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통 (普通)
☆☆☆ 명사
🗣️ 발음, 활용: • 보통 (
보ː통
)
🗣️ 보통 (普通) @ 뜻풀이
- 예사로 (例事로) : 보통 일처럼 아무렇지도 않게.
- 늦깎이 : 어떤 일을 보통 사람보다 늦게 시작한 사람.
- 예사 (例事) : 보통 흔하게 있는 일.
- 반상 (班常) : (옛날에) 신분이 높은 지배층의 사람과 신분이 낮은 보통 사람.
- 소식가 (小食家) : 음식을 보통 사람보다 적게 먹는 사람.
- 평상복 (平常服) :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에 입는 옷.
- 이유기 (離乳期) : 보통 생후 6개월에서 1년까지로, 아기가 젖을 떼어 가는 시기.
- 상온 (常溫) : 덥지도 춥지도 않은 평상시의 보통 온도.
- 별식 (別式) : 보통 때 먹는 음식이 아닌 특별한 음식.
- 속달 우편 (速達郵便) : 보통 우편보다 빨리 보내 주는 우편.
- 기상 이변 (氣象異變) : 보통 지난 30년간의 기상과 아주 다른 날씨 현상.
- 신통력 (神通力) : 보통 사람한테는 없는 신기하고 이상한 힘.
- 평일 (平日) :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
- 평상시 (平常時) :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
- 불가사의 (不可思議) : 보통 사람의 생각으로는 설명하거나 알 수 없는 매우 이상한 일이나 사물.
- 영특하다 (英特하다) : 보통 사람과 다르게 매우 뛰어나고 흘륭하다.
- 멜론 (melon) : 동그랗고 보통 녹색이며 겉에 그물 모양의 무늬가 있는, 향기가 좋고 단맛이 나는 과일.
- 치고는 : 앞의 명사에 대해 보통 가지고 있는 생각과는 달리 그 상태가 제법이거나 상당한 경우를 나타내는 조사.
- 속기록 (速記錄) : 부호를 사용하여 남의 말을 빨리 받아 적은 기록을 다시 보통 글자로 고쳐서 엮은 책.
- 부자 (富者) : 어떤 것을 보통 이상으로 많이 가진 사람.
- 불가사의하다 (不可思議하다) : 보통 사람의 생각으로는 설명하거나 알 수 없을 정도로 이상하다.
- 평상 (平常) :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
- 민가 (民家) : 보통 사람들이 사는 집.
- 문제아 (問題兒) : 지능, 성격, 행동 등이 보통 아이들과 달리 문제가 되어 따로 지도와 교육이 필요한 아이.
- 싼값 : 보통 파는 가격보다 낮은 가격.
- 쌈장 (쌈醬) : 보통 쌈을 먹을 때 넣어 먹는 것으로, 양념을 한 고추장이나 된장.
- 귀재 (鬼才) : 보통 사람에게서는 흔히 볼 수 없을 만큼 뛰어난 재능.
- 몰상식 (沒常識) : 말이나 행동이 보통 사람이 알고 있는 예절이나 관습, 지식에서 완전히 벗어남.
- 짙다 : 빛깔이 보통의 정도보다 뚜렷하고 강하다.
- 상민 (常民) : (옛날에) 양반이 아닌 보통 백성.
- 별일 (別일) : 보통 때와 다른 특별한 일.
- 쟁반 (錚盤) : 보통 다른 그릇을 받쳐 드는 데에 쓰는, 높이가 매우 낮고 바닥이 넓고 큰 그릇.
- 수준 (水準) : 일반적으로 보통 정도라고 생각되는 기준.
- 화려하다 (華麗하다) : 일이나 생활 등이 보통 사람들이 누리기 어려울 만큼 호화롭고 사치스럽다.
- 영웅 (英雄) : 재주와 용기가 특별히 뛰어나 보통 사람이 하기 어려운 일을 하는 사람.
