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資料)
☆☆ 명사
1. 연구나 조사를 하는 데 기본이 되는 재료.
-
기초 자료.
Basic data. -
보도 자료.
Press release. -
분석 자료.
Analytical data. -
시청각 자료.
Audiovisual material. -
연구 자료.
Research data. -
조사 자료.
Survey data. -
통계 자료.
Statistical data. -
학습 자료.
Learning materials. -
자료 공개.
Disclosure of data. -
자료 부족.
Lack of data. -
자료 분석.
Data analysis. -
자료 요청.
Request data. -
자료 제시.
Presenting data. -
자료 준비.
Material preparation. -
자료를 검색하다.
Search for data. -
자료를 수집하다.
Collect data. -
자료를 분석하다.
Analyze data. -
자료를 준비하다.
Prepare materials. -
자료를 정리하다.
Organize the data. -
자료를 제출하다.
Submit data. -
증거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범인으로 지목된 그가 풀려났다.
The man identified as the culprit was released for lack of evidence. -
그는 하루 종일 컴퓨터에 앉아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하고 있었다.
He sat on the computer all day long searching for the materials needed for research. -
컴퓨터가 고장 나는 바람에 컴퓨터에 저장된 각종 자료가 모두 사라졌다.
The computer broke down, and all the data stored on the computer disappeared. -
이번에 발굴된 유물은 역사 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e excavated artifacts are expected to be valuable material for historical research. -
♔
보고서는 다 완성되어 가나?
Is the report finished?
♕ 통계 자료를 분석하고 그래프만 그리면 거의 끝납니다.
I'm almost done by analyzing the statistics and drawing a graph.
🗣️ 발음, 활용: • 자료 (
자료
)
📚 분류: 학습 관련 사물
🗣️ 자료 (資料) @ 뜻풀이
- 수집하다 (蒐集하다) : 취미나 연구를 위하여 물건이나 자료 등을 찾아서 모으다.
- 소스 (source) : 정보가 나온 곳. 또는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이나 자료.
- 교재 (敎材) : 교육이나 학습을 하는 데 필요한 교과서나 그 외의 자료.
- 민속자료 (民俗資料) : 생활용품, 가옥, 음악 등 한 민족의 생활 양식과 풍속, 정서에 맞게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다양한 유형의 자료.
- 수집되다 (蒐集되다) : 취미나 연구를 위하여 물건이나 자료 등이 찾아져 모이다.
- 날리다 : 잘못하여 가진 재산이나 자료 등을 모두 잃거나 없애다.
- 도서관 (圖書館) : 책과 자료 등을 많이 모아 두고 사람들이 빌려 읽거나 공부를 할 수 있게 마련한 시설.
- 정보 (情報) : 어떤 사실이나 현상을 관찰하거나 측정하여 모은 자료를 정리한 지식. 또는 그 자료.
- 통신 (通信) : 신문이나 잡지에 실을 기사의 자료를 보냄. 또는 그 자료.
- 정보화 (情報化) : 지식과 자료 등을 정보의 형태로 만들어 가치를 높임.
- 표본 (標本) : 통계에서, 어느 집단의 일부를 조사한 결과로 그 집단 전체의 성질을 짐작할 수 있는 통계 자료.
- 노트 (note) : 어떤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여 적음. 또는 그런 자료.
- 데이터베이스 (database) : 컴퓨터에 많은 자료를 저장해 두고 여러 가지 형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프로그램, 또는 그 자료.
- 수집 (蒐集) : 취미나 연구를 위하여 물건이나 자료 등을 찾아서 모음.
- 도표 (圖表) : 어떤 사실이나 주어진 자료 등을 분석하여 그 관계를 알기 쉽게 나타낸 표.
- 차트 (chart) : 어떤 사실이나 주어진 자료 등을 분석하여 그 관계를 알기 쉽게 나타낸 표.
- 괘도 (掛圖) : 벽에 걸어놓고 넘기며 여러 사람이 함께 볼 수 있게 만든 학습 자료.
