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사 (弔詞/弔辭)
명사
1. 죽은 사람을 슬퍼하고 생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글이나 말.
1. EULOGY: A piece of writing or speech aimed at mourning the deceased and commemorating their life achievements.
-
장례식 조사.
Funeral investigation. -
조사를 낭독하다.
Read the survey. -
조사를 쓰다.
Write a survey. -
조사를 읽다.
Read the survey. -
조사를 짓다.
Build an investigation. -
장례식장에서 아들이 직접 쓴 조사를 낭독했다.
Read out the survey written by the son himself at the funeral. -
친구의 장례식장에서 애도의 조사를 읽던 승규는 눈물이 흘렀다.
Seung-gyu, who was reading the mourning inquiry at his friend's funeral, shed tears. -
♔
어제 전 대통령이 돌아가셨어.
The former president passed away yesterday.
♕ 나도 오늘 신문에서 고인을 추념하기 위한 조사를 봤어.
I also saw an investigation in today's paper to honor the deceased.
참고어
축사(祝辭): 축하하기 위해 글을 쓰거나 말을 함. 또는 그 글이나 말.
🗣️ 발음, 활용: • 조사 (
조ː사
)
🗣️ 조사 (弔詞/弔辭) @ 뜻풀이
- 원정 (遠征) : 먼 곳으로 연구, 조사, 탐험 등을 하기 위해 떠남.
- 이란 : 어떤 대상으로 특별히 지정하여 화제로 삼아 설명하거나 강조함을 나타내는 조사.
- 에서부터 : 앞의 말이 어떤 범위의 시작 지점이거나 어떤 행동의 출발점, 비롯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 이라든가 : 말하는 사람이 말을 하면서 어떤 것이라도 상관이 없는 대상을 예를 들어 열거할 때 사용하는 조사.
- 니 : 둘 이상의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나열할 때 쓰는 조사.
- 에설랑 : 앞말이 어떤 장소나 자리임을 강조하여 나타내는 조사.
- 을 : 동작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대상을 나타내는 조사.
- 라고 : 앞의 말이 원래 말해진 그대로 인용됨을 나타내는 조사.
- 깨나 : '보통 이상'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
- 관형격 조사 (冠形格助詞) : 문장 안에서 앞에 오는 체언이 뒤에 오는 체언을 꾸며 주는 구실을 하게 하는 조사.
- 하고 : 비교의 대상이거나 기준으로 삼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 출두시키다 (出頭시키다) : 조사 등을 받게 하기 위해 경찰서나 법원 등에 직접 나가게 하다.
- 원정대 (遠征隊) : 먼 곳으로 운동 경기나 연구, 탐험, 조사 등을 하러 가는 무리.
- 이야 : 강조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
- 커녕 : 뒤의 말과 비교하여 앞의 말을 강조하여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 로서 : 어떤 지위나 신분, 자격을 나타내는 조사.
- 로 : 움직임의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
- 며 : 잇달아 쓰인 둘 이상의 비슷한 사물을 이어 주는 조사.
- 부사격 조사 (副詞格助詞) : 문장 안에서, 체언이 서술어에 대하여 장소, 도구, 자격, 원인, 시간 등과 같은 부사로서의 자격을 가지게 하는 조사.
- 이며 : 잇달아 쓰인 둘 이상의 비슷한 사물을 이어 주는 조사.
- 일랑은 : 어떤 대상을 특별히 강조하여 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 한테다 : 어떤 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대상임을 강조하여 나타낼 때 쓰는 조사.
- 으로까지 : 최선 또는 최악의 상황과 같이 극단적인 상황에 이르게 됨을 나타내는 조사.
- 하고는 : 못마땅하게 생각하여 지적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 라야만 : 앞의 내용이 뒤에 오는 말에 대한 필수적인 조건임을 나타내는 조사.
- 격 조사 (格助詞) : 명사나 명사구 뒤에 붙어 그 말이 서술어에 대하여 가지는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
- 나 :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선택함을 나타내는 조사.
