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결 어미 (終結語尾)
1. 한 문장을 끝맺는 기능을 하는 어말 어미.
1. SENTENCE-CLOSING ENDING: An ending that is used to finish a sentence.
-
종결 어미의 기능.
The function of a terminating mother. -
종결 어미의 의미.
Meaning of ending word. -
종결 어미의 종류.
Type of ending word. -
종결 어미와 연결 어미.
Close mother and link mother. -
종결 어미를 붙이다.
Attach the ending note. -
글에 종결 어미가 많으면 문장의 길이가 짧다는 것을 의미한다.
A large number of terminating words in the text means that the sentence is short. -
종결 어미에는 '-다, -네, -(으)오, -ㅂ니다, -습니다' 등이 있다.
Termination mothers include '-da, -yes, -oh, -da, -da, -da.'. -
종결 어미는 문장을 끝내는 기능과 문장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다.
The ending mother has the ability to end a sentence and to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sentence. -
♔
나는 아직도 한국어의 높임말이 어려워.
I'm still having a hard time with the korean honorifics.
♕ 일단 남과 대화할 때는 높임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를 잘 써야 해.
First of all, when you talk to someone, you should use the ending word to indicate elevation.
📚 주석: 붙여쓰기를 허용한다.
🗣️ 종결 어미 (終結語尾) @ 뜻풀이
- -ㄹ거나 : (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자기 생각에 대하여 스스로 묻거나 상대방의 의견을 물어봄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으람 : (아주낮춤으로) 어떠한 명령이나 요청에 대해 자신에게 묻거나 불평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구려 : (예사 높임으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감탄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ㄹ밖에 : (두루낮춤으로) 그것 말고 다른 방법이 없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는담 : (아주낮춤으로) 어떠한 사실에 대해 자신에게 묻거나 불평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ㄴ다네 : (예사 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객관화하여 듣는 사람에게 일러 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여 : (두루낮춤으로) 어떤 사실을 서술하거나 물음, 명령, 권유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는대 : (두루낮춤으로) 앞의 말이 나타내는 사실에 대하여 강하게 부정하거나 의문을 제기할 때 쓰는 종결 어미.
- -을거나 : (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자기 생각에 대하여 스스로 묻거나 상대방의 의견을 물어봄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로구먼 : (두루낮춤으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하거나 감탄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으려니 : 어떤 상황을 추측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셔 : (두루낮춤으로) 명령이나 권유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ㄴ다니 : (두루낮춤으로) 뜻밖의 사실에 놀라서 되묻거나 감탄할 때 쓰는 종결 어미.
- -소서 : (아주높임으로) 정중한 부탁이나 기원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으라니까 : (아주낮춤으로) 가볍게 꾸짖으면서 반복해서 명령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느니 : (예사 낮춤으로) 진리나 당연한 사실을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ㄴ다오 : (예사 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객관화하여 듣는 사람에게 전달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게 : (예사 낮춤으로) 손아래나 허물없는 관계에 있는 사람에게 명령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으련 : (아주낮춤으로) 상대방을 위하여 할 의사가 있는 행동을 상대방이 받아들일 것인지 친근하게 물을 때 쓰는 종결 어미.
- -란다 : (아주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미 아는 사실을 객관화하여 전달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로구려 : (예사 높임으로)(옛 말투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감탄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으니 : (아주낮춤으로)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으셔요 : (두루높임으로) 설명, 의문, 명령, 요청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어 : (두루낮춤으로) 어떤 사실을 서술하거나 물음, 명령, 권유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대요 :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알고 있는 것을 일러바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자니까 : (두루낮춤으로) 어떤 행동을 함께 하자고 반복해서 권유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으시어요 : (두루높임으로) 설명, 의문, 명령, 요청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읍시다 : (예사 높임으로) 어떤 동작을 함께 하자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는감 : (예사 낮춤으로) 어떤 사실에 대하여 가볍게 반박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자며 : (아주낮춤으로) 제안이나 권유 받은 사실을 듣는 사람에게 확인하여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습죠 : (아주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확실하다고 믿는 사실에 대한 주장이나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으마 : (아주낮춤으로) 듣는 사람에게 어떤 내용을 약속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ㄴ다나 : 다른 사람의 말을 전하며 그 내용이 못마땅하거나 귀찮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너라 : (아주낮춤으로)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야지 : (두루낮춤으로) 듣는 사람이나 다른 사람이 어떤 일을 해야 한다거나 어떤 상태여야 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긴 : 상대방의 말을 가볍게 부정하거나 반박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걸랑 : (두루낮춤으로) 앞의 내용에 대해 말하는 사람이 생각한 이유나 원인, 근거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ㄴ : (아주낮춤으로) 친근하게 명령할 때 쓰는 종결 어미.