- 고해상도 (高解像度) : 텔레비전 화면이나 인쇄한 자료 등이 아주 선명한 상태.
- 열람권 (閱覽券) : 도서관 등에서 책이나 자료 등을 볼 수 있는 증명서.
- 열람실 (閱覽室) : 도서관 등에서 책이나 자료 등을 읽는 방.
🗣️ 자료 (資料) @ 용례
- 강론 자료. [강론 (講論)]
- 수량적 자료. [수량적 (數量的)]
- 수집된 자료. [수집되다 (蒐集되다)]
- 연구된 자료. [연구되다 (硏究되다)]
- 그 주제에 대한 자료 준비가 덜 되었으니 본격적 논의는 다음 시간에 하기로 합시다. [본격적 (本格的)]
- 입수한 자료. [입수하다 (入手하다)]
- 자료 구축. [구축 (構築)]
- 최초의 자료. [최초 (最初)]
- 죄송해요, 자료 정리에 시간을 너무 많이 빼앗겼어요. [빼앗기다]
- 기초 자료. [기초 (基礎)]
- 사법 자료. [사법 (司法)]
- 슬라이드 자료. [슬라이드 (slide)]
- 오늘 회의 때에는 화면에 슬라이드 자료를 띄워 놓고 발표를 할 예정이다. [슬라이드 (slide)]
- 관계 자료. [관계 (關係)]
- 수업 시간에 발표를 해야 하는데 자료 정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네. [유형적 (類型的)]
- 증거 자료. [증거 (證據)]
- 반증하는 자료. [반증하다 (反證하다)]
- 지리학 자료. [지리학 (地理學)]
- 자료 정리 방식이 통일이 되지 않아 자료 정리 방식이 모두 제각각이었다. [통일 (統一)]
- 자료 검색. [검색 (檢索)]
- 컴퓨터의 성능이 좋아져 자료의 검색 속도가 빨라졌다. [검색 (檢索)]
- 컴퓨터를 이용하면 훨씬 쉽고 빠르게 자료 검색을 할 수 있다. [검색 (檢索)]
- 승규는 자료 두 뭉치를 손에 들고 있었다. [뭉치]
- 자료 수집. [수집 (蒐集)]
- 지금 발표 주제와 관련된 자료 수집을 하고 있어요. [수집 (蒐集)]
- 동영상 자료. [동영상 (動映像)]
- 이 교육 사이트는 학생들에게 실제 강의를 듣는 것 같은 강의 동영상 자료를 제공한다. [동영상 (動映像)]
- 자료 열람권. [열람권 (閱覽券)]
- 자료에서 추출되다. [추출되다 (抽出되다)]
- 김 대리, 자료 가공은 모두 끝났나? [추출되다 (抽出되다)]
- 아직입니다. 현재 자료에서 필요한 내용들만 추출된 상태입니다. [추출되다 (抽出되다)]
- 참고 자료. [참고 (參考)]
- 관측 자료. [관측 (觀測)]
- 실증적 자료. [실증적 (實證的)]
- 박 교수는 몇 가지 실증적 자료를 통해 지금의 상황을 분석하였다. [실증적 (實證的)]
- 발표 자료 다 만들었는데 이제야 우리 팀에 들어오겠다고? 생으로 먹겠다는 거야? [생으로 먹다]
- 요즘 논문을 쓰려고 자료 조사를 한다며? [유형성 (類型性)]
- 응, 자료 수집은 마쳤는데 분석하려니 유형성이 잘 발견되지 않아서 고민이야. [유형성 (類型性)]
- 모의 수업 자료. [모의 수업 (模擬授業)]
- 한국어 교사인 김 씨는 새로운 학습 자료 고안을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 [고안 (考案)]
- 요약된 자료. [요약되다 (要約되다)]
- 방대한 자료. [방대하다 (厖大/尨大하다)]
- 그 도서관에서는 방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보관하기 위해 전산 시스템을 도입했다. [방대하다 (厖大/尨大하다)]
- 우리는 사장님께서 자료를 한눈에 보실 수 있도록 성장률을 통계해서 드렸다. [통계하다 (統計하다)]
- 선배님께서는 설문지를 통계한 자료를 보다가 틀린 부분이 있다며 화를 내셨다. [통계하다 (統計하다)]