- 별종 (別種) : 모습, 특성, 행동 등이 보통과 다른 특별한 종류.
- 유별하다 (有別하다) : 보통 것과 크게 다르다.
- 지진아 (遲進兒) : 학습이나 지능의 발달이 보통 아이들보다 느린 아이.
- 안되는 사람은 자빠져도 [뒤로 넘어져도] 코가 깨진다 : 재수가 나쁜 사람은 보통 사람에게 잘 생기지도 않는 나쁜 일까지 생긴다.
- 감기 (感氣) : 보통 기침, 콧물, 두통, 오한의 증상이 있는, 전염성이 있는 병.
- 기인 (奇人) : 말이나 행동, 성격 등이 보통 사람과 매우 다른 특이한 사람.
- 호황 (好況) : 경제 활동이 보통 이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상태.
- 소화되다 (消化되다) : (비유적으로) 보통 어울리기 힘든 것이 고유의 특성으로 인하여 잘 어울리다.
- 어지간히 : 보통 수준이거나 그보다 조금 더 하게.
- 미치다 : 정신에 이상이 생겨 보통 사람과 다른 말과 행동을 하다.
- 평절 (平절) : 인사를 드릴 때나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에 하는 절.
- 사복 (私服) : 제복이 아닌 평상시에 입는 보통 옷.
- 눈도 깜짝 안 하다 : 조금도 놀라지 않고 보통 때와 같다.
- 덜되다 : 말이나 행동, 생각이 보통 수준에 이르지 못하거나 바르지 못하다.
- 유별 (有別) : 보통 것과 크게 다름.
- 평년작 (平年作) : 보통 정도로 된 농사.
- 정신 박약아 (精神薄弱兒) : (낮잡아 이르는 말로) 보통 사람보다 지능 발달이 떨어져 일을 처리하거나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어려운 아이.
- 어지간하다 : 보통 수준이거나 그보다 조금 더 하다.
- 찰옥수수 : 보통 옥수수보다 낟알에 끈기가 있는 옥수수.
- 평소 (平素) :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
- 타블로이드 (tabloid) : 보통 신문의 절반 크기의 판형.
- 평복 (平服) :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에 입는 옷.
- 일찍 : 보통 다른 일이나 다른 사람보다 먼저.
- 사병 (士兵) : 군대에서, 장교가 아닌 보통 군인.
- 고매하다 (高邁하다) : 생각, 성격, 학문이 보통 사람들 같지 않고 바르고 훌륭하다.
- 일상 용어 (日常用語) : 보통 때 늘 쓰는 말.
- 글짓기 : 보통 학생들이 글 쓰는 실력을 기르기 위해 자신의 생각을 글로 쓰는 것.
- 머리글자 (머리글字) : 보통 알파벳 표기에서 어떤 단어의 처음에 오는 글자.
- 언덕 : 낮은 산처럼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고, 보통 땅보다 약간 높이 솟아 있는 곳.
- 호경기 (好景氣) : 경제 활동이 보통 이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상태.
- 의무 교육 (義務敎育) : 나라에서 정한 법에 따라 일정한 나이가 되면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보통 교육.
- 항시 (恒時) : 보통 때.
- 소인 (小人) : 보통 사람보다 키와 몸집이 매우 작은 사람.
- 미치광이 : (낮잡아 이르는 말로) 정신에 이상이 생겨 말과 행동이 보통 사람과 다른 사람. 미친 사람.
- 속달 (速達) : 보통 우편보다 빨리 보내 주는 우편.
- 크다 : 길이, 넓이, 높이, 부피 등이 보통 정도를 넘다.
- 오찬 (午餐) : 보통 때보다 잘 차려서 손님을 대접하는 점심 식사.
- 평년 (平年) : 보통 정도의 수확을 올린 해.
- 소화하다 (消化하다) : (비유적으로) 보통 어울리기 힘든 것을 고유의 특성으로 인하여 잘 어울리게 하다.