- 만치 : 앞의 말과 정도가 서로 비슷하거나 같음을 나타내는 조사.
- ㄹ랑은 : 어떤 대상을 특별히 강조하여 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 한테다가 : 어떤 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대상임을 강조하여 나타낼 때 쓰는 조사.
- 라야 : 어떤 일의 조건으로 그것만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조사.
- 만 : 앞의 내용을 인정하면서도 그 내용에 대한 의문이나 그와 어긋나는 상황 등을 말할 때 쓰는 조사.
- 네 : ‘너’에 조사 ‘가’가 붙을 때의 형태.
- 이라도 : 그것이 최선은 아니나 여럿 중에서는 그런대로 괜찮음을 나타내는 조사.
- 한테 : 어떤 물건의 소속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조사.
- 이다 : 주어가 지시하는 대상의 속성이나 부류를 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 이라든지 :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상관없는 대상을 예를 들거나 열거함을 나타내는 조사.
- 만 : 다른 것은 제외하고 어느 것을 한정함을 나타내는 조사.
- 라 : 앞의 말이 원래 말해진 그대로 인용됨을 나타내는 조사.
- 이나 :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선택함을 나타내는 조사.
- 라도 : 그것이 최선은 아니나 여럿 중에서는 그런대로 괜찮음을 나타내는 조사.
- 여 : 주로 감탄이나 호소의 뜻을 담아 무엇을 정중하게 부름을 나타내는 조사.
- 서 : 그 수를 강조하며 앞의 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 조사.
- ㄴ들 : 어떤 조건을 인정한다고 하여도 그 결과로서 기대되는 내용이 부정적임을 나타내는 조사.
- 에는 : 앞의 말이 나타내는 장소나 시간을 강조하거나 대조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 이나마 : 썩 마음에 들지 않거나 부족한 조건이지만 아쉬운 대로 인정함을 나타내는 조사.
- 는 : 어떤 대상이 다른 것과 대조됨을 나타내는 조사.
- 란 : 어떤 대상으로 특별히 지정하여 화제로 삼아 설명하거나 강조함을 나타내는 조사.
- 를 : 동작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대상을 나타내는 조사.
- 과 : 비교의 대상이거나 기준으로 삼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 에를 : 앞의 말이 어떤 행위의 목적지나 도달점임을 나타내는 조사.
- 로써 : 어떤 물건의 재료나 원료를 나타내는 조사.
- 주격 조사 (主格助詞) : 문장에서 서술어에 대한 주어의 자격을 표시하는 조사.
- 다가 : 앞에 오는 말의 의미를 더 뚜렷하게 할 때 쓰는 조사.
- 에 : 앞말이 어떤 장소나 자리임을 나타내는 조사.
- 출두하다 (出頭하다) : 조사 등을 받기 위해 경찰서나 법원 등에 직접 나가다.
- 마다 : 하나하나 빠짐없이 모두의 뜻을 나타내거나 각 상황이 되풀이됨을 나타내는 조사.
- 든가 :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는 조사.
- 라고 : 앞의 말이 마음에 들지 않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 게서 : 어떤 행동이 시작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 요 : 높임의 대상인 상대방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
- 을랑 : 어떤 대상을 특별히 정하여 가리킴을 나타내는 조사.
- 도 : 이미 있는 어떤 것에 다른 것을 더하거나 포함함을 나타내는 조사.
- 께 : (높임말로) 에게. 어떤 물건의 소속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조사.
- 이다 : 여러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면서 나열함을 나타내는 조사.
- 게로 : 어떤 행동의 영향을 받는 대상을 나타내는 조사.
- 이야말로 : 강조하여 확인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 항공 사진 (航空寫眞) : 지도를 만들거나 지질 조사 등에 이용하기 위해 항공기에서 지상의 모습을 찍은 사진.
