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 (技術)
☆☆ 명사
1. 과학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여 인간 생활에 쓸모가 있게 하는 수단.
1. TECHNOLOGY: A means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cientific theories to make them useful for human life.
-
가공 기술.
Processing technology. -
건축 기술.
Building technology. -
고등 기술.
Higher technology. -
공업 기술.
Industrial technology. -
제조 기술.
Manufacturing technique. -
최신 기술.
The latest technology. -
고도의 기술.
A high level of skill. -
고차원적 기술.
High-dimensional technology. -
독보적 기술.
Unrivaled technique. -
현대적 기술.
Modern technology. -
새로운 기술.
New technology. -
정교한 기술.
Sophisticated technology. -
진보한 기술.
Advanced technology. -
취약한 기술.
Vulnerable technology. -
기술 제휴.
Technical partnership. -
기술을 개발하다.
Develop technology. -
기술을 습득하다.
Acquire skill. -
기술을 이전하다.
Transfer technology. -
기술을 자부하다.
Be proud of one's skill. -
기술을 지도하다.
Coach a skill. -
기술을 향상하다.
Improve one's skill. -
기술을 혁신하다.
Innovate technology. -
그 회사는 반도체 제조에 있어 정상급 기술을 자랑한다.
The company boasts top-notch technology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
공장의 실습생들이 제품을 만드는 주요 기술을 배우고 있다.
Practitioners at the factory are learning the main skills of making products. -
이 회사는 최첨단 기술을 사용하여 신제품을 만들어 내었다.
The company used state-of-the-art technology to create new products. -
♔
김 선생님을 초청해서 이 분야에 대한 강의를 듣도록 합시다.
Let's invite mr. kim to take a course in this field.
♕ 좋은 생각입니다. 그분이라면 저희 직원들에게 전문적 기술을 가르쳐 주실 수 있을 겁니다.
That's a good idea. he could teach our staff professional skills. -
♔
이 기술은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제품의 질은 향상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입니다.
This is a breakthrough technology that can reduce costs while improving product quality.
♕ 오, 그래요? 우리 공장에도 얼른 이 기술을 도입해야겠어요.
Oh, really? we should quickly introduce this technology to our factory.
2. 사물을 잘 다루거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나 능력.
-
공사 기술.
Construction techniques. -
농경 기술.
Agricultural technology. -
운전 기술.
Driving skills. -
재배 기술.
Cultivation techniques. -
다루는 기술.
Skill of handling. -
숙련된 기술.
Skilled skills. -
기술이 뛰어나다.
Excellent in skill. -
기술이 부족하다.
Lack of technology. -
기술이 있다.
There is a skill. -
기술을 부리다.
Use skill. -
기술을 쌓다.
Build technology. -
기술을 연마하다.
Polish one's skill. -
그 장인의 가구 만드는 기술은 아마 전국에서 최고일 것이다.
The craftsman's craftsmanship is perhaps the best in the country. -
유능한 도예가가 도자기를 잘 굽는 기술을 제자에게 전수하였다.
A competent potter passed on the art of baking pottery to his disciples. -
♔
어떻게 단번에 차를 고치죠? 기술이 정말 좋으시네요.
How do you fix a car at once? you have a great skill.
♕ 별말씀을요. 제가 십 년 동안 차만 고친 정비공인데 이 정도는 금방 고치지요.
Don't mention it. i'm a mechanic who's been fixing cars for 10 years, and i can fix this quickly.
유의어
노하우(knowhow): 산업에서 기술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 어떤 일을 …
유의어
비결(祕訣):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자기만의 뛰어난 방법.
유의어
비법(祕法): 남에게 알려지지 않은 특별한 방법.
