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정 (家庭)
☆☆ 명사
1. 한 가족으로 이루어진 공동체나 그들이 생활하는 집.
-
단란한 가정.
A happy family. -
화목한 가정.
A harmonious assumption. -
가정 방문.
A home visit. -
가정 통신.
Home communication. -
가정 형편.
Family circumstances. -
가정 환경.
Home environment. -
가정이 있다.
Have a family. -
가정을 이루다.
Make a home. -
가정을 꾸리다.
Start a family. -
가족들이 모두 건강해야 가정이 평화롭고 행복하다.
The family is peaceful and happy only when all the family members are healthy. -
형편이 어려워 결혼식을 올리지 못한 채 가정을 이루고 살고 있는 부부들도 있다.
Some couples live in a family without a wedding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
♔
자네 가족은 참으로 화목한 것 같아.
Your family seems to be really harmonious.
♕ 좋은 아내 덕에 행복한 가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항상 감사하고 있지.
I'm always grateful to have a happy family thanks to my good wife.
🗣️ 발음, 활용: • 가정 (
가정
)
📚 파생어: • 가정적(家庭的): 집이나 가족과 관계된. 또는 그것과 같은., 집안일에 성실하고 가족에게… • 가정적(家庭的): 집이나 가족과 관계된 것. 또는 그것과 같은 것., 집안일에 성실하고 …
🗣️ 가정 (家庭) @ 뜻풀이
- 사회 (社會) : 학교, 가정, 군대 등과 같이 제한되거나 특수한 집단을 벗어난 일반적인 세계.
- 결손 가정 (缺損家庭) : 부모 중 한쪽이나 부모 둘이 모두 없는 가정.
- 긴축되다 (緊縮되다) : 가정, 기업, 정부 등의 지출이 줄다.
- 가설 (假說) : 연구에서 어떤 내용을 설명하려고 예상한 것으로 아직 증명되지 않은 가정.
- 긴축하다 (緊縮하다) : 가정, 기업, 정부 등의 지출을 줄이다.
- 농가 (農家) : 농사에 종사하는 사람의 가정.
- 사랑의 보금자리 : 서로 사랑하는 사람끼리 만든 새 가정.
- 버리다 : 가정, 고향, 나라 등을 떠나 관계를 끊다.
- 가계 (家計) : 경제 단위로서의 가정.
- 살림 : 한 가정을 이루어 살아가는 일.
- 댁 (宅) : (높이는 말로) 남의 집이나 가정.
- 농삿집 (農事집) : 농사를 짓는 사람의 가정.
- 가재도구 (家財道具) : 가정 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물건.
- 문화비 (文化費) : 가정 내에서 여가, 오락 등의 문화생활을 즐기는 데 쓰는 비용.
- 평생 교육 (平生敎育) : 인간의 교육은 가정, 학교, 사회에서 살아 있는 동안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교육관.
- 소꿉장난 : 아이들이 작은 그릇 등의 장난감을 가지고 어른들의 가정 생활을 흉내 내며 노는 장난.
- 소꿉놀이 : 아이들이 작은 그릇 등의 장난감을 가지고 어른들의 가정 생활을 흉내 내는 놀이.
- 긴축 (緊縮) : 가정, 기업, 정부 등의 지출을 줄임.
