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 (主題)
☆☆ 명사
1. 대화나 연구 등에서 중심이 되는 문제.
1. SUBJECT: The central issue in a conversation or research.
-
논문 주제.
The subject of the thesis. -
대화 주제.
Conversation topic. -
연설 주제.
The subject of a speech. -
주제가 바뀌다.
The subject changes. -
주제를 다루다.
Handle the subject. -
주제를 정하다.
Set a subject. -
나는 부의 양극화 현상을 주제로 신문에 글을 실었다.
I wrote in a newspaper on the subject of polarization of wealth. -
친구는 대화의 주제와 상관없는 얘기로 주변을 산만하게 했다.
A friend distracted himself with stories that had nothing to do with the subject of conversation. -
♔
오늘은 뭐에 대한 강의가 있는지 알아?
Do you know what the lecture is about today?
♕ 환경 문제를 주제로 다룬다고 들었어.
I heard you're dealing with environmental issues.
참고어
테마(Thema): 창작이나 논의의 중심 내용이나 주제.
2. 소설, 그림, 영화 등과 같은 예술 작품에서 지은이가 표현하고자 하는 주된 생각.
2. THEME: In an artwork such as a novel, painting and film, the main idea that the creator wants to express.
-
주제가 풀리다.
The subject is solved. -
주제를 밝히다.
Reveal the subject. -
주제를 알리다.
Announce the subject. -
주제를 표현하다.
Express a subject. -
주제로 삼다.
Make a subject. -
오 작가는 전쟁의 비극을 주제로 장편의 소설을 썼다.
Writer oh wrote a full-length novel on the subject of the tragedy of war. -
우리는 영화에서 가족의 소중함이라는 주제를 느낄 수 있었다.
We could feel the theme of family importance in the movie. -
♔
이 그림의 주제가 뭐라고 생각하세요?
What do you think the subject of this painting is?
♕ 글쎄요. 현대 사회의 물질주의를 비판하고 있는 게 아닐까요?
Well. aren't they criticizing materialism in modern society?
참고어
테마(Thema): 창작이나 논의의 중심 내용이나 주제.
🗣️ 발음, 활용: • 주제 (
주제
)
🗣️ 주제 (主題) @ 뜻풀이
- 논제 (論題) : 토론이나 논의의 주제.
- 테마 (Thema) : 창작이나 논의의 중심 내용이나 주제.
- 박람회 (博覽會) : 일정 기간 동안 홍보나 판매 등을 목적으로 어떤 주제 아래에서 온갖 물품을 사람들에게 보이는 행사.
🗣️ 주제 (主題) @ 용례
- 신소설 주제. [신소설 (新小說)]
- 무식쟁이 주제. [무식쟁이 (無識쟁이)]
- 명징한 주제. [명징하다 (明澄하다)]
- 작가는 여러 주제 가운데 우선 하나를 선택하여 이야기를 끌어 나간다. [이야기]
- 시들한 주제. [시들하다]
- 우리가 정한 이번 토론 주제는 시들한 문제라서 다들 관심이 없어 보였다. [시들하다]
- 하잘것없는 주제. [하잘것없다]
- 의논 주제. [의논 (議論▽)]
- 좌담의 주제. [좌담 (座談)]
- 오는 주말에 대학 등록금의 해결 방안이라는 주제로 학생과 학부모, 대학 관계자의 좌담이 열린다. [좌담 (座談)]
- 글의 주제. [글]
- 함의된 주제. [함의되다 (含意되다)]
- 승규는 소설에서 미묘하게 함의된 주제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함의되다 (含意되다)]
- 친숙한 주제. [친숙하다 (親熟하다)]
- 소단원의 주제. [소단원 (小單元)]
- 무작정 교과서 본문을 읽기보다 목차를 통해 각 소단원 제목과 핵심 용어, 주제를 정리한 후 공부하는 것이 좋다. [소단원 (小單元)]
- 일기의 주제. [일기 (日記)]
- 세분된 주제. [세분되다 (細分되다)]
- 공통 주제. [공통 (共通)]
- 사람들과 공통의 주제로 이야기를 하니 대화가 잘 통했다. [공통 (共通)]