- -을래 : (두루낮춤으로) 앞으로 어떤 일을 하려고 하는 자신의 의사를 나타내거나 그 일에 대하여 듣는 사람의 의사를 물어봄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담 : (아주낮춤으로) 어떠한 사실에 대해 자신에게 묻거나 불평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을게 : (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할 것을 듣는 사람에게 약속하거나 의지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니 : (아주낮춤으로)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는다고 : (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주장을 듣는 사람에게 강조하여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고말고 : (두루낮춤으로) 상대방의 질문에 긍정의 답을 하거나 상대방의 말에 동의하면서 이를 강조할 때 쓰는 종결 어미.
- -단다 : (아주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미 아는 사실을 객관화하여 전달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데요 :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전에 직접 경험한 사실을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습니까 : (아주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정중하게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ㄴ단다 : (아주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미 아는 사실을 객관화하여 전달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ㅂ니다 : (아주높임으로) 현재의 동작이나 상태, 사실을 정중하게 설명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으라 : (아주낮춤으로) 신문이나 책 등에서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독자나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요구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게나 : (예사 낮춤으로) 친근하게 명령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는답니까 : (아주높임으로) 어떤 사실이 주어진 것으로 생각하고 그 사실에 대한 강한 긍정이나 부정에 대하여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나 : (예사 낮춤으로)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더구나 : (아주낮춤으로) 직접 경험하여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알릴 때 쓰는 종결 어미.
- -으이 : (예사 낮춤으로) 상태나 느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여야지 : (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의 결심이나 의지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으십사 : (아주높임으로) 정중하게 부탁하거나 청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ㅂ지요 : (아주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확실하다고 믿는 사실에 대한 주장이나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ㄴ다니 : (아주낮춤으로)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냐고 : (두루낮춤으로) 앞서 했던 질문을 다시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아라 : (아주낮춤으로) 명령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ㄴ다 : (아주낮춤으로) 현재 사건이나 사실을 서술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라네 : (예사 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객관화하여 듣는 사람에게 일러 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는다며 : (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들어서 아는 사실을 확인하여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으랴 : (아주낮춤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 리 없다고 판단하여 반문할 때 쓰는 종결 어미.
- -냐 : (아주낮춤으로)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여요 : (두루높임으로) 어떤 사실을 서술하거나 질문, 명령, 권유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ㄴ대 : (두루낮춤으로) 앞의 말이 나타내는 사실에 대하여 강하게 부정하거나 의문을 제기할 때 쓰는 종결 어미.
- -구나 : (아주낮춤으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어떤 느낌을 실어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자고 : (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주장을 듣는 사람에게 강조하여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ㄴ다면서 : (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들어서 아는 사실을 확인하여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소 : (예사 높임으로) 설명, 의문, 명령, 요청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람 : (아주낮춤으로) 어떠한 사실에 대해 자신에게 묻거나 불평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으오 : (예사 높임으로) 서술, 의문, 명령, 요청을 할 때 쓰는 종결 어미.
- -디 : (아주낮춤으로) 듣는 사람이 과거에 경험한 일에 대하여 답하도록 물을 때 쓰는 종결 어미.
- -ㄴ다 : (아주낮춤으로) 자기 자신에게 물을 때 쓰는 종결 어미.
