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행 (執行)
명사
1. 계획, 명령, 재판 등의 내용을 실제로 행함.
1. EXECUTION: An act of carrying out a plan, order, judgment, etc.
-
판결의 집행.
The execution of a judgment. -
형의 집행.
Execution of the sentence. -
집행 과정.
Execution process. -
집행 기관.
Executive. -
집행이 되다.
Be executed. -
집행이 시행되다.
Execution takes place. -
집행을 거부하다.
Deny execution. -
집행을 맡다.
Take the execution. -
집행을 명령하다.
Command execution. -
집행을 미루다.
Hold off execution. -
집행을 방해하다.
Obstruct the execution. -
집행을 이행하다.
Implement execution. -
집행을 하다.
Execute. -
집행에 착수하다.
Go into execution. -
그는 여태까지는 그냥 구상만 해 두던 일을 올해가 되어서야 집행을 시작했다.
He didn't begin to carry out what he had planned until this year. -
정부는 자영업자들의 생계를 보장해 주는 법안의 집행이 이번 달부터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a bill that guarantees the livelihood of the self-employed will begin this month. -
♔
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재판을 받아야 한다던 선배는 어떻게 됐어?
What happened to the senior who said he was involved in a corruption case and had to stand trial?
♕ 선배는 가담한 적이 없다는 것이 밝혀져서 형 집행이 면제됐대.
The senior was found to have never been involved, so he was exempted from execution.
🗣️ 발음, 활용: • 집행 (
지팽
)
📚 파생어: • 집행되다(執行되다): 계획, 명령, 재판 등의 내용이 실제로 행해지다. • 집행하다(執行하다): 계획, 명령, 재판 등의 내용을 실제로 행하다.
🗣️ 집행 (執行) @ 뜻풀이
- 정관 (定款) : 법인의 목적, 조직, 업무 집행 등에 관한 기본 규칙. 또는 그것을 적은 문서.
- 가석방 (假釋放) : 형벌의 집행 기간이 끝나지 않은 죄수를 어떤 조건 아래 미리 풀어 주는 일.
- 가석방하다 (假釋放하다) : 형벌의 집행 기간이 끝나지 않은 죄수를 어떤 조건 아래 미리 풀어 주다.
- 가석방되다 (假釋放되다) : 형벌의 집행 기간이 끝나지 않은 죄수가 어떤 조건 아래 미리 풀려나다.
- 법망 (法網) : (비유적으로) 죄를 지은 사람에게 처벌을 할 수 있는 법률이나 그 집행 기관.
🗣️ 집행 (執行) @ 용례
- 중립적인 집행. [중립적 (中立的)]
- 그는 집행 유예 기간에 음주 운전을 해 실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다. [실형 (實刑)]
- 수색 영장의 집행. [수색 영장 (搜索令狀)]
- 음주 운전으로 집행 유예를 선고 받은 친구는 항소심에서 벌금형으로 감형되기를 원했다. [감형되다 (減刑되다)]
- 경찰서에서 난동을 부리던 사내는 결국 공무 집행 방해로 구류를 당했다. [구류 (拘留)]
- 조직적 집행. [조직적 (組織的)]
- 집행 유예를 받다. [받다]
- 공무 집행 과정은 일정한 단계적 절차에 따라 이루어진다. [단계적 (段階的)]
- 억울하게 수감된 죄수의 무죄가 입증되어 형의 집행 정지 명령이 내려졌다. [정지 (停止)]
- 사형수는 아무도 없는 독방에서 형의 집행을 기다리며 참회의 눈물을 흘렸다. [사형수 (死刑囚)]
- 그날은 전국 교도소에서 십여 명의 사형수에 대해 교수형을 집행하기로 한 날이었다. [사형수 (死刑囚)]
- 홧김에 부모를 살해한 일급 사형수는 감방에서 사형 집행일을 기다리며 십일 년째 복역 중이다. [사형수 (死刑囚)]
- 응. 사형 집행 전에 살인 누명이 벗겨져서 다행이야. [사형수 (死刑囚)]
- 집행 유예로 석방되다. [석방되다 (釋放되다)]
- 법의 집행. [법 (法)]
- 법을 집행하다. [법 (法)]
- 집행 보류. [보류 (保留)]
- 재판부는 피고에게 범행 의도가 없었음을 참작하여 집행 유예를 선고했다. [참작하다 (參酌하다)]
- 그는 부당한 사기를 한 벌로 집행 유예를 선고 받고 자숙 중이다. [자숙 (自肅)]
- 징역 삼 년 이하의 형을 받은 한 기업인은 집행 유예 기간을 지내고 있다. [징역 (懲役)]
- 집행 유예 기간. [집행 유예 (執行猶豫)]
- 집행 유예 판결. [집행 유예 (執行猶豫)]
- 집행 유예가 되다. [집행 유예 (執行猶豫)]
- 집행 유예가 선고되다. [집행 유예 (執行猶豫)]
- 집행 유예로 석방되다. [집행 유예 (執行猶豫)]
- 집행 유예로 풀려나다. [집행 유예 (執行猶豫)]
- 교수형 집행. [교수형 (絞首刑)]
- 간수는 교수형을 집행하기 위해 사형수의 얼굴에 올가미를 씌웠다. [교수형 (絞首刑)]
- 공무 집행. [공무 (公務)]
- 공무 집행 방해죄. [공무 (公務)]
- 제가 한 행동이 공무 집행 방해죄에 해당되나요? [공무 (公務)]
- 일관성이 없이 불연속성을 보이는 정부의 정책 집행 때문에 사람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불연속성 (不連續性)]
- 엄정한 집행. [엄정하다 (嚴正하다)]
- 우리나라는 법에 따라 범죄를 저지른 사람에게는 엄정하게 법을 집행한다. [엄정하다 (嚴正하다)]
- 집행 위원회. [위원회 (委員會)]
- 의붓딸을 학대한 남자에게 집행 유예 판결이 내려졌대. [솜방망이]
- 강제 집행. [강제 (強制)]
-
ㅈㅎ (
전혀
)
: 도무지. 또는 완전히.