- 상시 (常時) :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
- 찹쌀 : 보통 쌀보다 끈끈한 기운이 있는 쌀.
- 평상심 (平常心) :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의 마음.
- 세속 (世俗) : 보통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살아가는 세상.
- 선남선녀 (善男善女) : 착한 보통 사람들.
- 올벼 : 보통 익는 시기보다 더 일찍 익는 벼.
- 거인 (巨人) : 보통 사람보다 몸과 키가 훨씬 큰 사람.
- 대식가 (大食家) : 음식을 보통 사람보다 많이 먹는 사람.
- 퍽 : 보통 정도를 훨씬 넘게.
- 키 크고 싱겁지 않은 사람 없다 : 보통 키가 큰 사람은 행동이나 말이 야무지지 못하고 부족한 데가 많다.
- 덤덤하다 : 특별한 감정이나 느낌을 드러내지 않고 보통 때와 같다.
- 몰상식하다 (沒常識하다) : 말이나 행동이 보통 사람이 알고 있는 예절이나 관습, 지식에서 완전히 벗어나다.
- 소화시키다 (消化시키다) : (비유적으로) 보통 어울리기 힘든 것을 고유의 특성으로 인하여 잘 어울리게 하다.
- 소화 (消化) : (비유적으로) 보통 어울리기 힘든 것을 고유의 특성으로 인하여 잘 어울리게 함.
- 저능아 (低能兒) : (낮잡아 이르는 말로) 지적 능력이 보통 수준보다 떨어지는 아이.
- 일반석 (一般席) : 귀하거나 중요한 사람이 아닌 보통 사람들이 앉는 자리.
- 평시 (平時) :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
- 가격 파괴 (價格破壞) : 보통 알려진 가격보다 물건값을 훨씬 낮춤.
- 일상생활 (日常生活) :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의 생활.
- 화려히 (華麗히) : 어떤 일이나 생활 등이 보통 사람들이 누리기 어려울 만큼 대단하거나 사치스럽게.
- 작다 : 길이, 넓이, 부피 등이 다른 것이나 보통보다 덜하다.
- 속계 (俗界) : 세속의 보통 사람들이 살고 있는 현실 세계.
- 예사말 (例事말) : 높이거나 낮추지 않은 보통 말.
- 일반실 (一般室) : 기차, 병원, 호텔 등에서, 귀하거나 중요한 사람이 아닌 보통 사람들을 위한 방.
- 정신 박약 (精神薄弱) : (낮잡아 이르는 말로) 보통 사람보다 지능 발달이 떨어져 일을 처리하거나 환경에 적응하는 데 어려운 상태.
- 마냥 : 보통 이상으로 몹시.
🗣️ 보통 (普通) @ 용례
- 의료인에는 보통 의사나 간호사나 약사 등이 해당된다. [의료인 (醫療人)]
- 미술 대회에서는 보통 한 번 낸 작품은 당선된 작품이든 아니든 돌려 주지 않는다. [당선되다 (當選되다)]
- 그는 전형적이고 평균적인 보통 한국 남자였다. [평균적 (平均的)]
- 머리카락이 그만큼 자라려면 보통 평균적으로 시간이 얼마나 걸리나요? [평균적 (平均的)]
- 네, 보통 식탁이나 탁자의 모서리가 곡면인 것을 사는 게 좋지요. [곡면 (曲面)]
- 보통 자연산 돔은 양성된 돔보다 가격이 더 비싼 편이다. [양성되다 (養成되다)]
- 신용 금고는 보통 은행에 비해 금리가 높은 편이다. [금고 (金庫)]
- 보통 부모를 잃었을 때보다 자식을 먼저 떠나보냈을 때 마음이 더 애통하다고 한다. [애통하다 (哀痛하다)]
- 보통 한 나라의 종교는 문화와 깊은 연관이 있다. [종교 (宗敎)]