- 같이 : 앞의 말과 특성이 서로 비슷함을 나타내는 조사.
- 이니 : 둘 이상의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나열할 때 쓰는 조사.
- 으로서 : 어떤 지위나 신분, 자격을 나타내는 조사.
- 에게로 : 어떤 행동이 미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 까지 : 어떤 범위의 끝임을 나타내는 조사.
- 들 : 그 문장의 주어가 여럿임을 나타내는 조사.
- 거나 : 어느 것을 선택해도 차이가 없는 둘 이상의 일을 나열할 때 쓰는 조사.
- 이라 : 원래 말을 그대로 전할 때 쓰는 조사.
- 시여 : 정중하게 높여 부르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 이랑 : 비교의 대상이거나 기준으로 삼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 든 :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는 조사.
- 보조사 (補助詞) : 체언, 부사, 활용 어미 등에 붙어서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
- 에로 : 어떤 행위가 미치는 대상에 방향성을 더하는 조사.
- 으로부터 : 어떤 행동이나 사건의 출발점이 되거나 그것이 비롯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 대로 : 앞의 말이 가리키는 바를 따르거나 그와 같이 함을 나타내는 조사.
- 엔 : 앞의 말이 나타내는 내용이 뒤에 오는 내용보다 마음에 차지 않기 때문에 뒤의 내용을 선택함을 강조하여 나타내는 조사.
- 치고는 : 앞의 명사에 대해 보통 가지고 있는 생각과는 달리 그 상태가 제법이거나 상당한 경우를 나타내는 조사.
- 내 : ‘나’에 조사 ‘가’가 붙을 때의 형태.
- 로부터 : 어떤 행동이나 사건의 출발점이 되거나 그것이 비롯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 엘 : 앞의 말이 어떤 행위의 목적지나 도달점임을 나타내는 조사.
- 에다가 : 일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조사.
- 면 : 둘 이상의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조사.
- 치고서 : 앞의 말이 예외가 없이 뒤의 내용과 같음을 강조하여 나타낼 때 쓰는 조사.
- 으로써 : 어떤 물건의 재료나 원료를 나타내는 조사.
- 야말로 : 강조하여 확인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 이여 : 주로 감탄이나 호소의 뜻을 담아 무엇을 정중하게 부름을 나타내는 조사.
- 이면 : 둘 이상의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조사.
- 목적격 조사 (目的格助詞) : 문장에서 서술어에 대한 목적어의 자격을 표시하는 조사.
- 께서 : (높임말로) 가. 이. 어떤 동작의 주체가 높여야 할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 다 : 여러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면서 나열함을 나타내는 조사.
- 뿐 : 앞의 말이 나타내는 내용 이외에 더는 없거나 오직 그러함을 나타내는 조사.
- 나마 : 썩 마음에 들지 않거나 부족한 조건이지만 아쉬운 대로 인정함을 나타내는 조사.