☆☆☆
부사
🌏 (NOT) AT ALL; COMPLETELY: By any possibility or wholly. -
ㅈㅎ (
지하
)
: 땅속이나 땅을 파고 그 아래에 만든 건물의 공간.
☆☆☆
명사
🌏 BASEMENT: A story of a building that is made under the ground by digging. -
ㅈㅎ (
정확
)
: 바르고 확실함.
☆☆☆
명사
🌏 ACCURACY: The state of being right and certain. -
ㅈㅎ (
전화
)
: 전화기를 통해 사람들끼리 말을 주고받음. 또는 그렇게 하여 전달되는 내용.
☆☆☆
명사
🌏 CALL; PHONE CALL: The act of exchanging words between people via telephone, or such conversation. -
ㅈㅎ (
저희
)
: 말하는 사람이 자기보다 높은 사람에게 자기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
☆☆☆
대명사
🌏 OUR: A word used by the speaker to refer to a group of people including himself/herself when speaking to another person who is superior to him/her. -
ㅈㅎ (
지혜
)
: 삶의 이치와 옳고 그름을 잘 이해하고 판단하는 능력.
☆☆
명사
🌏 WISDOM: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logic of life and judge between right and wrong. -
ㅈㅎ (
직후
)
: 어떤 일이 일어난 바로 뒤.
☆☆
명사
🌏 NEXT; FOLLOWING: Something that comes right after another. -
ㅈㅎ (
진학
)
: 어떤 등급의 학교를 졸업한 뒤, 그보다 높은 등급의 학교에 들어감.
☆☆
명사
🌏 ENTRANCE TO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An act of graduating from school and then going on to a higher level of education. -
ㅈㅎ (
진행
)
: 앞으로 나아감.
☆☆
명사
🌏 PROGRESS: The act of moving forward. -
ㅈㅎ (
재학
)
: 학교에 소속되어 있음.
☆☆
명사
🌏 BEING ENROLLED: The state of belonging to a school. -
ㅈㅎ (
조화
)
: 서로 잘 어울림.
☆☆
명사
🌏 GETTING ALONG WITH; GOING WITH: The state of being in harmony with each other. -
ㅈㅎ (
종합
)
: 관련되는 여러 가지를 모아 하나로 합침.
☆☆
명사
🌏 BEING AGGREGATE; BEING COMBINED: The act of putting relevant things together into one. -
ㅈㅎ (
전후
)
: 앞과 뒤.
☆☆
명사
🌏 FRONT AND REAR; BEING IMMEDIATE: Front and back -
ㅈㅎ (
제한
)
: 일정한 정도나 범위를 정하거나, 그 정도나 범위를 넘지 못하게 막음. 또는 그렇게 정한 한계.
☆☆
명사
🌏 LIMIT: The act of determining a certain degree or scope or preventing such degree or scope from being exceeded, or a threshold determined that way.
• 언어 (160) • 음식 주문하기 (132) • 공공기관 이용하기 (59) • 물건 사기 (99) • 집안일 (41) • 교통 이용하기 (124) • 역사 (92) • 스포츠 (88) • 사회 문제 (226) • 여행 (98) • 외모 표현하기 (105) • 여가 생활 (48) • 소개하기(가족 소개) (41) • 종교 (43) • 식문화 (104) • 경제·경영 (273) • 보건과 의료 (204) • 기후 (53) • 사건, 사고, 재해 기술하기 (67) • 언론 (36) • 정치 (149) • 초대와 방문 (28) • 실수담 말하기 (19) • 문제 해결하기(분실 및 고장) (28) • 감사하기 (8) • 위치 표현하기 (70) • 하루 생활 (11) • 한국의 문학 (23) • 요리 설명하기 (119) • 날씨와 계절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