🗣️ 발음, 활용: • 기술 (
기술
)
📚 파생어: • 기술적(技術的): 기술에 관계가 있거나 기술에 의한., 어떤 일을 요령 있거나 솜씨 있게… • 기술적(技術的): 기술에 관계가 있거나 기술에 의한 것., 어떤 일을 요령 있거나 솜씨 …
📚 분류: 직업과 진로
🗣️ 기술 (技術) @ 뜻풀이
- 발달 (發達) : 학문, 기술, 문명, 사회 등의 현상이 보다 높은 수준에 이름.
- 기사 (技士) : 국가나 단체가 인정한 기술 자격증을 가진 기술자.
- 학력 (學力) : 교육을 통해 얻은 지식이나 기술 등의 능력.
- 도입되다 (導入되다) : 기술, 물자, 이론 등이 들어오다.
- 소화되다 (消化되다) : (비유적으로) 배운 지식이나 기술 등이 제대로 이해되어 자기 것으로 만들어지다.
- 교육하다 (敎育하다) : 개인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 지식, 교양, 기술 등을 가르치다.
- 교습 (敎習) : 지식이나 기술 등을 가르쳐 익히게 함.
- 학원 (學院) : 학생을 모집하여 지식, 기술, 예체능 등을 가르치는 사립 교육 기관.
- 전당 (殿堂) : (비유적으로) 학문, 예술, 과학, 기술, 교육, 문화 등의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거나 중심이 되는 연구 기관.
- 권위 (權威) : 어떤 분야에서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을 만한 지식, 기술 또는 실력.
- 던지기 : 씨름에서, 상대편을 들어 올려 앞으로 던지는 기술.
- 교습소 (敎習所) : 지식이나 기술 등을 가르쳐 익히게 하는 곳.
- 시조 (始祖) : 학문, 기술 등을 처음으로 고안한 사람.
- 백중하다 (伯仲하다) : 낫고 모자람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재주나 실력, 기술 등이 서로 비슷하다.
- 경제 발전 (經濟發展) : 자본과 기술, 산업 구조 등 경제 사회의 전반적인 요소가 성장하면서 생산력이 늘어나는 현상.
- 항해술 (航海術) : 배를 운항하는 기술.
- 가정학 (家政學) : 가정생활에 관한 지식과 기술 등을 연구하는 학문.
- 경기 (競技) : 운동이나 기술 등의 능력을 서로 겨룸.
- 수출용 (輸出用) : 외국에 파는 것을 목적으로 한 상품이나 기술.
- 화술 (話術) : 말을 잘하는 재주나 기술.
- 학술지 (學術誌) : 학문, 기술, 예술 분야에 관한 전문적인 글을 싣는 잡지.
- 강습소 (講習所) : 일정한 기간 동안 어떤 지식이나 기술 등을 배우고 익히도록 가르치는 곳.
- 학술 (學術) : 학문과 기술.
- 수입하다 (輸入하다) : 외국의 상품이나 기술 등을 국내로 사들이다.
- 무장되다 (武裝되다) : (비유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 데에 필요한 마음, 사상, 기술, 장비 등이 단단히 갖추어지다.
- 소화하다 (消化하다) : (비유적으로) 배운 지식이나 기술 등을 제대로 이해해서 자기 것으로 만들다.
- 막노동꾼 (막勞動꾼) : (낮잡아 이르는 말로) 특별한 기술 없이 육체노동을 하는 사람.
- 막노동하다 (막勞動하다) : 특별한 기술 없이 힘을 써서 일을 하다.
- 낙후하다 (落後하다) : 기술, 문화, 생활 등이 일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뒤떨어지다.
- 연마되다 (硏磨/練磨/鍊磨되다) : 몸, 마음, 지식, 기술 등이 힘써 다스려지거나 익혀지다.
- 곡예 (曲藝) : 줄타기, 재주넘기, 마술 등과 같이 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놀라운 재주와 기술.
- 요술 (妖術) : 초자연적인 능력으로, 또는 사람의 눈을 속여 놀라운 일을 행함. 또는 그런 기술.
- 무장 (武裝) : (비유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 데에 필요한 마음, 사상, 기술, 장비 등을 단단히 갖춤.
