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로 (一路)
명사
🗣️ 발음, 활용: • 일로 (
일로
)📚 주석: 주로 '~ 일로'로 쓴다.
🗣️ 일로 (一路) @ 뜻풀이
- 김칫국부터 마신다 : 아직 일어날지 안 일어날지 모르는 일인데 미리부터 다 된 일로 알고 행동한다.
- 부정(을) 타다 : 불길한 일로 해를 입다.
- 순시하다 (巡視하다) : 공적인 일로 어떤 지역을 돌아다니며 사정을 살피다.
- 아옹다옹하다 : 사소한 일로 서로 자꾸 다투다.
- 아옹다옹 : 사소한 일로 서로 자꾸 다투는 모양.
- 경악하다 (驚愕하다) : 좋지 않은 일로 깜짝 놀라다.
-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다 : 역사에 남을 만큼 중요한 일로 기념하거나 기록하다.
- 선례 (先例) : 이전에 있었던 일로, 어떤 일을 하는 데 본보기나 참고가 되는 예.
- 사람 죽이다 : 사람을 뜻밖의 일로 매우 당황하게 만들다.
- 콩고물 : (비유적으로) 남의 일로 인해 우연히 얻어지는 작은 이익.
- 뼈가 녹다[녹아나다] : 어렵거나 힘든 일로 고생하다.
- 패 (牌) : 주로 좋지 못한 일로 인하여 붙게 되는 별명.
- 멍 : (비유적으로) 어떤 일로 인해 생긴 마음의 상처나 충격.
- 머리를 썩이다 : 어떤 일로 몹시 신경을 쓰다.
- 누명 (陋名) : 사실이 아닌 일로 억울하게 얻은 나쁜 평판.
- 일파만파 (一波萬波) : 하나의 일이 그 일로 끝나지 않고 더 큰 일로 번지거나 많은 일로 이어짐.
- 종군하다 (從軍하다) : 싸울 목적이 아닌 다른 일로 군대를 따라 같이 다니다.
- 대란 : 어떤 일로 인해 사회가 매우 혼란스럽고 어려운 상황.
- 불이 나다 : 화가 나는 일로 감정이 격해지다.
- 관용차 (官用車) : 정부 기관이나 공공 기관 등에 소속되어 공적인 일로 운행되는 자동차.
- 불이 일다 : 화가 나는 일로 감정이 격해지다.
- 어머 : 주로 여자들이 예상하지 못한 일로 갑자기 놀라거나 감탄할 때 내는 소리.
- 골이 빠지다 : (낮잡아 이르는 말로) 어떤 일로 머리를 매우 쓰거나 애를 태우다.
- 어머나 : 주로 여자들이 예상하지 못한 일로 갑자기 놀라거나 감탄할 때 강조해서 내는 소리.
- 얼굴이 팔리다 : 좋지 않은 일로 사람들에게 자신의 얼굴이 알려지게 되다.
- 끼치다 : 어떤 일로 다른 사람이나 사회에 영향을 주다.
- 어쩜 : 뜻밖의 일로 놀라거나 감탄할 때 나오는 소리.
- 얼떨떨하다 : 뜻밖의 일로 당황하거나 여러 가지 일이 복잡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는 데가 있다.
- 경악 (驚愕) : 좋지 않은 일로 깜짝 놀람.
- 순시 (巡視) : 공적인 일로 어떤 지역을 돌아다니며 사정을 살핌.
- 멍들다 : (비유적으로) 어떤 일로 인해 마음에 상처나 충격을 받다.
- 위자료 (慰藉料) : 어떤 일로 손해를 입혔을 때, 정신적 고통이나 피해에 대해 물어 주는 돈.
- 후환 (後患) : 어떤 일로 인해 뒷날 생기는 걱정과 근심.
- 종군 (從軍) : 싸울 목적이 아닌 다른 일로 군대를 따라 같이 다님.
- 원 : 예상하지 못한 일로 놀라거나 기분이 불쾌할 때 내는 소리.
- 대낮에 마른벼락 : 뜻밖의 일로 당한 화.