- 우리 회사는 규모가 작고 지명도가 낮아 보통 사람들이 잘 모른다. [지명도 (知名度)]
- 보통 지방 자치 단체. [지방 자치 단체 (地方自治團體)]
- 사람들은 보통 파란색, 녹색, 보라색을 차가운 색으로 여긴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보라색 (보라色)]
- 선생님, 보통 시들은 몇 개의 연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시는 연이 하나네요. [연 (聯)]
- 그 문화는 보통 사람들이 즐기는 범속 문화이다. [범속 (凡俗)]
- 아니. '한승규 배상'은 한승규 씨가 보냈다는 뜻이고 보통 결혼하는 사람의 부모가 청첩장을 보낸단다. [배상 (拜上)]
- 사람들은 보통 공허한 마음을 어떻게 달랠까? [공허하다 (空虛하다)]
- 승규의 연습량은 보통 사람이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엄청나다. [엄청나다]
- 상복은 보통 굵은 삼베로 짓는다. [굵다]
- 보통 재산이 몰수되어서 국고로 환수되지. [환수되다 (還收되다)]
- 승규는 보통 지갑을 양복 안 주머니에 품은 채 다닌다. [품다]
- 보통 선거란 선거권이 성인 국민 모두에게 부여되는 방식을 뜻한다. [부여되다 (附與되다)]
- 보통 평서법, 의문법, 명령법, 청유법, 감탄법을 인정합니다. [서법 (敍法)]
- 오케스트라에서 목관 악기의 연주자들은 보통 중앙 뒤쪽에 위치한다. [목관 악기 (木管樂器)]
- 보통 비싼 음식일수록 맛있기 마련인데 이 음식점의 메뉴는 값의 고하와 상관없이 모든 음식이 맛있다. [고하 (高下)]
- 사람들은 보통 성능의 고하를 자세히 따져보지 않고 비싼 제품일수록 좋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고하 (高下)]
- 선생님, 나라들이 보통 언제 평가절하를 하나요? [평가 절하 (平價切下)]
- 회사원은 보통 아침 아홉 시에 출근하여 저녁 여섯 시에 퇴근한다. [여섯]
- 보통 사람들보다 근검절약하는 습관이 몸에 배어 쓸데없는 낭비는 하지 않는 부자들도 있다. [배다]
- 너무 긴 용어의 경우 보통 앞의 알파벳만 따 약어를 만든다. [따다]
- 새로 발견된 별은 보통 그 별을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짓는다. [따다]
- 그녀에게서는 보통 여자와는 다른 묘한 매력이 발산되고 있었다. [발산되다 (發散되다)]
- 보통 땅의 넓이를 계산할 때는 평이라는 단위를 쓰는데 한 평은 3.3058제곱미터에 해당한다. [제곱미터 (제곱meter)]
- 시제에는 보통 과거, 현재, 미래가 있다. [미래 (未來)]
- 보통 나이를 고려하는 사회와 달리 군대에서는 계급에 따라서 서열이 엄격하게 매겨진다. [서열 (序列)]
- 횟집에서 회를 다 먹고 나면 보통 매운탕이 나온다. [매운탕 (매운湯)]
- 경전철은 보통 10량 단위로 운행되는 일반 전철과 달리 보통 1~2량만으로 움직인다. [경전철 (輕電鐵)]
- 공을 많이 던지는 투수들은 보통 어깨에 고질적 병이 있다. [고질적 (痼疾的)]
- 영수는 보통 넥타이보다는 나비넥타이를 매는 것이 훨씬 더 잘 어울린다. [나비넥타이 (나비necktie)]
- 보통 남성은 목소리 높이에 따라서 테너, 바리톤, 베이스로 나뉩니다. [베이스 (bass)]