- 연마하다 (硏磨/練磨/鍊磨하다) : 몸, 마음, 지식, 기술 등을 힘써 다스리거나 익히다.
- 개인기 (個人技) : 주로 단체 경기를 하는 운동에서 선수 한 사람이 가진 특별한 기술.
- 아마추어 (amateur) : 예술, 운동, 기술 등을 직업이나 전문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취미로 즐기며 하는 사람.
- 무술 (武術) : 몸을 움직이거나 무기를 사용하여 상대를 공격하거나 상대의 공격을 막는 기술.
- 강습 (講習) : 일정한 기간 동안 어떤 지식이나 기술 등을 배우고 익히도록 가르침.
- 손 : 일을 하는 데 드는 사람의 힘이나 노력, 기술.
- 마술 (魔術) : 빠른 손놀림이나 장치 등을 사용하여 사람의 눈을 교묘하게 속여 사람들을 즐겁게 해 주는 기술.
- 막일꾼 : 특별한 기술 없이 힘을 써서 이것저것 닥치는 대로 일을 하는 사람.
- 원숙기 (圓熟期) : 일이나 기술 등이 충분히 익숙해진 때.
- 기술직 (技術職) : 기술 분야의 직업이나 일.
- 약하다 (弱하다) : 능력이나 지식, 기술 등이 모자라거나 낮다.
- 검술 (劍術) : 검을 쓰는 기술.
- 실기 (實技) : 이론이 아닌 실제로 하는 기능이나 기술.
- 마법 (魔法) : 초자연적인 능력으로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신기한 일을 하는 기술.
- 주술 (呪術) : 불행을 막거나 원하는 일을 이루기 위해 주문을 외거나 신비한 기술을 부리는 일. 또는 그 기술.
- 연마 (硏磨/練磨/鍊磨) : 몸, 마음, 지식, 기술 등을 힘써 다스리거나 익힘.
- 의술 (醫術) : 병이나 상처를 고치는 기술. 또는 의학에 관련되는 기술.
- 되치기 : 씨름이나 유도 등의 경기에서 상대편의 공격해 오는 그 힘을 받아 치는 공격 기술.
- 경기하다 (競技하다) : 운동이나 기술 등의 능력을 서로 겨루다.
- 배움터 : 지식이나 기술 등을 배우는 곳.
- 도입 (導入) : 지식, 기술, 물자 등을 들여옴.
- 가르치다 : 지식이나 기술 등을 설명해서 익히게 하다.
- 향상되다 (向上되다) : 실력, 수준, 기술 등이 더 나아지다.
- 경지 (境地) : 몸이나 마음, 기술 등이 일정 수준 이상의 단계에 도달해 있는 상태.
- 앞 차기 : 태권도에서, 무릎을 높이 올려 앞으로 발을 차는 기술.
- 교습하다 (敎習하다) : 지식이나 기술 등을 가르쳐 익히게 하다.
- 수련원 (修鍊院) : 인격, 기술, 학문 등을 열심히 배우고 익히면서 몸과 마음을 단련하는 곳.
- 백중 (伯仲) : 낫고 모자람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재주나 실력, 기술 등이 서로 비슷함.
- 완숙하다 (完熟하다) : 재주나 기술 등이 매우 뛰어나고 익숙하다.
- 습득되다 (習得되다) : 학문이나 기술 등이 익혀져 자기 것이 되다.
- 두각 (頭角) : 뛰어난 재주나 기술, 지식.
- 향상 (向上) : 실력, 수준, 기술 등이 더 나아짐. 또는 나아지게 함.
- 전인 교육 (全人敎育) : 지식이나 기술 등의 교육에만 치우치지 않고 인간이 지닌 모든 소질과 성품을 조화롭게 발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 난이도 (難易度) : 공부, 시험 문제, 운동, 기술 등의 어렵고 쉬운 정도.
- 점성술 (占星術) : 별의 자리나 모양 등을 보고 점을 치는 기술.