- 일삼다 : 일로 생각하고 하다.
- 찌릿하다 : 어떤 일로 가슴이나 마음이 쑤시듯이 꽤 아프다.
- 꿩 먹고 알 먹는다[먹기] :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상의 이익을 보다.
- 찌릿찌릿 : 어떤 일로 가슴이나 마음이 쑤시듯이 매우 아픈 느낌.
- 골 : 비위에 거슬리거나 언짢은 일로 내는 화.
- 임하다 (任하다) : 어떤 일이나 직위를 맡아 자기 일로 삼다.
- 부작용 (副作用) : 어떤 일로 인해 일어난, 기대하지 않았던 바람직하지 못한 일.
- 화닥닥 : 예상하지 못한 일로 갑자기 매우 놀라거나 당황해하는 모양.
- 어머머 : 주로 여자들이 예상하지 못한 일로 갑자기 놀라거나 감탄할 때 잇따라 내는 소리.
- 공석 (公席) : 공적인 일로 모인 자리.
🗣️ 일로 (一路) @ 용례
- 우리는 우스울 만큼 별것 아닌 일로 헤어졌다. [우습다]
- 몰라. 별것도 아닌 일로 우스운 꼴을 보여서 미안하다. [우습다]
- 괜히 그런 일로 진 빼지 말고 칼로 잘라. [진(을) 빼다]
- 그는 회사 일로 지칠 때마다 일하지 않고도 풍요롭게 사는 꿈속에 잠기곤 한다. [꿈속]
- 그는 성질이 급해서 사소한 일로 금세 발끈하여 화를 내며 앞뒤를 분간하지 못한다. [발끈하다]
- 무슨 일로 왔어? [-자면서]
- 지수는 이만 일로 놀라지 않을 것이다. [이만]
- 어머니는 이만 일로 마음이 약해지지 않으셨다. [이만]
- 괜찮아, 나 이만 일로 쓰러지지 않아. [이만]
- 이번 일로 총리가 자리에서 물러났대. [총리 (總理)]
- 그만 일로 화를 내서야 되겠니? [그만]
- 세계 대회에서 금메달을 따는 것은 명예로운 일로 여겨진다. [명예롭다 (名譽롭다)]
- 이이가 무슨 일로 꽃다발을 다 선물했을까? [이이]
- 김 대리는 지난번에 무단 결근을 한 일로 사장님께 노여움을 샀다. [노여움(을) 사다]
- 무슨 피치 못할 일로 돈을 빌리려는 겁니까? [피치 못할]
- 수많은 어려움을 겪어 온 그이기에 이번 일로 쉽게 넘어지지 않을 것이다. [넘어지다]
- 별 것 아닌 일로 서로 기분이 상했던 나와 친구는 결국 사이가 멀어지고 말았다. [사이]
- 그깟 일로 무슨 화를 그렇게 내니? [그깟]
- 그는 하루의 절반을 상상하는 일로 보내는 몽상가였다. [몽상가 (夢想家)]
- 그는 보험금을 노리고 집에 방화한 일로 경찰에 붙잡혔다. [방화하다 (放火하다)]
- 한 남자가 지하철에 방화한 일로 많은 사람들이 대피하는 사건이 있었다. [방화하다 (放火하다)]
- 사내대장부가 그런 일로 울면 못써. [사내대장부 (사내大丈夫)]
- 오도된 역사 교과서를 바로 잡아야 해. 강제적으로 식민지 국가를 억압한 사실을 없던 일로 만들다니. [오도되다 (誤導되다)]
- 농사 일로 햇볕에 그을린 농부의 얼굴이 꺼무접접하다. [꺼무접접하다]
- 승규는 이번 일로 슬픔이 극하면 눈물조차 나오지 않는 것을 처음 알았다. [극하다 (極하다)]
- 걔는 정말 별것도 아닌 일로 좀생원처럼 구는구나. [좀생원 (좀生員)]
- 저희 동네에 어쩐 일로 오셨어요? [겸사겸사 (兼事兼事)]
- 안 좋은 일로 헤어진 친구를 보니 내 가슴 한 구석에 찬바람이 일었다. [찬바람이 일다]
- 박 씨는 이번 일로 무슨 국물이나 있지 않을까 기대하는 눈치다. [국물]
- 무슨 일로 병원에 오셨습니까? [뻐근히]