🗣️ 가정 (家庭) @ 용례
- 그는 어려운 가정 환경의 그늘을 벗어나기 위해 무던히도 애를 썼다. [그늘]
- 유민이는 가정 형편이 어려운 가운데서도 꿋꿋이 공부해 시험에 합격하다니 정말 대단해. [꿋꿋이]
- 국가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가정, 학교, 사회가 삼위일체가 되어 서로 협력해야 한다. [삼위일체 (三位一體)]
- 부한 가정. [부하다 (富하다)]
- 도둑을 잡았는데 알고 보니 가정 형편이 많이 어려운 애더라고. [씁쓰레하다]
- 가정 상담가는 예비부부에게 결혼을 하기 전에 미리 가법을 만들라고 조언했다. [가법 (家法)]
- 단란한 가정. [단란하다 (團欒하다)]
- 그는 늘 사회적인 성공보다도 단란한 가정을 꾸리고 소박하게 살아가는 것을 꿈꿔 왔다. [단란하다 (團欒하다)]
- 가정 교사. [교사 (敎師)]
- 오늘 이야기 마당의 주제가 가정 생활인가요? [마당]
- 가정에서 사회화하다. [사회화하다 (社會化하다)]
- 아동은 가정, 친구 집단, 학교생활 등에서의 인간관계를 통해 사회화한다. [사회화하다 (社會化하다)]
- 걔 가정 형편 때문에 일 년 휴학을 하기로 했대. [휴학 (休學)]
- 소시민 가정. [소시민 (小市民)]
- 이번 사건은 작게는 가정 문제이지만 나아가서는 사회 문제이기도 하다. [작다]
- 다복한 가정. [다복하다 (多福하다)]
- 지수는 다복한 가정에서 예의 바르게 자란 아가씨이다. [다복하다 (多福하다)]
- 그 사람은 가정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한 것처럼 행세가 형편없었다. [행세 (行世)]
- 가정 폭력의 가해 남성 중 상당수가 어릴 적 부모에게 맞았던 기억을 가지고 있었다. [가해 (加害)]
- 가정 일에 담담하다. [담담하다 (淡淡하다)]
- 우리 재단에서는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조력하고 있다. [조력하다 (助力하다)]
- 접촉 사고를 낸 그는 가정 형편이 어렵다는 것이 참작이 되어 약간의 배상금을 내는 것으로 합의를 보았다. [참작 (參酌)]
- 승규는 어두운 가정 환경에서도 비뚤지 않게 착하게 잘 자랐다. [비뚤다]
- 죄송합니다만 저희 가정 일에는 관계하지 말아 주십시오. [관계하다 (關係하다)]
- 지나친 술은 건강은 물론 사회생활과 가정 생활에도 막대한 피해를 준다. [막대하다 (莫大하다)]
- 버젓한 가정. [버젓하다]
- 가정 교육을 잘못 받은 모양이야. [행동하다 (行動하다)]
- 어떻게 불우한 가정 환경 속에서도 음악을 계속하실 수 있었나요? [아까워하다]
- 가정 파탄. [파탄 (破綻)]
- 빈곤 가정. [빈곤 (貧困)]
- 이 단체는 빈곤 가정 아동들에게 식사를 제공하고 있다. [빈곤 (貧困)]
-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빈곤 가정의 수가 크게 증가했다. [빈곤 (貧困)]
- 선생님께서는 아이들의 가정 형편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하셨다. [알아보다]
- 그는 어려운 가정 형편에서도 초인적 인내력을 가지고 공부하여 사법 고시에 합격했다. [초인적 (超人的)]
- 어른한테 몇 살이냐니 너는 가정 교육도 안 받았니? [-냐니]
- 사람들은 아이들의 예의와 부모의 가정 교육을 연관해서 생각한다. [연관하다 (聯關하다)]
- 평탄한 가정. [평탄하다 (平坦하다)]
- 가정 형편이 좋지 않아 큰형과 작은형, 큰누나는 신문과 우유를 배달하며 돈을 벌었다. [작은형 (작은兄)]
- 가정 교사를 붙이다. [붙이다]
- 민준이가 너무 공부를 안 해서 가정 교사라도 붙여야 하는 거 아닌지 모르겠어요. [붙이다]
- 청소년들의 내적 갈등의 주된 원인 중 하나는 가정 문제이다. [내적 (內的)]