- 오랜만에 만난 그녀는 보통 다른 여자들처럼 그냥저냥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었다. [살아가다]
- 씨앗은 보통 언제쯤 심나요? [대개 (大槪)]
- 한국 역사학에서는 보통 갑오개혁 이후 또는 광복 이후를 현대로 본다. [현대 (現代)]
- 보통 꽃은 봄에 피는데 동백꽃은 겨울에 피네. [꽃망울]
- 아니요. 보통 때는 기운이 넘치다가도 도와 달라고 하면 끙 앓는 소리를 해요. [끙]
- 보통 사월과 오월 사이에 교미를 하는 갈매기는 밝은 갈색의 알을 낳는다. [교미 (交尾)]
- 음대에서 도서관까지 이어진 계단은 보통 걸음으로 10분쯤 걸어야 할 만큼 길었다. [이어지다]
- 나는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때 보통 개인적인 토픽을 예시로 들어 설명한다. [토픽 (topic)]
- 보통 음식점에서는 애견과 동행하는 고객을 그리 달갑지 않게 생각한다. [애견 (愛犬)]
- 민준은 주말에 보통 친구를 만나거나 영화를 본다. [-거나]
- 아이들은 보통 말을 먼저 배운 뒤 문자를 익히고 글을 쓴다. [문자 (文字)]
- 대나무는 곧고 잎이 항상 푸르기 때문에 보통 굳은 절개를 상징한다. [대나무]
- 보통 잘못 기표된 투표지는 무효로 처리된다. [투표지 (投票紙)]
- 주말에는 보통 무엇을 하세요? [회화 (會話)]
- 우리 섬 사람들은 육지로 나갈 때 보통 쾌속정을 이용한다. [쾌속정 (快速艇)]
- 보통 화자보다 청자의 나이가 많을 때죠. [화자 (話者)]
- 양수를 나타낼 때는 보통 ‘+’ 기호를 생략한다. [양수 (陽數)]
- 독립어는 보통 독립적으로 쓰이거나, 문장의 가장 앞이나 가장 뒤에 위치한다. [독립어 (獨立語)]
- 백팔십 센티미터의 장신인 지수는 보통 남자들 보다 크다. [장신 (長身)]
- 설화를 보면 보통 세상이 혼란할 때 세상을 구제하기 위해 나타나지. [화신 (化身)]
- 예대에는 보통 음악학과와 미술학과가 속해 있다. [예대 (藝大)]
- 응. 보통 때보다 역 두 개를 더 거쳐왔거든. [거쳐오다]
- 보통 최신 가요를 틀어 주더라. 난 요즘 노래 안 좋아해서 거기 안 가. [가요 (歌謠)]
- 같은 등산 장비라도 전문가용으로 구입하려면 보통 몇십만 원은 쉽게 넘어간다. [넘어가다]
- 씨름 선수들은 보통 사람들이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무한량의 밥을 먹는다. [무한량 (無限量)]
- 보통 해당 법률의 시행일, 경과 규정 등과 같이 세세한 부분은 부칙으로 정해져 있다. [부칙 (附則)]
- '산'은 보통 명사이지만 '백두산', '한라산' 등 특정한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는 고유 명사이다. [보통 명사 (普通名詞)]
- 장기에 생긴 암을 제거하는 수술은 보통 외과의가 집도한다. [외과의 (外科醫)]
- 보통 공연장에서 무대와 가까운 앞쪽 객석은 뒤쪽 객석에 비해 가격이 두 배 이상 비싸다. [객석 (客席)]
- 그 작은 것들을 토막토막 다 색칠하는 것은 보통 귀찮은 일이 아니었다. [토막토막]
- 출퇴근 시간에는 보통 삼 분마다 오니까 곧 올 거예요. [마다]
- 보통 결혼식 날짜는 불길한 날을 피해서 잡는다. [피하다 (避하다)]
- 밤에 손님이 많이 드는 유흥업소의 간판은 보통 네온 조명을 이용해 밤에도 화려해 보이도록 만든다. [네온 (neon)]