- 경연장 (競演場) : 여럿이 모여 예술이나 기술 등의 실력을 겨루는 장소.
- 막노동자 (막勞動者) : 특별한 기술 없이 공사장 등에서 육체노동을 하는 사람.
- 수입 (輸入) : 외국의 상품이나 기술 등을 국내로 사들임.
- 습득 (習得) : 학문이나 기술 등을 배워서 자기 것으로 만듦.
- 달리다 : 돈이나 기술, 힘, 재주 등이 모자라다.
- 소화시키다 (消化시키다) : (비유적으로) 배운 지식이나 기술 등을 제대로 이해해서 자기 것으로 만들다.
- 통달하다 (通達하다) : 사물의 이치나 지식, 기술 등을 매우 잘 알거나 능숙하게 잘하다.
- 손재간 (손才幹) : 손으로 무엇을 만들거나 다루는 능력과 기술.
- 예술 (藝術) : 학문과 기술.
- 의과 (醫科) : 대학에서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방법이나 이론, 기술 등을 연구하는 학과.
- 강의하다 (講義하다) : 대학이나 학원, 기관 등에서 지식이나 기술 등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다.
- 신기 (神技) : 매우 뛰어난 기술.
- 도자기 공예 (陶瓷器工藝) : 도자기를 만드는 기술. 또는 그 기술로 만든 물품.
- 들어오다 : 사상, 문화, 기술 등이 외부로부터 안으로 전해지다.
- 낙후되다 (落後되다) : 기술, 문화, 생활 등이 일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뒤떨어지게 되다.
- 비전문가 (非專門家) : 일정한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 경험 등을 갖추지 못한 사람.
- 낙후성 (落後性) : 기술, 문화, 생활 등이 뒤떨어진 상태.
- 습득하다 (習得하다) : 학문이나 기술 등을 배워서 자기 것으로 만들다.
- 엔지니어링 (engineering) : 공업의 이론과 기술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 -술 (術) : ‘기술’ 또는 ‘재주’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소화 (消化) : (비유적으로) 배운 지식이나 기술 등을 제대로 이해해서 자기 것으로 만듦.
- 리바운드 (rebound) : 농구 경기에서 던진 공이 골인되지 않고 다시 튀어 나오는 것. 또는 그런 공을 잡아내는 기술.
- 수련 (修鍊/修練) : 인격, 기술, 학문 등을 열심히 배우고 익힘.
- 완숙 (完熟) : 재주나 기술 등이 매우 뛰어나고 익숙함.
- 공학 (工學) : 전자, 전기, 기계, 항공, 토목, 컴퓨터 등 공업의 이론과 기술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 조예 (造詣) : 학문이나 예술, 기술 등의 분야에 대해 가지고 있는 많은 경험이나 깊은 지식.
- 점술 (占術) : 미래의 일이나 운명을 판단하고 예언하는 기술.
- 옆 차기 : 태권도에서, 다리를 옆으로 뻗어 곧게 차는 발 기술.
- 향상하다 (向上하다) : 실력, 수준, 기술 등이 더 나아지다. 또는 나아지게 하다.
- 무장시키다 (武裝시키다) : (비유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 데에 필요한 마음, 사상, 기술, 장비 등을 단단히 갖추게 하다.
- 명수 (名手) : 어떤 기능이나 기술 등에서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
- 손재주 : 손으로 무엇을 만들거나 다루는 능력과 기술.
