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둘째
☆☆☆ 관형사
🗣️ 발음, 활용: • 둘째 (
둘ː째
)
📚 분류: 순서
🗣️ 둘째 @ 뜻풀이
- 검지 (검指) :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 사이에 있는 손가락. 둘째 손가락.
- ㄴ : 한글 자모의 둘째 글자. 이름은 ‘니은’으로 소리를 낼 때 혀끝이 윗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 화요일 (火曜日) : 월요일을 기준으로 한 주의 둘째 날.
- 차남 (次男) : 둘째 아들.
- 차녀 (次女) : 둘째 딸.
- 화 (火) : 월요일을 기준으로 한 주의 둘째 날.
- 이월 (二月) : 일 년 열두 달 가운데 둘째 달.
- 인지 (人指) :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의 사이에 있는 둘째 손가락.
- 백중 (伯仲) : 형제 중 첫째와 둘째.
- 두째 : → 둘째 2
- 두째 : → 둘째 1
- 레 (re) : 서양 음악에서, 장음계의 둘째 음의 계이름.
- 이경 (二更) :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눈 오경의 둘째 부분으로, 밤 아홉 시부터 열한 시 사이.
- 이루 (二壘) : 야구에서, 일루와 삼루 사이에 있는 둘째 누.
- 두째 : → 둘째 3
- 우 (優) : 성적을 ‘수’, ‘우’, ‘미’, ‘양’, ‘가’의 다섯 등급으로 나눌 때 둘째 등급.
- 이세 (二世) : 같은 이름을 가지고 둘째 번으로 자리에 오른 왕이나 교황.
🗣️ 둘째 @ 용례
- 큰 아들은 한 번도 내 속을 썩이는 일 없이 잘 자라준 반면, 둘째 아들은 매일 말썽을 일으켰다. [속(을) 썩이다]
- 우리 팀은 첫판에서 졌지만 둘째, 셋째 판을 이겨서 역전승을 거두었다. [첫판]
- 직업을 선택할 때에는 첫째, 적성에 맞는지, 둘째, 보람을 느낄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첫째]
- 첫째는 건강, 둘째는 행복, 셋째는 사랑이 아닐까? [첫째]
- 밥은 둘째 치고 아이를 빨리 찾아야지요. [둘째(로) 치다]
- 힘든 건 둘째 치고 발에 물집이 잡혀서 아파 죽겠어. [잡히다]
- '첫째', '둘째', '셋째'는 사용 빈도가 매우 높은 서수이다. [서수 (序數)]
- 둘째 따님. [따님]
- 그녀는 둘째 아이는 병원에 가지 않고 집에서 분만하기로 했다. [분만하다 (分娩하다)]
- 둘째 파트. [파트 (part)]
- 왕은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둘째 아들에게 왕위를 승계하였다. [승계하다 (承繼하다)]
- 그는 왕이 되어서도 선왕의 둘째 아들로서 장자가 아니라는 것에 대해 두고두고 시빗거리가 있었다. [시빗거리 (是非거리)]
- 고조모께서는 세 형제를 낳으셨는데, 우리 증조할아버지가 둘째 아들이다. [고조모 (高祖母)]
- 나는 큰 아이는 걸리고 둘째 아이는 업어서 어린이집에 데려다 주었다. [걸리다]
- 네가 삼 형제 중 둘째 아들이지? [사실상 (事實上)]
- 승규 씨, 결혼은 둘째 치고 연애라도 좀 하세요. [무뎌지다]
- 목차에서 둘째 장의 제목이 빠졌어. [빠지다]
- 김 노인은 죽기 전에 모든 재산을 둘째 딸에게 남긴다는 유서를 썼다. [남기다]
- 그때 큰아들의 나이는 열 살, 둘째 딸은 일곱 살, 막내딸은 겨우 다섯 살이었다. [막내딸]
- 큰애와 둘째, 셋째는 모두 결혼을 시켰고 이젠 막내딸만 남았습니다. [막내딸]
- 지수 부부는 첫 딸을 낳고 둘째 아이는 아들을 바라고 있다. [바라다]
- 그 기업은 둘째 아들이 후계자가 되었다면서? [밀리다]
- 둘째 면. [면 (面)]
- 둘째 형은 일찍 죽은 큰형 대신 집안의 장남 몫을 했다. [몫]
- 네. 지금 둘째 낳고 집에서 산후 몸조리 중이에요. [몸조리 (몸調理)]
- 둘째 큰아버지. [큰아버지]
- 둘째 큰아버지는 우리 아버지보다 열 살이 많으시고 셋째 큰아버지는 다섯 살이 많으시다. [큰아버지]
- 둘째 큰어머니. [큰어머니]
- 둘째 큰어머니께서 병원에 입원하셔서 온 식구가 문병을 갔다. [큰어머니]
- 첫째 큰어머니는 부엌에 계시고 둘째 큰어머니는 시장에 가셨어요. [큰어머니]
- 옛날에는 본부인이 아이를 낳지 못하면 둘째 부인을 들이는 게 자연스러웠나 봐. [큰어머니]
- 지수는 곧 둘째 아이를 낳는다고요? [-는다고요]
- 큰아들은 말이 많고, 둘째 아들은 말이 적다. [말이 적다]
- 언니는 다음 달에 둘째 아이의 출산을 앞두고 있다. [출산 (出産)]
- 둘째를 가졌다니 정말 축하하네. [학수고대 (鶴首苦待)]
- 감사합니다. 둘째 아이를 학수고대 기다렸던 만큼 정말 기뻐요. [학수고대 (鶴首苦待)]
- 둘째 번. [번 (番)]
- 우리는 선반 위에 놓인 둘째 번 물건을 사기로 했다. [번 (番)]
- 둘째 아이까지 유학을 보내서 허전하시겠어요. [보내다]
