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차하다 (苟且 하다)

형용사  

1. 살림이 몹시 가난하다.

1. WRETCHED; POOR: Badly off; impoverished.

🗣️ 용례:
  • 구차하게 살다.
    Lead a poor life.
  • 살림이 구차스럽다.
    Poor living.
  • 생활이 구차스럽다.
    Life is poor.
  • 세간이 구차스럽다.
    The wash is pathetic.
  • 게으른 엄 서방의 가족들은 하나같이 구차한 생활을 벗어나지 못하고 누더기 옷을 입고 살았다.
    The lazy western families all lived in rags, unable to get out of their wretched lives.
  • 김 씨 부부는 빚이 늘어나 세간이 구차해지자 새로운 일거리를 찾아 도시로 떠나게 되었다.
    The kims were left for the city in search of new jobs as their debts increased and the household became poor.
  • 살림이 구차하여 변변찮은 것만 대접하게 되어서 죄송합니다.
    I'm sorry for the poor living and for the poor.
    아닙니다. 감사히 잘 먹겠습니다.
    No. thank you for the food.

2. 말과 행동이 당당하지 못하고 비굴하다.

2. SUBSERVIENT: Servile and ignoble in speaking and behaving.

🗣️ 용례:
  • 구차한 변명.
    A lame excuse.
  • 구차한 부탁.
    Pathetic request.
  • 구차한 짓.
    Poor thing.
  • 구차하게 구걸하다.
    Beg for mercy.
  • 구차하게 느껴지다.
    Feeling pathetic.
  • 구차하게 말하다.
    Spoken pitifully.
  • 구차하게 살다.
    Lead a poor life.
  • 그 선비가 벼슬에 나가지 않고 세상을 등진 것은 자신의 가치관을 굽히는 구차한 삶을 살지 않으려고 했기 때문이다.
    The scholar turned his back on the world without going to public office because he did not want to live a pathetic life that bent his values.
  • 그는 병을 이유로 재판을 거듭 연기하는 것이 구차하다고 생각했는지 스스로 법정에 섰다.
    He took himself to court, whether he thought it was pathetic to postpone the trial over and over again on the grounds of illness.
  • 적에게 목숨을 구걸하는 것은 비굴하고 구차한 짓이다.
    It is servile and pathetic to beg for life from the enemy.
    네. 목숨을 바쳐 나라를 위해 싸우겠습니다.
    Yes. i will give my life to fight for my country.

🗣️ 발음, 활용: 구차하다 (구ː차하다) 구차한 (구ː차한) 구차하여 (구ː차하여) 구차해 (구ː차해) 구차하니 (구ː차하니) 구차합니다 (구ː차함니다)

🌷 ㄱㅊㅎㄷ: 초성 구차하다

시작

시작

시작

시작


철학·윤리 (86) 심리 (365) 가족 행사-명절 (2) 소개하기(자기소개) (52) 경제·경영 (273) 인사하기 (17) 물건 사기 (99) 감정, 기분 표현하기 (191) 한국의 문학 (23) 성격 표현하기 (110) 하루 생활 (11) 과학과 기술 (91) 환경 문제 (81) 지리 정보 (138) 교육 (151) 공공 기관 이용하기(도서관) (8) 교통 이용하기 (124) 위치 표현하기 (70) 직업과 진로 (130) 음식 주문하기 (132) 정치 (149) 예술 (76) 대중 매체 (47) 가족 행사 (57) 식문화 (104) 복장 표현하기 (121) 문화 차이 (52) 공공 기관 이용하기(우체국) (8) 사회 제도 (78) 건강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