- 그렇게 쓸데없는 일로 싸우지 좀 말아라. [쓸데없다]
- 최근 회사 일로 줄곧 스트레스를 받았더니 위에 궤양이 생겼다. [궤양 (潰瘍)]
- 믿었던 이에게 배신당한 일로 비분강개하다 결국 자살을 선택한 것 같습니다. [비분강개하다 (悲憤慷慨하다)]
- 무슨 일로 찾아오셨죠? [누락되다 (漏落되다)]
- 나도 내 일로 바빠서 그의 일에 마음을 둘 수가 없다. [두다]
- 이번 일로 심하게 문책당한 거야? [전말서 (顚末書)]
- 무슨 일로 오셨어요? [벽보 (壁報)]
- 하지만 한 번 잘못한 일로 그 사람의 모든 행동을 싸잡아 비난해서는 안 돼. [싸잡다]
- 무슨 일로 그런 표정을 하고 계시오? [-렵니까]
- 오늘은 또 무슨 일로 교무실에 끌려왔니? [끌려오다]
- 지수는 이번 일로 흡족히 보상을 받았기 때문에 큰 불만은 없었다. [흡족히 (洽足히)]
- 이번 일로 친구에게 부담을 주고 싶지 않다. [부담 (負擔)]
- 그만한 일로 엉엉 소리를 할 것이라면 당장 그만 두도록 해. [엉엉]
- 젊으신 양반이 이 깊은 벽촌까지 무슨 일로 오셨소? [벽촌 (僻村)]
- 지수가 이번 일로 좌절하고 꿈을 포기하면 어떡하지? [악착같다 (齷齪같다)]
- 자네는 무슨 일로 왔는가? [-십사]
- 한데 여기까지는 무슨 일로 오셨습니까? [한데]
- 한데 어쩐 일로 전화를 다 주셨습니까? [한데]
- 무슨 일로 저렇게 구경꾼이 몰려 있지? [구경꾼]
- 민준이 학교에는 무슨 일로 가는 거예요? [배식 (配食)]
- 민준이가 무슨 일로 처벌을 받게 된 거야? [준수하다 (遵守하다)]
- 회사 일로 바쁘니까 거추장스러워서 사 먹어. [거추장스럽다]
- 어쩐 일로 집에 일찍 왔어? [-라기에]
- 나를 궁지로 몰아넣은 일로 어제의 친구가 바로 오늘의 원수가 되었다. [어제]
- 십 대 일로 싸워서 이겼다는 친구의 말은 허황돼서 믿을 수가 없었다. [허황되다 (虛荒되다)]
- 어제 축구 경기에서 우리 팀이 삼 대 일로 졌어. [완패하다 (完敗하다)]
- 국회 의원 선거 후보인 김 씨는 이번 일로 지지율 추락이 일어났다. [추락 (墜落)]
- 정부에 비판적인 신문을 폐간시키겠다는 것은 독재주의 시대에나 있을 법한 일로 민주주의를 역행하는 것이다. [독재주의 (獨裁主義)]
- 청나라는 아편 수입의 일로 영국과 전쟁을 벌였으나 대패하였다. [대패하다 (大敗하다)]
- 저를 무슨 일로 찾아오신 겁니까? [가세 (加勢)]
- 오늘은 어쩐 일로 귀고리를 끼지 않았네요? [귀고리]
- 요새 회사 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더니 생긴 것 같아. [뾰루지]
- 이번 일로 지수는 많은 것을 깨달았다. [것]
- 아내는 회사 일로 힘들어하는 나에게 위로의 말을 건넸다. [건네다]
- 일 년을 삼백오십오 일로 정한 태양력을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이집트 인이었다고 한다. [태양력 (太陽曆)]
- 승규는 평일에 회사 일로 바쁜 대신에 주말에는 한가하다. [-ㄴ 대신에]
- 내일로 돌리다. [돌리다]
- 지수야, 미안하지만 내가 갑자기 급한 일이 생겨서 우리 약속을 내일로 돌려야겠어. [돌리다]
- 없던 일로 돌리다. [돌리다]
- 그래, 나도 아쉬워. 하지만 다른 일로 다시 시작해 보자. [유산하다 (流産하다)]