- 그러게 말이야. 자료 조사를 해 줬으면 그걸 정리해서 계산하는 건 자기들이 해야지. [통계하다 (統計하다)]
- 중요 자료. [중요 (重要)]
- 선생님은 뒤죽박죽으로 섞여 있는 자료 속에서 책 한 권을 어렵게 찾아내셨다. [뒤죽박죽]
- 자료 종합은 누가 맡을래? [종합 (綜合)]
- 회의에 필요한 자료를 복사할까요? [투사기 (投射器)]
- 응. 자료 복사한 후 회의실에 투사기도 준비해. [투사기 (投射器)]
- 실증 자료. [실증 (實證)]
- 그래서 저희가 효과를 입증할 만한 실증 자료를 준비해 보았습니다. [실증 (實證)]
- 무성 자료. [무성 (無聲)]
- 시각 자료. [시각 (視覺)]
- 그는 발표를 하면서 화려한 시각 자료를 이용해 청중들의 이해를 도왔다. [시각 (視覺)]
- 참고한 자료. [참고하다 (參考하다)]
- 책을 쓸 때 도움이 된 책이나 자료가 있습니까? [참고하다 (參考하다)]
- 네, 책의 뒷면에 이 책을 쓸 때 참고한 자료들을 정리해 두었습니다. [참고하다 (參考하다)]
- 자료 재정리. [재정리 (再整理)]
- 교육용 자료. [교육용 (敎育用)]
- 앙케트 자료. [앙케트 (enquête)]
- 정부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앙케트 자료를 내놓으며 내년 경제 예측에 대해 발표하였다. [앙케트 (enquête)]
- 복습 자료. [복습 (復習)]
- 다매체 자료. [다매체 (多媒體)]
- 오후 회의 자료 다 만들었어요? [급조 (急造)]
- 고고학적인 자료. [고고학적 (考古學的)]
- 도서관에 가서 고고학적인 자료들을 찾아보렴. [고고학적 (考古學的)]
- 희소한 자료. [희소하다 (稀少하다)]
- 네, 워낙 관련 자료나 기록이 희소해서 알기가 어려울 것 같아요. [희소하다 (稀少하다)]
- 시청각 자료. [시청각 (視聽覺)]
- 비디오와 같은 시청각 자료를 이용해 수업을 하니 학생들이 수업에 더욱 흥미를 가지기 시작했다. [시청각 (視聽覺)]
- 오늘 발표 수업에서 시청각 자료를 사용합니까? [시청각 (視聽覺)]
- 교수 자료. [교수 (敎授)]
- 교수 자료실. [교수 (敎授)]
- 교수 자료실에 있는 여러 가지 도구를 활용해 보세요. [교수 (敎授)]
- 집대성된 자료. [집대성되다 (集大成되다)]
- 자료 제공. [제공 (提供)]
- 학교 측의 자료 제공으로 입학시험 준비를 잘할 수 있었다. [제공 (提供)]
- 음독 자료. [음독 (音讀)]
- 네. 저도 그렇게 느꼈어요. 수업 때 자료를 보고 음독을 시키니 반밖에 못 읽더라고요. [음독 (音讀)]
- 공시 자료. [공시 (公示)]
- 은행의 자금 운영 상태는 경영 공시 자료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공시 (公示)]
- 자료 대출증. [대출증 (貸出證)]
- 우리 학교 도서관에서는 졸업생이나 시민들에게도 자료 및 도서 등의 대출을 위한 임시 대출증을 발급해 준다. [대출증 (貸出證)]
- 선생님이 그 자료 이젠 필요 없다고 하시는데? [머리가 빠지다]
- 방증 자료. [방증 (傍證)]
- 역사학과에서는 역사 유적지에 가서 자료 조사를 하는 답사를 매 학기에 간다. [답사 (踏査)]
- 반증되는 자료. [반증되다 (反證되다)]
- 우리는 그들의 주장이 반증될 만한 자료를 언론에 공개했다. [반증되다 (反證되다)]
- 녹음된 자료. [녹음되다 (錄音되다)]
- 자료 완비. [완비 (完備)]
- 전산 자료. [전산 (電算)]
- 재무 자료. [재무 (財務)]
- 구어 자료. [구어 (口語)]