- 너희 둘째 오빠는 통 볼 수가 없네. 요새 무슨 일 하니? [주재원 (駐在員)]
- 삼촌은 장자보다 둘째 아들을 더 신뢰했다. [장자 (長子)]
- 맞아요. 한국어에서도 '첫째', '둘째' 정도는 외워 두는 게 편하답니다. [서수사 (序數詞)]
- 지수는 둘째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남편에게 단산을 선언했다. [단산 (斷産)]
- 이번에 이름난 재원을 둘째 며느리로 맞으셨다면서요? [재원 (才媛)]
- 둘째 자리. [자리]
- 시험 점수를 적을 때에는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자리]
- 아닌데,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답을 쓰라고 문제에 나와 있었잖아. [자리]
- 둘째 처형. [처형 (妻兄)]
- 큰아들과 둘째 며느리에다 손자까지 줄초상을 당하자 부인은 큰 충격을 받았다. [줄초상 (줄初喪)]
- 수양 대군은 왕의 둘째 아들이었지만 뛰어난 참모들의 도움으로 왕위에 올랐다. [참모 (參謀)]
- 둘째, 묵과 상추에 초간장을 뿌려 무친다. [초간장 (醋간醬)]
- 둘째 이모. [이모 (姨母)]
- 둘째 이모부. [이모부 (姨母夫)]
- 오월 둘째 주 날씨는 화창했는데 그 다음 주는 어떻게 될까요? [셋째]
- 둘째 아들이 아파서 못 나온다고 연락이 왔어. [여사 (女史)]
- 그는 이 시기에 아버지, 둘째 형, 누이를 잃는 비운을 당했다. [비운 (否運)]
- 둘째 언니. [언니]
- 둘째 주 금요일. [금요일 (金曜日)]
- 맞벌이를 하는 둘째, 셋째 며느리는 바쁘다며 명절에 오지 않으려고 할 테지만 저희들이 없이는 일손이 모자라다. [저희]
- 큰 아들을 군대에 보낸 지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아서 둘째 아들의 영장이 나왔다. [영장 (令狀)]
- 특히 그 집의 둘째 아들은 자신을 사랑으로 기르고 가르치던 부친을 더욱 잘 따랐다. [부친 (父親)]
- 이 집 둘째 아들이 집안의 모든 대소사를 빠짐없이 잘 챙긴다면서요? [대소사 (大小事)]
- 네. 그래서 제가 둘째 아들을 제일 아껴요. [대소사 (大小事)]
-
ㄷㅉ (
둘째
)
: 순서가 두 번째인 차례.
☆☆☆
수사
🌏 SECOND: One that is next in order after the first. -
ㄷㅉ (
뒤쪽
)
: 향하고 있는 방향의 반대쪽.
☆☆☆
명사
🌏 BACK: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that one is facing. -
ㄷㅉ (
둘째
)
: 처음부터 세어 모두 두 개가 됨.
☆☆☆
명사
🌏 SECOND: Totaling two when counted from the start. -
ㄷㅉ (
둘째
)
: 두 번째 차례의.
☆☆☆
관형사
🌏 SECOND: Being the second number in a sequence. -
ㄷㅉ (
동쪽
)
: 네 방위 중의 하나로, 해가 뜨는 쪽.
☆☆☆
명사
🌏 EAST: One of the four points of the compas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n rises. -
ㄷㅉ (
대쪽
)
: 대나무의 줄기를 쪼갠 조각.
명사
🌏 SPLIT BAMBOO STEM: A piece of a split bamboo stem. -
ㄷㅉ (
두째
)
: → 둘째 1
명사
🌏 -
ㄷㅉ (
두째
)
: → 둘째 2
수사
🌏 -
ㄷㅉ (
단짝
)
: 아주 친해서 항상 함께 다니는 사이. 또는 그러한 친구.
명사
🌏 BEST FRIEND; CLOSE FRIEND: The relationship between close friends who hang out together, or a close friend. -
ㄷㅉ (
두째
)
: → 둘째 3
관형사
🌏 -
ㄷㅉ (
등짝
)
: (속된 말로) 등.
명사
🌏 BACK: (slang) The back.
• 주거 생활 (48) • 공공 기관 이용하기(도서관) (8) • 길찾기 (20) • 한국의 문학 (23) • 과학과 기술 (91) • 언론 (36) • 집 구하기 (159) • 직장 생활 (197) • 음식 주문하기 (132) • 문제 해결하기(분실 및 고장) (28) • 날씨와 계절 (101) • 요리 설명하기 (119) • 학교생활 (208) • 직업과 진로 (130) • 한국 생활 (16) • 사건, 사고, 재해 기술하기 (67) • 철학·윤리 (86) • 외모 표현하기 (105) • 법 (42) • 식문화 (104) • 예술 (76) • 교통 이용하기 (124) • 개인 정보 교환하기 (46) • 정치 (149) • 대중 문화 (82) • 소개하기(가족 소개) (41) • 보건과 의료 (204) • 병원 이용하기 (10) • 컴퓨터와 인터넷 (43) • 소개하기(자기소개)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