- 보통 출입구에서 가장 먼 쪽을 상석으로 정하지요. [상석 (上席)]
- 사람은 보통 한 시간에 삼사 킬로미터를 걷는다. [를]
- 운동복은 보통 각 운동의 특색에 맞게 만들어진다. [특색 (特色)]
- 그 예술가는 옷차림과 행동이 보통 사람과 매우 다른 기인의 면모를 보였다. [기인 (奇人)]
- 바코드는 보통 열세 자리로 구성되며, 상품 제조 국가, 제조 업체, 상품명 등을 표시한다. [바코드 (barcode)]
- 초하루가 길일이라고 하잖아 보통. 그래서 그러는 거야. [초하루 (初하루)]
- 보통 서양은 개인주의 문화이고 동양은 전체주의 문화라고 해. [동양 (東洋)]
- 예사 높임은 보통 하오체로 말해야 하는 사이에서 사용된다. [예사 높임 (例事높임)]
- 아니, 그러니까 넌 보통 몇 시에 일어나느냐니깐? [-느냐니깐]
- 서로 눈빛이 끈적한 걸 보니 그들은 보통 사이가 아닌 것 같았다. [끈적하다]
- 보통 높은 톤은 자칫 시끄럽게 들릴 수가 있는데 네 노래는 참 듣기가 좋아. [톤 (tone)]
- 보통 알겠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돈을 뜻하기도 해요. [집게손가락]
- 주말엔 보통 뭐하세요? [대중 (大衆)]
- 점심시간이 끝나면 아이들은 오후 한 시부터 두 시까지 보통 낮잠을 잔다. [끝나다]
- 동양식 말하기는 보통 직접 표현하지 않고 둘러서 말하는 방식이라며? [동양식 (東洋式)]
- 영화를 예매할 때에는 보통 극장의 좌석 배치도를 보고 마음에 드는 자리로 골라서 예매한다. [배치도 (配置圖)]
- 시내 도로는 보통 출퇴근 시간대에 교통이 매우 혼잡하다. [시간대 (時間帶)]
- 그는 보통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에서 일탈된 삶을 살고 있었다. [일탈되다 (逸脫되다)]
- 민준의 피아노 실력은 보통 수준을 넘어섰다. [넘어서다]
- 보통 정육점은 저울에 단 중량대로 고기의 가격을 정해 놓는다. [달다]
- 그는 한 끼 식사 값이 보통 사람들의 한 달 월급이니 이 시대의 신판 귀족이다. [신판 (新版)]
- 보통 문장이 끝났음을 알리기 위해서는 마침표를 찍는다. [찍다]
- 그는 보통 사람들을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를 찍고 있다. [찍다]
- 네, 보통 맨 앞 좌석의 바로 뒤가 경로석이에요. [경로석 (敬老席)]
- 보통 크기 컵이 이백 밀리리터쯤 되니까 두 컵 반 정도 부으면 되겠네. [밀리리터 (milliliter)]
- 보통 제조업이나 가공식품 산업은 제이차 산업에 해당한다. [제이차 산업 (第二次産業)]
- 망원 렌즈로 촬영한 사진이에요. 보통 렌즈로 찍은 사진보다 더 멋있지요? [망원 렌즈 (望遠lens)]
- 밤잠이 없는 지수는 보통 새벽 두세 시까지 깨어 있다. [밤잠]
- 사람들은 보통 받기만 하는 것보다 상부상조할 때 더 편안한 기분이 든다. [상부상조하다 (相扶相助하다)]
- 기자는 사실을 객관적으로 보도할 의무가 있기에 기사를 쓸 때 보통 서술문을 사용한다. [서술문 (敍述文)]
- 그 고위 관리에게는 보통 사람들과 다른 품격이 느껴졌다. [품격 (品格)]
- 방사선 폐기물은 보통 드럼통에 담아 지하 깊숙이 매장한다. [드럼통 (drum桶)]
-
ㅂㅌ (
보통
)
: 일반적으로. 또는 흔히.