- 응. 상대 팀을 이 대 일로 일축하고 결승에 올랐어. [일축하다 (一蹴하다)]
- 미안해. 회사 일로 너무 바빴어. [불만 (不滿)]
- 고된 일로 지친 남자는 결국 힘이 없이 쓰러져 버렸다. [없이]
- 너 2박 3일로 여행 간다며? [금 (金)]
- 응. 다음 주 금, 토, 일로 다녀오려고. [금 (金)]
- 김 선생님, 무슨 일로 그렇게 화가 나셨어요? [대들다]
- 김 대리가 무슨 일로 전화했어요? [-느냐던데]
- 나와 언니는 성격이 판이하여 매일 사소한 일로 다투었다. [판이하다 (判異하다)]
- 승규가 어제 일로 단단히 화가 난 것 같더군. [-더군]
- 오늘은 그만하자. 이런 사소한 일로 너랑 따따부따하기 싫어. [따따부따하다]
- 그래, 무슨 일로 왔니? [여쭈다]
- 축구 경기는 일 대 일로 일진일퇴의 접전을 펼치다가 결국 우리나라가 골을 넣음으로써 승리할 수 있었다. [일진일퇴 (一進一退)]
- 자네가 사또 나리 댁에는 어쩐 일로 다 왔는가? [나리]
- 무슨 일로 연락 주셨나요? [자문 (諮問)]
- 승규가 자기 논문을 표절해서 다른 곳에 발표한 일로 크게 꾸중을 들었다면서? [학자적 (學者的)]
- 급한 일로 지수 씨를 만나러 왔는데 호출을 좀 해주시겠어요? [호출 (呼出)]
- 무슨 일로 날 보겠다고 했나? [드리다]
- 저 사람은 어떤 일로 경찰서에 오게 된 거지? [소매치기하다]
- 나는 사소한 일로 옹졸하게 아내와 말다툼하기 싫어서 자리를 피했다. [옹졸하다 (壅拙하다)]
- 그 일로 하루 종일 고민을 했더니 머리가 무거웠다. [머리가 무겁다]
- 해외여행은 무슨. 여행이면 나도 좋겠지만 회사 일로 출장 가는 거야. [해외여행 (海外旅行)]
- 무슨 일로 법원에서 우리를 불러들이는 거지? [불러들이다]
- 이제 와서 없던 일로 하자니 저는 그렇게 못 합니다. [-자니]
- 지나간 과거는 되돌릴 수 없거늘 어찌하여 지나간 일로 괴로워하는가! [어찌하다]
- 살다 보면 더 어려운 일도 많을 텐데 고까짓 일로 슬퍼하면 되겠니? [고까짓]
- 어쩐 일로 지하철을 타고 왔어? [카센터 (▼carcenter)]
- 우리 결혼식 날짜가 내년 삼월 이십오 일로 잡혔다. [잡히다]
- 맨 뒤에 앉은 학생은 무슨 일로 수업 시간에 옆 사람에게 귓속말을 하는 건가? [귓속말]
- 다음 주에 회사 일로 출장을 가야 해요. [을]
- 요즘 들어서 어린 내 동생이 무슨 일로 고렇게 심통이 나 있는지 모르겠다. [고렇다]
- 이번 일로 인해 문제가 생긴다면 나는 그 일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지다]
- 병원엔 무슨 일로 가? [쓰러지다]
- 애써 만든 시간을 쓸데없는 일로 시간 낭비하고 싶지 않다. [만들다]
- 회장님께서 공사 현장에 다녀가신 일로 활동이 촉진되어 작업 속도가 빨라졌다. [촉진되다 (促進되다)]
- 나는 별것도 아닌 일로 친구와 싸운 것이 후회되었다. [와]
- 이번 일로 인해 회사에 물의를 빚게 되어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사과드리다 (謝過드리다)]
- 네가 이 일로 뭔가를 얻겠다는 목적성이 있으면 일하기가 좀 수월할 수 있을 텐데. [목적성 (目的性)]
- 의사 선생님! 병원에 안 계시고 이 먼 곳까지 무슨 일로 오셨어요? [왕진 (往診)]
-
ㅇㄹ (
여러
)
: 많은 수의.