🗣️ 조사 (弔詞/弔辭) @ 용례
- 설문 조사 결과, 많은 사람들이 성범죄에 대한 처벌이 느슨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느슨하다]
- 부사격 조사. [부사격 (副詞格)]
- 조사 결과 직장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요일은 금요일이었다. [요일 (曜日)]
- 사건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특별 조사 팀이 구성되었다면서요? [개시하다 (開始하다)]
- 역학 조사. [역학 (疫學)]
- 집단 식중독의 원인은 역학 조사 결과가 나와야 알 수 있다. [역학 (疫學)]
- 질병 관리 본부는 최근 인천에서 홍역 환자가 집단 발생하자 역학 조사를 벌였다. [역학 (疫學)]
- 조사 불응. [불응 (不應)]
- 국세 조사. [국세 (國稅)]
- 그 비리 사건에 대한 조사 결과가 나왔니? [머물다]
- 칼에 찔린 피해자가 사망한 시각은 경찰이 아직 조사 중에 있다. [사망하다 (死亡하다)]
- 검찰 조사 결과 고위 공직자들의 비리들이 속속 드러났다. [속속 (續續)]
- 실태 조사. [실태 (實態)]
- 선생님은 숙제로 청소년의 언어 사용 실태에 대해 조사해 오라고 하셨다. [실태 (實態)]
- 총인구 조사. [총인구 (總人口)]
- 조사 결과, 그는 아무런 죄가 없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확인되다 (確認되다)]
- 여론 조사 결과를 보아서는 야당 후보가 당선될 것으로 관측됩니다. [관측되다 (觀測되다)]
- 부장님, 소매점에서 우리 제품이 잘 돌아가고 있는지 시장 조사 다녀오겠습니다. [돌아가다]
- 그러게. 갔다 와서 시장 조사 보고서 올리는 것 잊지 말게. [돌아가다]
- 유적 조사. [유적 (遺跡/遺蹟)]
- 산림 토양이 나무가 자라지 못할 정도로 산성화한 것으로 조사 결과에 나타났다. [산성화하다 (酸性化하다)]
- 근처에 범죄자가 있다는 신고를 받아서 조사 중입니다. [검문하다 (檢問하다)]
- 엄정 조사. [엄정 (嚴正)]
- 유정 명사에는 조사 ‘에게’가 붙고 무정 명사에는 조사 ‘에’가 붙는다. [무정 명사 (無情名詞)]
- 우리 연구 팀은 이번 연구의 조사 대상에 대한 잠정적 결론을 내렸다. [잠정적 (暫定的)]
- 경찰은 의문의 시체 한 구를 조사 중이다. [구 (具)]
- 재고 조사. [재고 (在庫)]
- 탐문 조사. [탐문 (探問)]
- 조사 의뢰. [의뢰 (依賴)]
- 마구잡이 조사. [마구잡이]
- 실수로 조사 결과를 잘못 입력했는데 파일을 수정할 수 있을까요? [입력하다 (入力하다)]
- 여론 조사 결과 이번 선거에서 특별히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사람이 삼십 퍼센트나 된다고 합니다. [부동표 (浮動票)]
- 감찰 조사. [감찰 (監察)]
- 경로를 조사하다. [경로 (經路)]
- 마약 사범의 조사 진행 상황을 보고하게. [경로 (經路)]
- 현재 마약을 입수하게 된 경로를 조사하는 중입니다. [경로 (經路)]
- 지명 조사. [지명 (地名)]
- 경찰 조사 결과 둘이 같이 범행을 꾀했대요. [공모 (共謀)]
- 도구의 부사격 조사. [부사격 조사 (副詞格助詞)]
- 장소의 부사격 조사. [부사격 조사 (副詞格助詞)]
- 부사격 조사가 결합하다. [부사격 조사 (副詞格助詞)]
- 부사격 조사가 붙다. [부사격 조사 (副詞格助詞)]
- 부사격 조사가 생략되다. [부사격 조사 (副詞格助詞)]
- 자신보다 높은 사람에 대해 말할 때는 부사격 조사 ‘에게’ 대신 ‘께’가 쓰인다. [부사격 조사 (副詞格助詞)]
- 조사 결과 대기업 신입 사원의 초임 연봉은 평균 삼천만 원 정도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초임 (初任)]
- 사람들이 선호하는 책을 조사한 결과 직업별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나타내다]
- 이번 설문 조사 결과 봤어? [나타내다]
- 공정 거래 위원회에서는 요로에 뇌물을 바친 혐의로 그를 조사 중이다. [요로 (要路)]
- 국정 조사. [국정 (國政)]
- 네, 아무래도 조사 과정에 문제가 있었는지 결과가 현실과 너무 동떨어져 있는 것 같습니다. [동떨어지다]