☆☆☆
부사
🌏 USUALLY; IN GENERAL: Generally, or normally. -
ㅂㅌ (
배탈
)
: 먹은 음식이 체하거나 설사를 하거나 배가 아프거나 하는 병.
☆☆☆
명사
🌏 STOMACHACHE; UPSET STOMACH; STOMACH UPSET: A disorder of indigestive function, characterized by diarrhea or pain in the stomach. -
ㅂㅌ (
보통
)
: 흔히 볼 수 있어 특별하지 않고 평범함. 또는 뛰어나지도 뒤떨어지지도 않은 중간 정도.
☆☆☆
명사
🌏 BEING ORDINARY; BEING AVERAGE: The quality of being common and ordinary as opposed to extraordinary, or being average as opposed to excellent or sub-par. -
ㅂㅌ (
봉투
)
: 편지나 서류 등을 넣기 위해 종이로 만든 주머니.
☆☆☆
명사
🌏 ENVELOPE: A bag made of paper, into which a letter, document, etc., are put. -
ㅂㅌ (
부탁
)
: 어떤 일을 해 달라고 하거나 맡김.
☆☆☆
명사
🌏 REQUEST: The act of asking someone to do something or entrusting someone with something. -
ㅂㅌ (
버터
)
: 주로 빵에 발라 먹거나 요리에 쓰는, 우유에 있는 지방을 굳혀서 만든 노란색의 식품.
☆☆
명사
🌏 BUTTER: A yellowish fatty substance made from milk by churning, for spreading on bread or cooking. -
ㅂㅌ (
발톱
)
: 발가락의 끝을 덮어 보호하고 있는 단단한 부분.
☆☆
명사
🌏 TOENAIL: The hard part that is covering and protecting the end of the toe. -
ㅂㅌ (
벨트
)
: 옷의 허리 부분에 둘러매는 띠.
☆☆
명사
🌏 BELT: A strip worn around the waist of a garment. -
ㅂㅌ (
복통
)
: 배가 아픈 증세.
☆☆
명사
🌏 STOMACHACHE; BELLYACHE: A symptom in which a person's stomach aches. -
ㅂㅌ (
바탕
)
: 사물이나 현상을 이루는 근본.
☆☆
명사
🌏 FOUNDATION; BASIS: A basis that comprises a certain thing or phenomenon. -
ㅂㅌ (
버튼
)
: 전기 장치에서 손가락으로 눌러 조작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장치.
☆☆
명사
🌏 BUTTON: A device on an electrical equipment, which is operated by pressing it with a finger. -
ㅂㅌ (
박탈
)
: 남의 재물이나 권리, 자격 등을 강제로 빼앗음.
☆
명사
🌏 DEPRIVATION; FORFEIT: The act of taking another person's property, right, qualification, etc., away with force. -
ㅂㅌ (
빈틈
)
: 사이가 떨어져 있어 공간이 비어 있는 부분.
☆
명사
🌏 CRACK; GAP: The vacant space between two objects that are apart.
• 공공기관 이용하기 (59) • 공공 기관 이용하기(도서관) (8) • 한국 생활 (16) • 실수담 말하기 (19) • 법 (42) • 주거 생활 (48) • 병원 이용하기 (10) • 보건과 의료 (204) • 감정, 기분 표현하기 (191) • 학교생활 (208) • 언론 (36) • 대중 매체 (47) • 스포츠 (88) • 주말 및 휴가 (47) • 직업과 진로 (130) • 요일 표현하기 (13) • 집 구하기 (159) • 문제 해결하기(분실 및 고장) (28) • 컴퓨터와 인터넷 (43) • 집안일 (41) • 사회 제도 (78) • 직장 생활 (197) • 공공 기관 이용하기(우체국) (8) • 건축 (43) • 철학·윤리 (86) • 문화 비교하기 (47) • 사회 문제 (226) • 요리 설명하기 (119) • 개인 정보 교환하기 (46) • 날씨와 계절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