- 가정학 분야. [가정학 (家政學)]
- 가정학 전문가. [가정학 (家政學)]
- 가정학의 역사. [가정학 (家政學)]
- 가정학을 전공하다. [가정학 (家政學)]
- 가정학을 연구하다. [가정학 (家政學)]
- 김 교수는 부부 관계와 가정 환경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써 가정학 박사가 되었다. [가정학 (家政學)]
- 나는 선생님께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학비를 내지 못하는 고충을 털어놓았다. [고충 (苦衷)]
- 학구적인 가정. [학구적 (學究的)]
- 지수는 학구적인 가정에서 자라 다른 아이들과 달리 놀기보다는 책 읽기를 좋아한다. [학구적 (學究的)]
- 그녀는 불우한 가정 환경 때문에 내성적 성향을 갖게 되었다. [내성적 (內省的)]
- 지수는 무보수로 가정 환경이 어려운 아이들에게 공부를 가르쳐 준다. [무보수 (無報酬)]
- 윤택한 가정. [윤택하다 (潤澤하다)]
- 민준이는 윤택한 가정에서 자라 가난을 전혀 모른다. [윤택하다 (潤澤하다)]
- 가정 경제. [경제 (經濟)]
- 안락한 가정. [안락하다 (安樂하다)]
- 지수는 안락한 가정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가난을 알지 못한다. [안락하다 (安樂하다)]
- 일반적인 가정. [일반적 (一般的)]
- 갑자기 가난해진 가정 형편을 감당하는 것은 우리 가족에게 너무 어려운 일이었다. [감당하다 (堪當하다)]
- 가정 의원. [의원 (醫院)]
- 지수는 무슨 복을 타고 난 건지, 얼굴도 예쁘고 가정 환경도 좋고. [부럽다]
- 가정 실용서. [실용서 (實用書)]
- 조손 가정. [조손 (祖孫)]
- 최근 조부모와 손자 혹은 손녀만 함께 사는 조손 가정이 많이 늘어났대. [조손 (祖孫)]
- 파멸된 가정. [파멸되다 (破滅되다)]
- 부모님의 이혼과 동생의 가출로 우리 가정은 완전히 파멸되었다. [파멸되다 (破滅되다)]
- 나는 좋지 않은 가정 형편 속에서도 착하게 자라 준 우리 아이들이 아주 예쁘고 대견스럽다. [착하다]
- 가정 폭력을 집안 문제로만 여기는 사회 분위기는 가정을 인권의 사각으로 몰아갈 위험이 있다. [사각 (死角)]
- 최 박사는 불우한 가정 환경을 극복하고 국내 최고의 학자가 되었다. [불우하다 (不遇하다)]
- 학교에서는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형편 (形便)]
- 그 가정 폭력 사건은 지금도 아주 끔찍한 일로 여겨지고 있어. [단서 (端緖)]
- 가정 쓰레기의 골칫덩이인 음식 쓰레기는 그 처리가 힘들다. [골칫덩이]
- 반 친구들은 가정 형편이 어려운 민준이의 정상을 동정했다. [정상 (情狀)]
- 나는 학교 성적이 좋지 않았지만 어려운 가정 형편이 참작되어 장학금을 받을 수 있었다. [참작되다 (參酌되다)]
- 우리 가족은 내가 어렸을 때 가정 형편이 곤란하여 오 년 동안 각지에 흩어져 살며 생이별을 해야 했다. [생이별 (生離別)]
- 이 유아원은 휴식, 여가, 놀이, 가정 교육, 문화 교육 등의 기능을 통합하고 있다. [통합하다 (統合하다)]
- 가정 교사가 되다. [가정 교사 (家庭敎師)]
- 가정 교사를 구하다. [가정 교사 (家庭敎師)]
- 가정 교사를 두다. [가정 교사 (家庭敎師)]
- 가정 교사를 들이다. [가정 교사 (家庭敎師)]
- 가정 교사를 맡다. [가정 교사 (家庭敎師)]
- 나는 학생의 집에서 생활하며 학생들을 가르치는 가정 교사로 일했다. [가정 교사 (家庭敎師)]
- 우리 병원은 저소득 가정의 사람들에게 치료비를 면제해 주었다. [저소득 (低所得)]
- 그러면 가난 때문에 배움의 기회를 얻지 못하는 저소득 가정 어린이들을 위한 과외를 하는 건 어때? [저소득 (低所得)]