- 그러면 구어 자료를 구해야겠네요. [구어 (口語)]
- 언어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구어 자료가 많지 않다. [구어 (口語)]
- 종합된 자료. [종합되다 (綜合되다)]
- 나는 통계와 인터뷰 자료 등 사실적 자료를 바탕으로 주장의 객관성을 확보했다. [사실적 (寫實的)]
- 자료 정리는 직원들이 익히 처리할 수 있는 일이었다. [익히]
- 홍보 자료. [홍보 (弘報)]
- 분석된 자료. [분석되다 (分析되다)]
- 실증적인 자료. [실증적 (實證的)]
- 박 선생님은 자신의 논문에서 실증적인 자료로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실증적 (實證的)]
- 조사한 자료. [조사하다 (調査하다)]
- 아직 자료를 조사하고 있어. [조사하다 (調査하다)]
- 자료 파기. [파기 (破棄)]
- 이 자료들은 어떻게 할까요? [파기 (破棄)]
- 각종 자료. [각종 (各種)]
- 통계적 자료. [통계적 (統計的)]
- 이 자료의 경우는 통계적 방법으로 수치화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통계적 (統計的)]
- 우리는 조사한 자료를 통계적 처리를 거친 후에 그래프로 보기 쉽게 나타내었다. [통계적 (統計的)]
- 논설문 자료. [논설문 (論說文)]
- 문헌 자료. [문헌 (文獻)]
- 조선 시대의 문헌 자료를 통해 우리는 그 시대의 문화와 생활상을 알 수 있다. [문헌 (文獻)]
- 집성된 자료. [집성되다 (集成되다)]
- 참고된 자료. [참고되다 (參考되다)]
- 공보 자료. [공보 (公報)]
- 공보 자료를 보시면 상세하게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공보 (公報)]
- 보강 자료. [보강 (補強)]
- 기록한 자료. [기록하다 (記錄하다)]
- 별첨 자료. [별첨 (別添)]
- 보고서 뒤에는 통계와 사진 자료가 별첨 문서로 딸려 있다. [별첨 (別添)]
- 입사 원서를 낼 때 경력을 증명하는 자료도 제출해야 하나요? [별첨 (別添)]
- 헝큰 자료. [헝클다]
- 지수보고 내일까지 자료 좀 가지고 오라고 전해 줘. [보고]
- 통계 자료. [통계 (統計)]
- 원문 자료. [원문 (原文)]
- 시각화된 자료. [시각화되다 (視覺化되다)]
- 발표의 전달력을 높이려면 시각화된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시각화되다 (視覺化되다)]
- 이 자료 좀 지수 씨에게 전해주라고요. [-라고요]
- 실수가 없어야 하니까 자료 목록을 확실히 확인하라고요. [-라고요]
- 고고학 자료. [고고학 (考古學)]
- 강의 자료. [강의 (講義)]
- 비공개 자료. [비공개 (非公開)]
- 프로필 자료. [프로필 (profile)]
- 김 박사는 새 연구 주제를 잡고 자료 조사를 하기 시작했다. [잡다]
- 한국 인류학 자료 대계. [대계 (大系)]
- 김 팀장. 이 자료 재조직 기준은 뭡니까? [재조직 (再組織)]
- 대용량의 자료. [대용량 (大容量)]
- 통계적인 자료. [통계적 (統計的)]
- 실험적 자료. [실험적 (實驗的)]
-
ㅈㄹ (
자리
)
: 사람이나 물건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
☆☆☆
명사
🌏 SPACE; PLACE: A space that is occupied by someone or something. -
ㅈㄹ (
주로
)
: 기본이나 중심이 되게.