🗣️ 기술 (技術) @ 용례
- 그 회사는 새로운 기술 개발과 뛰어난 홍보로 국내 시장을 손아귀에 넣었다. [손아귀에 넣다]
- 우리와 경쟁 중인 기업에서 신기술을 손아귀에 넣었다는군. [손아귀에 넣다]
- 광 통신 기술. [광 통신 (光通信)]
- 기술 챔피언. [챔피언 (champion)]
- 기계를 다루는 솜씨가 뛰어난 민준이는 대회에서도 그 실력을 인정받아 기술 챔피언에 올랐다. [챔피언 (champion)]
- 우주 산업은 인류의 찬란한 기술 문명의 정화라고 할 만하다. [정화 (精華/菁華)]
- 태클 기술. [태클 (tackle)]
- 수비수들은 태클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조 인형을 세워 연습을 하였다. [태클 (tackle)]
- 태클 기술. [태클 (tackle)]
- 화장 기술. [화장 (化粧)]
- 상형 기술. [상형 (象形)]
- 건조 기술. [건조 (建造)]
- 정상급 기술. [정상급 (頂上級)]
- 이 학교는 농사 기술, 과학 기술과 공동체 정신 등을 바탕으로 한 전인 교육을 시행했다. [전인 교육 (全人敎育)]
- 스핀 기술. [스핀 (spin)]
- 김 선수는 피겨 스케이팅 경기에서 고난도의 스핀 기술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스핀 (spin)]
- 집약된 기술. [집약되다 (集約되다)]
- 정착된 기술. [정착되다 (定着되다)]
- 새로 도입된 기술은 여러 공장에 정착되는 속도가 매우 빨랐다. [정착되다 (定着되다)]
- 기술 양성소. [양성소 (養成所)]
- 이 대학원은 과학 기술계에서 우수한 고급 인력의 양성소로 유명하다. [양성소 (養成所)]
- 우리 기술 양성소에서는 단기간에 취업을 위한 전문 기술을 배울 수 있다. [양성소 (養成所)]
- 기술 혁명. [혁명 (革命)]
- 농촌에 기술 혁명이 일어난 뒤 수확량이 크게 증가했다. [혁명 (革命)]
- 세부 기술. [세부 (細部)]
- 기술 이전. [이전 (移轉)]
- 우리 회사는 미국과 기술 이전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전 (移轉)]
-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상품을 출시하기 위해서는 연구소와 기업 간의 기술 협력 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구축되다 (構築되다)]
- 세라믹 기술. [세라믹 (ceramics)]
- 지능화되는 기술. [지능화되다 (知能化되다)]
- 유전 공학 기술. [유전 공학 (遺傳工學)]
- 그런 게 바로 유전 공학의 기술입니다. [유전 공학 (遺傳工學)]
- 농업 기술. [농업 (農業)]
- 농업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류는 식량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농업 (農業)]
- 최신 기술. [최신 (最新)]
- 안다리 기술. [안다리]
- 시합이 시작되자 최 선수는 현란한 안다리 기술로 기선을 제압했다. [안다리]
- 유도 기술 중에 안다리 후리기 등의 기술은 씨름에도 존재하는 기술이다. [안다리]
- 기술 덕. [덕 (德)]
- 우리 회사의 기술 수준은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어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걸음마]
- 기술 합작. [합작 (合作)]
- 친환경 기술. [친환경 (親環境)]
- 발파 기술. [발파 (發破)]
- 두 회사는 인적 교류를 통해 기술 협력을 하기로 결정했다. [인적 (人的)]
- 소고의 기술. [소고 (小考)]
- 김 교수는 자신의 문학 세계관에 대한 소고를 자유롭게 기술하였다. [소고 (小考)]
- 기술 이입. [이입 (移入)]
- 인쇄 기술. [인쇄 (印刷)]
- 인쇄 기술의 발달로 책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인쇄 (印刷)]