-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형의 화가로서의 재능은 썩고 있었다. [썩다]
- 일반 가정. [일반 (一般)]
- 극빈자 가정. [극빈자 (極貧者)]
- 우리 병원은 여름마다 극빈자 가정을 방문하여 무료로 검진을 해 준다. [극빈자 (極貧者)]
- 가정 학습 과제. [가정 학습 (家庭學習)]
- 가정 학습 교재. [가정 학습 (家庭學習)]
- 가정 학습 시간. [가정 학습 (家庭學習)]
- 가정 학습의 날. [가정 학습 (家庭學習)]
- 가정 학습을 하다. [가정 학습 (家庭學習)]
- 학교가 휴교하여 학생들은 가정 학습으로 수업을 대신하였다. [가정 학습 (家庭學習)]
- 국제결혼 가정. [국제결혼 (國際結婚)]
- 가정 형편이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민준이는 항상 밝고 씩씩하다. [불구하다 (不拘하다)]
- 가정 교사를 두다. [두다]
- 맞벌이를 하는 유민이네 부부는 집에 가정부를 두기로 했다. [두다]
- 어려워진 가정 형편에 큰오빠의 취직으로 먹고살 걱정을 조금은 덜게 되었다. [큰오빠]
- 평화스러운 가정. [평화스럽다 (平和스럽다)]
- 범인은 어린 시절 어려운 가정 환경 때문에 조금씩 성격이 비틀어졌다고 했다. [비틀어지다]
- 맞벌이하는 가정. [맞벌이하다]
- 실제로 가정 폭력을 완전히 없앨 수가 있나요? [근절 (根絕)]
- 가정 폭력 근절을 위한 대책이 제대로 마련되면 가능하다고 봅니다. [근절 (根絕)]
- 가정 폭력을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법으로 다스려야 한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다. [구체화되다 (具體化되다)]
- 가부장적 가정. [가부장적 (家父長的)]
- 중류 가정. [중류 (中流)]
- 중류 가정에서 태어난 나는 풍족하지는 않아도 부족함 없이 살 수 있음에 감사한다. [중류 (中流)]
- 형제자매 사이에 우애하고 서로 아끼는 가정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은 배려심이 많다. [우애하다 (友愛하다)]
- 가정 폭력에 시달리던 그는 자라면서 점차 반사회적인 성격을 갖게 되었다. [반사회적 (反社會的)]
- 어머니는 어려운 가정 형편에도 살뜰한 살림을 해 오셨다. [살뜰하다]
- 빈곤한 가정. [빈곤하다 (貧困하다)]
- 그 아이는 빈곤한 가정에서도 꿈을 잃지 않고 밝게 살아가는 아이였다. [빈곤하다 (貧困하다)]
- 네, 아내는 가정 교육에 있어서는 누구보다 철저하거든요. [에]
- 아마 가정 형편이 어려워서 수업료 안 내도 될걸. [공납금 (公納金)]
- 극빈층 가정. [극빈층 (極貧層)]
- 정부는 수입이 없는 극빈층 가정에게 세금을 면제하는 제도를 발표하였다. [극빈층 (極貧層)]
- 가정 폭력에 시달리며 성장한 민준이가 패륜아가 될까 걱정하는 사람이 많았다. [패륜아 (悖倫兒)]
- 민준이의 예의 바른 행동은 부모의 올바른 가정 교육에 기인된 것이다. [기인되다 (起因되다)]
- 상류층 가정. [상류층 (上流層)]
- 오빠는 어려워진 가정 형편을 돕고자 어디든 빨리 취직하기를 요망하고 있다. [요망하다 (要望하다)]
- 이 돈으로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셨으면 합니다. [어렵다]
- 나는 가정 폭력 피해 여성과 아이들을 위한 안전 가옥을 공급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가옥 (家屋)]
- 민준이가 가정 형편 때문에 학교를 그만두어 참 안 됐어요. [포기 (抛棄)]
- 결손 가정 아동. [결손 가정 (缺損家庭)]
- 결손 가정이 늘어나다. [결손 가정 (缺損家庭)]
- 결손 가정을 돕다. [결손 가정 (缺損家庭)]