☆☆☆
부사
🌏 USUALLY: In a manner of serving as a basis or center. -
ㅈㄹ (
종류
)
: 어떤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눈 갈래.
☆☆☆
명사
🌏 KIND; SORT: One of many classes into which something is divided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
ㅈㄹ (
재료
)
: 물건을 만드는 데 쓰이는 것.
☆☆☆
명사
🌏 MATERIAL; INGREDIENT: Something that is used to produce an item. -
ㅈㄹ (
저런
)
: 상태, 모양, 성질 등이 저러한.
☆☆☆
관형사
🌏 THAT; THAT KIND OF: Being that way in terms of state, shape, nature, etc. -
ㅈㄹ (
정리
)
: 흐트러지거나 어수선한 상태에 있는 것을 한데 모으거나 치움.
☆☆☆
명사
🌏 ORGANIZING: The act of gathering or clearing away dispersed or unorganized items. -
ㅈㄹ (
자랑
)
: 자기 또는 자기와 관계있는 사람이나 물건이 남에게 칭찬을 받을 만한 것임을 드러내어 말하거나 뽐냄.
☆☆☆
명사
🌏 BOAST; BRAG; SHOWING OFF: Saying things about oneself or people or things related to oneself in order to show off. -
ㅈㄹ (
진리
)
: 참된 이치. 또는 참된 도리.
☆☆
명사
🌏 TRUTH: True logic, or true reason. -
ㅈㄹ (
진로
)
: 앞으로 나아갈 길.
☆☆
명사
🌏 COURSE: A path that one takes onward. -
ㅈㄹ (
저리
)
: 저곳으로. 또는 저쪽으로.
☆☆
부사
🌏 AWAY: To that place, or in that direction. -
ㅈㄹ (
조림
)
: 고기, 생선, 채소 등을 양념해서 국물이 거의 남지 않게 바짝 끓여 만든 음식.
☆☆
명사
🌏 BRAISED DISH: A dish made by seasoning meat, fish, vegetables, etc., and boiling them until the water is almost gone. -
ㅈㄹ (
장르
)
: 문학이나 예술의 갈래나 분야.
☆☆
명사
🌏 GENRE: A kind or category of literary or artistic work. -
ㅈㄹ (
자리
)
: 깔고 앉거나 눕기 위해 바닥에 까는 물건.
☆☆
명사
🌏 MAT: A thing spread on the floor on which one sits or lies. -
ㅈㄹ (
장래
)
: 다가올 앞날.
☆☆
명사
🌏 FUTURE: The time to come. -
ㅈㄹ (
조리
)
: 건강을 되찾도록 몸을 보살피거나 병을 낫게 함.
☆☆
명사
🌏 CARE: The act of caring for one's body or having one's disease cured to regain one's health. -
ㅈㄹ (
주름
)
: 피부가 노화되어 생긴 줄. 또는 잔금.
☆☆
명사
🌏 WRINKLE: A line or thin crease formed due to the aging of skin. -
ㅈㄹ (
자료
)
: 연구나 조사를 하는 데 기본이 되는 재료.
☆☆
명사
🌏 MATERIAL; DATA; REFERENCE: Material which is the basis for conducting study or research.
• 음식 설명하기 (78) • 영화 보기 (8) • 성격 표현하기 (110) • 교통 이용하기 (124) • 연애와 결혼 (28) • 역사 (92) • 사건, 사고, 재해 기술하기 (67) • 취미 (103) • 전화하기 (15) • 초대와 방문 (28) • 공공기관 이용하기 (59) • 경제·경영 (273) • 음식 주문하기 (132) • 병원 이용하기 (10) • 여가 생활 (48) • 언론 (36) • 약속하기 (4) • 소개하기(가족 소개) (41) • 날씨와 계절 (101) • 한국의 문학 (23) • 공연과 감상 (52) • 정치 (149) • 약국 이용하기 (6) • 감정, 기분 표현하기 (191) • 소개하기(자기소개) (52) • 환경 문제 (81) • 공공 기관 이용하기(우체국) (8) • 가족 행사-명절 (2) • 길찾기 (20) • 요리 설명하기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