- -죠 :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확인하며 말할 때 쓰는 종결 어미.
- -으라며 : (두루낮춤으로) 명령이나 지시를 받은 사실을 확인하여 물을 때 쓰는 종결 어미.
- -남 : (아주낮춤으로) 어떠한 사실에 대해 자신에게 묻거나 불평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던걸 : (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전에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감탄하듯이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대 : (두루낮춤으로) 앞의 말이 나타내는 사실에 대하여 강하게 부정하거나 의문을 제기할 때 쓰는 종결 어미.
- -으려고 : (두루낮춤으로) 어떤 주어진 상황에 대하여 의심이나 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습디다 : (예사 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직접 겪은 사실을 전달하여 알림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ㅁ세 : (예사 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기꺼이 하겠다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으렴 : (아주낮춤으로) 부드럽게 허락하거나 완곡하게 명령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더구려 : (예사 높임으로) 과거에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듣는 사람에게 이야기하면서 그 사실에 대해 감탄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는구나 : (아주낮춤으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어떤 느낌을 실어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ㄹ게 : (두루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할 것을 듣는 사람에게 약속하거나 의지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습네 : 어떤 사실을 못마땅하게 생각하며 인용하듯이 말할 때 쓰는 종결 어미.
- -데 : (예사 낮춤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전에 직접 경험한 사실을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ㄴ감 : (예사 낮춤으로) 어떤 사실에 대하여 가볍게 반박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로다 : (아주낮춤으로)(옛 말투로) 감탄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라오 : (예사 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객관화하여 듣는 사람에게 전달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어라 : (아주낮춤으로) 명령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는다니까 : (두루낮춤으로) 앞서 말한 내용을 다시 확인하면서 말하는 사람이 자신의 말을 강조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네 : (예사 낮춤으로) 단순한 서술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십시오 : (아주높임으로) 듣는 사람에게 어떤 일을 정중하게 명령하거나 권유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으셔 : (두루낮춤으로) 명령이나 권유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랍니까 : (아주높임으로) 어떤 사실이 주어진 것으로 생각하고 그 사실에 대한 강한 긍정이나 부정에 대하여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라 : (아주낮춤으로)(옛 말투로) 어떤 사실을 설명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종결 어미 (終結語尾) @ 용례
- '드시고 계시다'에는 어말 어미 중 연결 어미인 '-고'와 종결 어미인 '-다'가 쓰였다. [어말 어미 (語末語尾)]
- 다음 말과 연결하는 연결 어미, 품사를 바꾸는 전성 어미, 문장을 맺는 종결 어미가 있습니다. [어말 어미 (語末語尾)]
- ‘-자, -세, -읍시다’ 등은 한국어에서 청유형을 만드는 종결 어미이다. [청유형 (請誘形)]
- 한국어에서 어미는 문법적인 기능에 따라 연결 어미, 전성 어미, 종결 어미로 구분된다. [연결 어미 (連結語尾)]
-
ㅈㄱㅇㅁ (
종결 어미
)
: 한 문장을 끝맺는 기능을 하는 어말 어미.
품사 없음
🌏 SENTENCE-CLOSING ENDING: An ending that is used to finish a sentence.
• 경제·경영 (273) • 날짜 표현하기 (59) • 음식 주문하기 (132) • 직업과 진로 (130) • 종교 (43) • 기후 (53) • 실수담 말하기 (19) • 언어 (160) • 사회 제도 (78) • 날씨와 계절 (101) • 초대와 방문 (28) • 보건과 의료 (204) • 법 (42) • 소개하기(가족 소개) (41) • 예술 (76) • 스포츠 (88) • 소개하기(자기소개) (52) • 감사하기 (8) • 심리 (365) • 여가 생활 (48) • 직장 생활 (197) • 문화 차이 (52) • 인간관계 (255) • 공공기관 이용하기 (59) • 사과하기 (7) • 사건, 사고, 재해 기술하기 (67) • 약국 이용하기 (6) • 대중 문화 (82) • 집안일 (41) • 주말 및 휴가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