- 시청률 조사. [시청률 (視聽率)]
- 조사 결과 제품의 함유 성분 중 몸에 좋지 않은 중독성 물질이 있었다. [함유 (含有)]
- 통계 조사. [통계 (統計)]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통계 조사에 따르면, 학생들의 대부분이 수면 부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 (統計)]
- 양적 조사. [양적 (量的)]
- 시장의 선호도 조사에는 양적 조사 외에도 질적 조사가 같이 이루어졌다. [양적 (量的)]
- 조사 결과. [결과 (結果)]
- 조사 '이'와 '가'는 주격과 보격을 나타낸다. [보격 (補格)]
- 격 조사에는 주격, 목적격, 부사격 말고도 관형격, 보격, 호격 등이 있다. [보격 (補格)]
- 경찰 조사. [경찰 (警察)]
- 교통사고가 난 지점에 경찰이 와서 사고의 원인을 조사했다. [경찰 (警察)]
- 조사에 따르면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의 사교육비 지출이 과도한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교육 제도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부적 (局部的)]
- 그런 국부적 조사 결과만으로 문제를 결론지을 수는 없는 것 같은데요. [국부적 (局部的)]
- 이 조사 결과를 보면 소비자의 요구가 다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변화하다 (多邊化하다)]
- 고고학적 조사. [고고학적 (考古學的)]
- 신상 조사. [신상 (身上)]
- 여론 조사 결과 우리 정당의 후보들은 대부분 당선권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선권 (當選圈)]
- 여론 조사 결과에 따르면 법안 시행 여부에 대한 긍정적 답변이 주를 이루었다. [긍정적 (肯定的)]
- 여론 조사 결과 시민들은 치킨의 적정가를 일 만 원이라고 응답했다. [적정가 (適正價)]
- 자체 조사. [자체 (自體)]
- 네, 일단 회사 내에서 자체 조사를 한 결과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자체 (自體)]
- 형식적인 조사. [형식적 (形式的)]
- 이차 조사. [이차 (二次)]
- 공명정대한 조사. [공명정대하다 (公明正大하다)]
- 보조사의 기능. [보조사 (補助詞)]
- 보조사의 의미. [보조사 (補助詞)]
- 보조사를 쓰다. [보조사 (補助詞)]
- 보조사를 붙이다. [보조사 (補助詞)]
- 보조사를 사용하다. [보조사 (補助詞)]
- '나도 밥을 먹겠다'에서 조사 '도'는 보조사이다. [보조사 (補助詞)]
- 경찰에서는 폭력 사건의 진원지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 중이다. [진원지 (震源地)]
- 다면적으로 조사하다. [다면적 (多面的)]
- 이 조사 결과는 다면적으로 해석해야 할 거예요. [다면적 (多面的)]
- 조사 반장. [반장 (班長)]
- 대부분의 대기업들이 이번 세무 조사 대상에 포함되었다. [포함되다 (包含되다)]
- 강력반이 조사하다. [강력반 (強力班)]
- 안 그래도 강력반에서 조사 중에 있다니까 너무 불안해하지 마. [강력반 (強力班)]
- 이번에 사회 조사 연구 방법론 세미나가 있어. [방법론 (方法論)]
- 생태 조사. [생태 (生態)]
- 밤샘 조사. [밤샘]
- 설문 조사 결과 많은 사람들이 택배 이용 시 가장 중요한 점을 신속성으로 꼽았다. [신속성 (迅速性)]
- 담당자는 청장에게 조사 결과를 보고하였다. [청장 (廳長)]
- 국세청에서 세무 조사에 관한 중요한 발표를 한다고 합니다. [청장 (廳長)]
- 경찰은 이번 화재의 원인을 찾으려고 조사 중이다. [찾다]
- 제가 사람들을 만나 설문 조사를 할 테니까 지수 씨는 나중에 조사 결과를 정리해 주세요. [-ㄹ 테니까]
- 고발인을 조사하다. [고발인 (告發人)]
- 검찰은 고발인의 진술을 토대로 사건을 조사 중이다. [고발인 (告發人)]
- 네, 오늘 고발인 자격으로 조사를 받을 예정입니다. [고발인 (告發人)]