☆☆☆
관형사
🌏 SEVERAL; MANY; A LOT OF: A large number of. -
ㅇㄹ (
여름
)
: 네 계절 중의 하나로 봄과 가을 사이의 더운 계절.
☆☆☆
명사
🌏 SUMMER: One of four seasons which is hot and comes between spring and fall. -
ㅇㄹ (
어른
)
: 다 자란 사람.
☆☆☆
명사
🌏 ADULT: A fully-grown person. -
ㅇㄹ (
올림
)
: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편지나 선물을 보낼 때 그것을 올린다는 뜻으로, 보내는 사람의 이름 다음에 쓰는 말.
☆☆☆
명사
🌏 SINCERELY YOURS; YOURS VERY TRULY: A term written next to the name of the sender as a sign of respect when he/she sends a letter or gift to someone older. -
ㅇㄹ (
요리
)
: 음식을 만듦.
☆☆☆
명사
🌏 COOKING: An act of making food. -
ㅇㄹ (
우리
)
: 말하는 사람이 자기와 듣는 사람 또는 이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
☆☆☆
대명사
🌏 WE: A pronoun used when the speaker refers to himself/herself and the listener or listeners, or a group of people including the speaker and listener or listeners. -
ㅇㄹ (
이름
)
: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동물, 사물, 현상 등에 붙여서 부르는 말.
☆☆☆
명사
🌏 NAME: A word used to refer to or address an animal, object, phenomenon, etc., to distinguish it from others. -
ㅇㄹ (
연락
)
: 어떤 사실을 전하여 알림.
☆☆☆
명사
🌏 COMMUNICATION: The act of delivering a fact. -
ㅇㄹ (
오래
)
: 긴 시간 동안.
☆☆☆
부사
🌏 LONG: For a long time. -
ㅇㄹ (
유리
)
: 투명하고 단단하며 잘 깨지는, 창문이나 거울 등에 사용되는 물질.
☆☆☆
명사
🌏 GLASS: The material used to make windows, mirrors, etc., that is transparent, hard, and easily broken. -
ㅇㄹ (
음료
)
: 물이나 물처럼 마시는 모든 액체.
☆☆☆
명사
🌏 DRINK; WATER; SODA: Water or all kinds of liquid that one can drink like water. -
ㅇㄹ (
아래
)
: 일정한 기준보다 낮은 위치.
☆☆☆
명사
🌏 BOTTOM; LOWER PART: A lower position than a certain standard. -
ㅇㄹ (
이런
)
: 상태, 모양, 성질 등이 이러한.
☆☆☆
관형사
🌏 THIS; SUCH; OF THIS KIND: A state, shape, nature, etc., being like this.
• 공공 기관 이용하기(우체국) (8) • 여행 (98) • 소개하기(가족 소개) (41) • 주말 및 휴가 (47) • 인간관계 (255) • 개인 정보 교환하기 (46) • 식문화 (104) • 직업과 진로 (130) • 예술 (76) • 한국 생활 (16) • 인사하기 (17) • 공공 기관 이용하기(도서관) (8) • 환경 문제 (81) • 영화 보기 (8) • 스포츠 (88) • 정치 (149) • 기후 (53) • 사회 문제 (226) • 교육 (151) • 사회 제도 (78) • 문제 해결하기(분실 및 고장) (28) • 공공기관 이용하기 (59) • 초대와 방문 (28) • 전화하기 (15) • 건축 (43) • 외양 (97) • 요일 표현하기 (13) • 경제·경영 (273) • 여가 생활 (48) • 가족 행사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