ ( 가게 ) : 작은 규모로 물건을 펼쳐 놓고 파는 집. [SHOP; STORE: A place where products are displayed and sold on a small scale.] ☆☆☆ 명사
• ㄱㄱ ( 관계 ) : 둘 이상의 사람, 사물, 현상 등이 서로 관련을 맺음. 또는 그런 관련. [RELATIONSHIP: A state in which two or more people, things, phenomena, etc., become interrelated; or such a relation.] ☆☆☆ 명사
• ㄱㄱ ( 구경 ) : 흥미나 관심을 가지고 봄. [SIGHTSEEING: An act of watching something or someone with curiosity or interest.] ☆☆☆ 명사
• ㄱㄱ ( 그곳 ) : 듣는 사람에게 가까운 곳을 가리키는 말. [THERE: A pronoun used to indicate somewhere that is close to the listener.] ☆☆☆ 대명사
• ㄱㄱ ( 기간 ) : 어느 일정한 때부터 다른 일정한 때까지의 동안. [PERIOD; TERM: The gap from a certain time to another time.] ☆☆☆ 명사
시작
기
기
끝
시작
구
구
끝
▹ 분류
• 경제·경영 (273) • 음식 설명하기 (78) • 복장 표현하기 (121) • 공연과 감상 (52) • 요일 표현하기 (13) • 철학·윤리 (86) • 한국 생활 (16) • 언론 (36) • 문화 차이 (52) • 전화하기 (15) • 사건, 사고, 재해 기술하기 (67) • 실수담 말하기 (19) • 날씨와 계절 (101) • 공공기관 이용하기 (59) • 종교 (43) • 교통 이용하기 (124) • 식문화 (104) • 감정, 기분 표현하기 (191) • 학교생활 (208) • 한국의 문학 (23) • 개인 정보 교환하기 (46) • 건강 (155) • 언어 (160) • 주말 및 휴가 (47) • 대중 매체 (47) • 법 (42) • 소개하기(가족 소개) (41) • 건축 (43) • 예술 (76) • 공공 기관 이용하기(우체국)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