- 알짜배기 기술. [알짜배기]
- 하드웨어 기술. [하드웨어 (hardware)]
- 고난도 기술. [고난도 (高難度)]
- 그는 연속 점프의 고난도 기술로 경쟁 선수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고난도 (高難度)]
- 이 기업은 보다 빠른 제품의 공정을 위해 기술 혁신을 시도하였다. [혁신 (革新)]
- 기술 투자를 확대하고 새 제품 개발에 힘을 쏟도록 하세요. [혁신 (革新)]
- 기술 미숙. [미숙 (未熟)]
- 요즘 들어 우리 회사 제품의 불량률이 높은 것은, 작업자들의 기술 미숙과 낡은 시설이 원인이다. [미숙 (未熟)]
- 제도 기술. [제도 (製圖)]
- 대량 생산 기술. [대량 생산 (大量生産)]
- 회의를 거듭한 끝에 두 회사는 기술 협력을 하기로 합치를 보았다. [합치 (合致)]
- 삼촌은 풍부한 원료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에 엔지니어링 회사를 차렸다. [엔지니어링 (engineering)]
- 네, 특히 기술 인력의 양성을 큰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engineering)]
- 김 사장은 한 신문사와의 인터뷰에서 새로운 기술 개발이 회사 성공의 요인이라고 말했다. [요인 (要因)]
- 실용적인 기술. [실용적 (實用的)]
- 근대적인 기술. [근대적 (近代的)]
- 우리나라 기술보다 발전한 근대적인 기술을 배워 오기 위해서였지. [근대적 (近代的)]
- 기술 표절로 걸린 회사의 소송을 고문 변호사가 해결했다. [고문 (顧問)]
- 앞 차기 기술. [앞 차기]
- 기술 용어. [용어 (用語)]
- 담담한 기술. [담담하다 (淡淡하다)]
- 기술 연구원. [연구원 (硏究員)]
- 재테크 기술. [재테크 (財tech)]
- 유명한 과학자들이 함께 과학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기술 개발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위원회 (委員會)]
- 집적한 기술. [집적하다 (集積하다)]
- 수공예 기술. [수공예 (手工藝)]
- 방적 기술. [방적 (紡績)]
- 기술 교류. [교류 (交流)]
- 이웃한 두 나라는 문화와 기술 등의 교류를 활발히 하고 있다. [교류 (交流)]
- 해외 기업과 적극적으로 기술 교류를 한 덕분입니다. [교류 (交流)]
- 외국의 기술을 무조건 흡수하기보다는 우리만의 독창적인 기술 개발이 더 중요하다. [흡수하다 (吸收하다)]
- 숙련된 기술. [숙련되다 (熟鍊/熟練되다)]
- 기술 향상. [향상 (向上)]
- 이제는 기술 향상 덕분에 먼 나라까지도 금방 갈 수 있잖아. [향상 (向上)]
- 녹색 기술. [녹색 (綠色)]
- 회사는 기술 개발을 위한 하부 기관으로 연구소를 설립했다. [하부 (下部)]
- 닭싸움 기술. [닭싸움]
- 우리 나라는 기술 개발에 힘쓴 결과 점차 기술력이 느는 추세에 있다. [늘다]
- 연동 기술. [연동 (連動/聯動)]
- 근대적 기술. [근대적 (近代的)]
- 우리나라에는 없던 근대적 기술을 배워 오기 위해서였지. [근대적 (近代的)]
- 일류 기술. [일류 (一流)]
- 일류 기술자. [일류 (一流)]
- 원반던지기 기술. [원반던지기 (圓盤던지기)]
- 수출된 기술. [수출되다 (輸出되다)]
- 네, 우리 연구소에서 개발한 신기술이 중국 시장으로 수출되었거든요. [수출되다 (輸出되다)]
- 기술 도입. [도입 (導入)]
- 신기술 도입. [도입 (導入)]
- 우리나라 회사가 세계 최고의 선박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도입 (導入)]
- 응. 그래서 세계 여러 회사들이 우리나라 회사의 기술 도입을 시도하고 있대. [도입 (導入)]
- 원숙기의 기술. [원숙기 (圓熟期)]
- 경작 기술. [경작 (耕作)]
- 조판 기술. [조판 (組版)]
- 신흥 벤처 기업들을 위한 과학 기술 제전이 시작된다더라. [제전 (祭典)]