- 결손 가정을 지원하다. [결손 가정 (缺損家庭)]
- 결손 가정에서 자라나다. [결손 가정 (缺損家庭)]
- 나는 어렸을 때 부모님이 이혼해서 결손 가정에서 자랐다. [결손 가정 (缺損家庭)]
- 광의의 교육이란 가정 교육을 포함하여 인간을 만드는 모든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광의 (廣義)]
- 중류층 가정. [중류층 (中流層)]
- 나 같은 경우는 경제적으로는 중류층으로 살아도 화목한 가정을 이루고 살고 싶어. [중류층 (中流層)]
- 정부는 이번 법령을 통해 저소득 가정 구제 기준을 규범화했다. [규범화하다 (規範化하다)]
- 가정 폭력에 시달린 아동들은 외상이 치료된 이후에도 마음의 상처로 고통 받는 경우가 많다. [외상 (外傷)]
- 가정 형편이 감안되다. [감안되다 (勘案되다)]
- 극빈한 가정. [극빈하다 (極貧하다)]
- 아이의 어머니는 극빈한 가정 형편 때문에 아이를 고아원에 보낼 수밖에 없었다. [극빈하다 (極貧하다)]
- 교육부는 가정 과목을 남학생에게도 가르치기로 결정했다. [교육부 (敎育部)]
- 가정 폭력에 시달려 오던 지수는 결국 이혼을 결심했다. [이혼 (離婚)]
-
ㄱㅈ (
감자
)
: 껍질은 연한 갈색이며 속은 연한 노란색인, 땅속에서 자라는 둥근 덩이 모양의 줄기.
☆☆☆
명사
🌏 POTATO: A ball-shaped stem growing underground with pale yellow flesh and light brown skin. -
ㄱㅈ (
가장
)
: 여럿 가운데에서 제일로.
☆☆☆
부사
🌏 BEST: In a way that is better than any other. -
ㄱㅈ (
과자
)
: 밀가루나 쌀가루 등에 우유, 설탕 등을 넣고 반죽하여 굽거나 튀긴 간식.
☆☆☆
명사
🌏 SNACK: Snacks baked or fried by mixing milk, sugar, etc., into flour or rice powder. -
ㄱㅈ (
가지
)
: 사물의 종류를 헤아리는 말.
☆☆☆
의존 명사
🌏 KIND; SORT: A bound noun used to indicate the type of a thing. -
ㄱㅈ (
결정
)
: 무엇을 어떻게 하기로 분명하게 정함. 또는 그렇게 정해진 내용.
☆☆☆
명사
🌏 DECISION: Deciding a goal and the method of reaching it clearly or the decided content. -
ㄱㅈ (
간장
)
: 음식의 간을 맞추는 데 쓰는, 짠맛이 나는 검은색 액체.
☆☆☆
명사
🌏 SOY SAUCE: Salty, black liquid used to flavor food. -
ㄱㅈ (
고장
)
: 기계나 장치 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
☆☆☆
명사
🌏 DEFECT; SOMETHING WRONG: A machine, device, etc., not operating normally because it is broken. -
ㄱㅈ (
긴장
)
: 마음을 놓지 않고 정신을 바짝 차림.
☆☆☆
명사
🌏 NERVOUSNESS; TENSION: The act of being alert without being able to relax. -
ㄱㅈ (
계절
)
: 일 년을 자연 현상에 따라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눈 것의 한 때.
☆☆☆
명사
🌏 SEASON: One of four divisions of a year distinguished by natural phenomena, which are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
ㄱㅈ (
거절
)
: 다른 사람의 부탁이나 제안, 선물 등을 받아들이지 않음.