- 우리 회사는 설문 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프로그램을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를]
- 김 대리, 회사 홈페이지에서 지난 번 조사 자료 좀 확인해 주겠나? [데이터베이스 (database)]
- 한 자선 단체가 경찰 조사 결과 이름만 있는 유령 단체임이 밝혀졌다. [유령 (幽靈)]
- 오늘은 통계학 수업에서 통계 조사 시의 여러 가지 표본 추출 방식과 그 장단점에 대하여 배웠다. [추출 (抽出)]
- 설문 조사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이상적 자녀 수는 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적 (理想的)]
- 여론 조사 결과는 어떻습니까? [첨예하다 (尖銳하다)]
- 중절 경험이 있는 한국 여성들이 피임에 대한 인식도가 매우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절 (中絕)]
- 관형격 조사 ‘의’는 체언 뒤에서 ‘에’로 발음되기도 한다. [관형격 조사 (冠形格助詞)]
- 관형격 조사 ‘의’는 구어보다는 문어에서 더 자주 쓰인다. [관형격 조사 (冠形格助詞)]
- ‘내’는 ‘나’에 관형격 조사 ‘의’가 결합하여 줄어든 형태이다. [관형격 조사 (冠形格助詞)]
- 응. 그런데 조사 과정에서 약물을 복용한 게 밝혀져서 논란이 새로운 국면으로 흐르고 있는 모양이야. [국면 (局面)]
- 여론 조사 결과에 기대면 야당 후보가 유리하대. [기대다]
- 감사원의 조사. [감사원 (監査院)]
- 그동안 감사원의 눈을 피해서 비리를 저질러 왔던 공무원들이 이번 조사에서 적발됐다. [감사원 (監査院)]
- 감사원의 조사 결과 시청 직원들이 시민의 세금으로 해외 여행을 다녀 온 사실이 드러났다. [감사원 (監査院)]
- 해역을 조사하다. [해역 (海域)]
- 조사 결과, 이 해역 안에는 섬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해역 (海域)]
- 김 형사는 지금까지의 사건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앞으로의 진행 방향에 대해 이야기했다. [발표하다 (發表하다)]
- 고적지 조사. [고적지 (古跡地)]
- 경찰은 수개월의 조사 끝에 범인들이 숨어 있는 은신처를 발견했다. [은신처 (隱身處)]
- 대표성 없는 조사 결과는 신뢰할 수가 없어요. [대표성 (代表性)]
- 간부들에 의해 자살로 곡해되었던 한 직원의 죽음이 조사 결과 타살이었다고 밝혀졌다. [곡해되다 (曲解되다)]
- 대질 조사. [대질 (對質)]
- 피해자와 피의자의 진술이 엇갈리자 검찰이 대질 조사를 결정했다. [대질 (對質)]
- 입건 조사. [입건 (立件)]
- 검찰이 피의자를 입건 조사하고 있다. [입건 (立件)]
- 응. 그래서 검찰이 불구속 입건으로 조사하기로 했대. [입건 (立件)]
- 우리 회사는 세무 조사 이후에 강제 추징을 당하여 세금을 추가로 내야 했다. [추징 (追徵)]
- 이번 조사 결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데 활용될 것이다. [활용되다 (活用되다)]
- 여론 조사 결과 야당의 입후보자가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입후보자 (立候補者)]
- 정밀 조사. [정밀 (精密)]
- 전면적인 조사. [전면적 (全面的)]
- 다음 달에는 우리 부서의 모든 업무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가 실시된다. [전면적 (全面的)]
- 설문지 조사. [설문지 (設問紙)]
- 학기 첫날에 선생님께서 가정 환경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를 나누어 주면서 작성해 오라고 하셨다. [설문지 (設問紙)]
- 어장 조사. [어장 (漁場)]
- 실사 조사. [실사 (實査)]
- 안 그래도 수사권이 발동돼서 조사 중에 있어요. [발동되다 (發動되다)]
- 경찰 조사 결과 주요 적출은 탈세와 비자금 조성이었다. [적출 (摘出)]
- 검찰은 증언과 다른 조사 결과가 나오자 증인을 위증죄로 기소했다. [위증죄 (僞證罪)]
-
ㅈㅅ (
장소
)
: 어떤 일이 일어나는 곳. 또는 어떤 일을 하는 곳.