- 컴퓨터를 만지는 기술. [만지다]
- 기술 개발 연구가 어디까지 진행되었나요? [공식화 (公式化)]
- 전승된 기술. [전승되다 (傳承되다)]
- 탈을 만드는 인간문화재의 기술이 제자에 의해 다음 세대로 전승되었다. [전승되다 (傳承되다)]
- 노련한 기술. [노련하다 (老鍊하다)]
- 되치기 기술. [되치기]
- 나는 방심하고 공격을 하는 바람에 되치기 기술이 들어올 것은 생각하지 못했다. [되치기]
- 망라된 기술. [망라되다 (網羅되다)]
- 로켓은 현대의 과학 기술이 모두 망라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망라되다 (網羅되다)]
- 기마 기술. [기마 (騎馬)]
- 오용된 기술. [오용되다 (誤用되다)]
- 오용된 과학 기술은 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넣기도 한다. [오용되다 (誤用되다)]
- 기술 강국. [강국 (強國)]
- 기술 탈취. [탈취 (奪取)]
- 우리 신기술을 경쟁 회사에서 훔쳤다고요? [탈취 (奪取)]
- 암호화 기술. [암호화 (暗號化)]
- 태양열 발전 기술. [태양열 발전 (太陽熱發電)]
- 국산화한 기술. [국산화하다 (國産化하다)]
- 목공 기술. [목공 (木工)]
- 풍력 발전 기술. [풍력 발전 (風力發電)]
- 컴퓨터 기술. [컴퓨터 (computer)]
- 갈고닦은 기술. [갈고닦다]
- 기술을 갈고닦다. [갈고닦다]
- 반도체 기술이 발달한 한국은 과학 기술 분야에서 국제 시장의 주도권을 쥐고 있다. [국제 시장 (國際市場)]
- 제지 기술. [제지 (製紙)]
- 기술력 제고. [제고 (提高)]
- 우리 부서는 사원들의 기술 능력의 제고를 위해 오늘부터 교육을 시작하였다. [제고 (提高)]
- 통역 기술. [통역 (通譯)]
- 이 새로운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실용 기술은 아직 미개지다. [미개지 (未開地)]
- 휴대폰 사업의 미개지였던 한국은 불과 이십 년만에 세계적인 통신 기술 국가가 되었다. [미개지 (未開地)]
- 우리는 새로운 의학 기술 개발에 헌신하는 연구자와 우수한 의학자를 발굴해 지원할 계획이다. [의학자 (醫學者)]
- 실용적 기술. [실용적 (實用的)]
- 실용적 기술의 발전으로 생활은 날로 편리해지고 있다. [실용적 (實用的)]
- 한국의 배를 만드는 조선업의 기술 수준은 어떤가요? [조선업 (造船業)]
- 복원 기술. [복원 (復元/復原)]
- 역사적 가치가 큰 문화재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원래의 모양을 해치지 않는 것이 복원 기술의 핵심이다. [복원 (復元/復原)]
- 기술 전문 고등학교는 재적생의 절반 이상이 졸업 후 취업을 한다. [재적생 (在籍生)]
-
ㄱㅅ (
간식
)
: 식사와 식사 사이에 간단히 먹는 음식.
☆☆☆
명사
🌏 SNACK: Food that one eats between meals. -
ㄱㅅ (
갈색
)
: 마른 나뭇잎처럼 거무스름한 누런 색.
☆☆☆
명사
🌏 BROWN: The color of a fallen leaf, similar to dark yellow. -
ㄱㅅ (
관심
)
: 어떤 것을 향하여 끌리는 감정과 생각.
☆☆☆
명사
🌏 INTEREST; ATTENTION: A feeling of attraction towards or positive thoughts about something. -
ㄱㅅ (
가수
)
: 노래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명사
🌏 SINGER: A person whose job it is to sing. -
ㄱㅅ (
가슴
)
: 인간이나 동물의 목과 배 사이에 있는 몸의 앞 부분.
☆☆☆
명사
🌏 CHEST: The front part of a human or animal's body, between the neck and the abdomen. -
ㄱㅅ (
계속
)
: 끊이지 않고 이어 나감.