☆☆☆
명사
🌏 REFUSAL; REJECTION; DENIAL: An act of not accepting the request, proposal or gift from another person. -
ㄱㅈ (
글자
)
: 말을 적는 기호.
☆☆☆
명사
🌏 LETTER; CHARACTER: A sign used to write down a spoken word. -
ㄱㅈ (
걱정
)
: 좋지 않은 일이 있을까 봐 두렵고 불안함.
☆☆☆
명사
🌏 WORRY; CONCERN; CARE: The state of feeling afraid and uneasy, in fear of the possible occurrence of something bad. -
ㄱㅈ (
검정
)
: 빛이 없을 때의 밤하늘과 같이 매우 어둡고 짙은 색.
☆☆☆
명사
🌏 BLACK: A very dark color like a night sky with no light. -
ㄱㅈ (
광주
)
: 전라남도의 중앙부에 있는 광역시. 호남 지방 최대의 도시로 산업은 서비스업이 중심을 이루며 기계 및 금속 공업도 발달하였다.
☆☆☆
명사
🌏 GWANGJU: The largest city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Korea, located in the center of Jeollanam-do, or South Jeolla Province; its main industry is the service industry and it also has developed machine and metalworking industries. -
ㄱㅈ (
극장
)
: 연극이나 음악, 무용 등을 공연하거나 영화를 상영하기 위한 시설을 갖춘 곳.
☆☆☆
명사
🌏 THEATER; CINEMA: A place equipped with a stage or screen, for performing plays, music, dance, etc., or showing movies. -
ㄱㅈ (
가족
)
: 주로 한 집에 모여 살고 결혼이나 부모, 자식, 형제 등의 관계로 이루어진 사람들의 집단. 또는 그 구성원.
☆☆☆
명사
🌏 FAMILY: A group of people who mainly live together in the same house and are related by marriage or as parents, children, siblings, etc., or the members of such a group. -
ㄱㅈ (
공장
)
: 원료나 재료를 가공하여 물건을 만들어 내는 곳.
☆☆☆
명사
🌏 FACTORY; PLANT: A place where products are manufactured by processing raw materials and other materials. -
ㄱㅈ (
국적
)
: 한 나라의 구성원이 되는 자격.
☆☆☆
명사
🌏 NATIONALITY; CITIZENSHIP: A status which qualifies someone to come under the official jurisdiction of a country. -
ㄱㅈ (
국제
)
: 여러 나라에 관련되거나 여러 나라가 함께 하는 것.
☆☆☆
명사
🌏 BEING INTERNATIONAL; BEING GLOBAL: A state in which several countries are interrelated or do something together. -
ㄱㅈ (
금지
)
: 법이나 규칙이나 명령으로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함.
☆☆☆
명사
🌏 BAN: A ban on a certain activity by law or rule. -
ㄱㅈ (
기자
)
: 신문, 잡지, 방송 등에 실을 기사를 조사하여 쓰거나 편집하는 사람.
☆☆☆
명사
🌏 REPORTER; JOURNALIST: A person whose job it is to do research, write or edit articles for newspapers, magazines, broadcasts, etc.
• 위치 표현하기 (70) • 철학·윤리 (86) • 집안일 (41) • 건강 (155) • 종교 (43) • 문제 해결하기(분실 및 고장) (28) • 하루 생활 (11) • 식문화 (104) • 학교생활 (208) • 사회 제도 (78) • 주말 및 휴가 (47) • 영화 보기 (8) • 외모 표현하기 (105) • 컴퓨터와 인터넷 (43) • 과학과 기술 (91) • 소개하기(가족 소개) (41) • 집 구하기 (159) • 정치 (149) • 길찾기 (20) • 사과하기 (7) • 스포츠 (88) • 공공 기관 이용하기(출입국 관리 사무소) (2) • 문화 차이 (52) • 예술 (76) • 전화하기 (15) • 약속하기 (4) • 가족 행사 (57) • 직업과 진로 (130) • 약국 이용하기 (6) • 공공 기관 이용하기(도서관)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