☆☆☆
명사
🌏 PLACE; VENUE; SPACE: A space where something happens or is done. -
ㅈㅅ (
잠시
)
: 잠깐 동안에.
☆☆☆
부사
🌏 FOR A WHILE; FOR A MOMENT; FOR SOME TIME: For a short time. -
ㅈㅅ (
점수
)
: 성적을 나타내는 숫자.
☆☆☆
명사
🌏 SCORE: A number representing one's performance. -
ㅈㅅ (
중심
)
: 어떤 것의 한가운데.
☆☆☆
명사
🌏 CENTER: The very middle of something. -
ㅈㅅ (
주소
)
: 집이나 직장, 기관 등이 위치한 곳의 행정 구역상 이름.
☆☆☆
명사
🌏 ADDRESS: The administrative name of a place where a house, workplace, organization, etc., is located. -
ㅈㅅ (
주사
)
: 주사기를 통해 사람이나 동물의 몸에 액체로 된 약물을 직접 넣는 일.
☆☆☆
명사
🌏 INJECTION: The act of directly introducing a liquid drug into the human or animal body through a syringe. -
ㅈㅅ (
주스
)
: 과일이나 채소에서 짜낸 즙. 또는 그것으로 만든 음료.
☆☆☆
명사
🌏 JUICE: A liquid extracted from fruits or vegetables, or a drink made of such liquid. -
ㅈㅅ (
자식
)
: 아들과 딸, 또는 아들이나 딸.
☆☆☆
명사
🌏 CHILD; KID: A son and a daugther, a son or daughter. -
ㅈㅅ (
자신
)
: 바로 그 사람.
☆☆☆
명사
🌏 SELF; ONESELF: The person himself/herself. -
ㅈㅅ (
점심
)
: 아침과 저녁 식사 중간에, 낮에 하는 식사.
☆☆☆
명사
🌏 LUNCH: A meal eaten in the afternoon between breakfast and dinner. -
ㅈㅅ (
접시
)
: 음식을 담는 데 쓰는 납작하고 평평한 그릇.
☆☆☆
명사
🌏 PLATE: A flat, plane-surfaced container to keep food in. -
ㅈㅅ (
조심
)
: 좋지 않은 일을 겪지 않도록 말이나 행동 등에 주의를 함.
☆☆☆
명사
🌏 CAUTION; CAREFULNESS: The act of being careful in speech, behavior, etc., not to get in trouble. -
ㅈㅅ (
잠시
)
: 잠깐 동안.
☆☆☆
명사
🌏 MOMENT; SHORT WHILE: A short time.
• 건축 (43) • 언론 (36) • 집안일 (41) • 영화 보기 (8) • 하루 생활 (11) • 소개하기(가족 소개) (41) • 음식 설명하기 (78) • 외양 (97) • 역사 (92) • 교육 (151) • 공공 기관 이용하기(우체국) (8) • 요리 설명하기 (119) • 감사하기 (8) • 사회 문제 (226) • 외모 표현하기 (105) • 날짜 표현하기 (59) • 공공 기관 이용하기(도서관) (8) • 여행 (98) • 식문화 (104) • 전화하기 (15) • 사건, 사고, 재해 기술하기 (67) • 심리 (365) • 직장 생활 (197) • 길찾기 (20) • 약속하기 (4) • 시간 표현하기 (82) • 문화 비교하기 (47) • 건강 (155) • 집 구하기 (159) • 공공 기관 이용하기(출입국 관리 사무소)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