☆☆☆
명사
🌏 CONTINUANCE; SUCCESSION: The act of going on without interruption. -
ㄱㅅ (
거실
)
: 서양식 집에서, 가족이 모여서 생활하거나 손님을 맞는 중심 공간.
☆☆☆
명사
🌏 LIVING ROOM: The central room in a western house, where family members spend time together or talk with visitors. -
ㄱㅅ (
계산
)
: 수를 세거나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등의 셈을 함.
☆☆☆
명사
🌏 CALCULATION: The act of counting numbers or making calculations, including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division, etc. -
ㄱㅅ (
구십
)
: 십의 아홉 배가 되는 수.
☆☆☆
수사
🌏 NINETY: The number that is the product of nine times ten. -
ㄱㅅ (
감사
)
: 고맙게 여김. 또는 그런 마음.
☆☆☆
명사
🌏 GRATITUDE; APPRECIATION; THANKS: An act of feeling thankful for something, or such a mind. -
ㄱㅅ (
검사
)
: 어떤 일이나 대상을 조사하여 옳고 그름이나 좋고 나쁨을 알아냄.
☆☆☆
명사
🌏 EXAMINATION; INSPECTION: Reviewing a certain incident or object to decide whether it is right or wrong, or good or bad. -
ㄱㅅ (
계속
)
: 끊이지 않고 잇따라.
☆☆☆
부사
🌏 CONTINUOUSLY; SUCCESSIVELY: Continually without interruption. -
ㄱㅅ (
교수
)
: 학생을 가르침.
☆☆☆
명사
🌏 TEACHING; INSTRUCTION: An act of teaching students. -
ㄱㅅ (
교실
)
: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교사가 학생들을 가르치는 방.
☆☆☆
명사
🌏 CLASSROOM: In a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a room where a teacher teaches students. -
ㄱㅅ (
결석
)
: 학교나 회의 등 공식적인 자리에 나오지 않음.
☆☆☆
명사
🌏 ABSENCE: Not attending official gatherings, such as school or meetings. -
ㄱㅅ (
교사
)
: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에서 자격을 갖추고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
☆☆☆
명사
🌏 TEACHER: A person with teaching qualifications who teaches students in a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etc. -
ㄱㅅ (
구십
)
: 아흔의.
☆☆☆
관형사
🌏 NINETY: Being the number ninety. -
ㄱㅅ (
국수
)
: 밀, 메밀, 감자 등의 가루를 반죽하여 칼이나 기계, 손으로 가늘고 길게 만든 식품. 또는 그것을 삶아서 만든 음식.
☆☆☆
명사
🌏 NOODLE: Food made by kneading wheat flour, buckwheat, potatoes, etc. and cutting the dough into long thin strips with a knife, machine, or by hand, or a dish made by boiling this. -
ㄱㅅ (
결심
)
: 어떻게 하기로 굳게 마음을 정함. 또는 그런 마음.
☆☆☆
명사
🌏 DECISION; RESOLUTION; DETERMINATION: Making up one's mind about something or this mindset.
• 공공 기관 이용하기(우체국) (8) • 건강 (155) • 날짜 표현하기 (59) • 소개하기(자기소개) (52) • 인사하기 (17) • 문화 차이 (52) • 학교생활 (208) • 외모 표현하기 (105) • 건축 (43) • 취미 (103) • 컴퓨터와 인터넷 (43) • 물건 사기 (99) • 심리 (365) • 역사 (92) • 언어 (160) • 법 (42) • 여가 생활 (48) • 정치 (149) • 인간관계 (255) • 대중 문화 (82) • 성격 표현하기 (110) • 병원 이용하기 (10) • 경제·경영 (273) • 연애와 결혼 (28) • 요리 설명하기 (119) • 감사하기 (8) • 한국 생활 (16) • 사과하기 (7) • 직장 생활 (197) • 한국의 문학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