- 사람들에게 공통의 주제를 주고 자신의 생각을 써 보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공통 (共通)]
- 세미나 주제. [세미나 (seminar)]
- 세미나에서 흥미 있는 주제가 나오자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발표를 했다. [세미나 (seminar)]
- 다음 세미나 주제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세미나 (seminar)]
- 세미나의 주제는 무엇이었나요? [세미나 (seminar)]
- 개별 주제. [개별 (個別)]
- 보고서는 이 주제로만 써야 하나요? [개별 (個別)]
- 아니요, 자유롭게 개별 주제를 정해도 됩니다. [개별 (個別)]
- 예민한 주제. [예민하다 (銳敏하다)]
- 아무리 친한 사이라도 정치와 같은 예민한 주제로 이야기하는 것은 어려웠다. [예민하다 (銳敏하다)]
- 강론하는 주제. [강론하다 (講論하다)]
- 욕심 없는 삶이라는 주제에 대하여 강론한 스님은 청중들에게 갈채를 받았다. [강론하다 (講論하다)]
- 오늘 강연에서 교수님이 강론할 주제는 무엇인가요? [강론하다 (講論하다)]
- 고대 소설의 주제. [고대 소설 (古代小說)]
- 토론회 주제. [토론회 (討論會)]
- 이번 독서 토론회 주제는 무엇인가요? [토론회 (討論會)]
- 큰소리할 주제. [큰소리하다]
- 항상 사람만 그리던 화가는 주제 일변으로 풍경을 그리기 시작했다. [일변 (一變)]
- 이 단락의 주제. [단락 (段落)]
- 승규는 글의 마지막 단락에서 주제를 다시 한번 강조하였다. [단락 (段落)]
- 단락을 구성할 때는 하나의 단락에 하나의 주제가 담기도록 해야 한다. [단락 (段落)]
- 길이가 길어도 일관된 주제가 있으니 나누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구나. [단락 (段落)]
- 폭넓은 주제. [폭넓다 (幅넓다)]
- 상관없는 주제. [상관없다 (相關없다)]
- 강연자는 갑자기 강연과 상관없는 주제를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상관없다 (相關없다)]
- 토론하는 주제. [토론하다 (討論하다)]
- 표면적 주제. [표면적 (表面的)]
- 토의 주제. [토의 (討議)]
- 선생님들은 학생들이 토의할 수 있는 적절한 토의 주제를 생각하고 계셨다. [토의 (討議)]
- 통속적 주제. [통속적 (通俗的)]
- 글을 쓸 때 통속적 주제로 시작하는 것도 사람들의 주목을 끌 수 있어. [통속적 (通俗的)]
- 권선징악의 주제. [권선징악 (勸善懲惡)]
- 네까짓 주제. [네까짓]
- 논술 주제. [논술 (論述)]
- 인권 보호를 주제로 한 논술 과제를 하고 있는데 너무 어려워요. 좀 봐 주실래요? [논술 (論述)]
- 논설문 주제. [논설문 (論說文)]
- 나는 인터넷 예절을 주제로 한 논설문 쓰기 대회에서 우수한 논거를 펼쳐 최우수상을 받았다. [논설문 (論說文)]
- 네깟 주제. [네깟]
- 건드린 주제. [건드리다]
- 그 분야는 함부로 건드리기 어려운 주제인데 자신 있어? [건드리다]
- 강연 주제. [강연 (講演)]
- 회사에서는 유명 강사를 초청해 사랑과 청춘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열었다. [강연 (講演)]
- 선생님, 오늘 강연 주제가 무엇인가요? [강연 (講演)]
- 강론 주제. [강론 (講論)]
- 선생님 오늘 그림 주제는 무엇인가요? [자유로이 (自由로이)]
- 오늘은 주제 없이 너희들이 자유로이 그리고 싶은 것을 그려 보렴. [자유로이 (自由로이)]
- 담화에서 화제가 바뀌지 않는 한, 내용을 전개시키는 문장은 주제 문장에 종속된다. [종속되다 (從屬되다)]
- 주제 발표자. [발표자 (發表者)]
- 고차원의 주제. [고차원 (高次元)]
- 김 감독의 영화는 고차원의 주제를 다루어서 관객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했다. [고차원 (高次元)]
-
ㅈㅈ (
직장
)
: 돈을 받고 일하는 곳.
☆☆☆
명사
🌏 WORKPLACE: A place where someone works for money. -
ㅈㅈ (
직접
)
: 중간에 다른 사람이나 물건 등이 끼어들지 않고 바로.
☆☆☆
부사
🌏 IN PERSON: In the manner of doing something personally, without any intermediary such as other persons, goods, etc., in between. -
ㅈㅈ (
자주
)
: 같은 일이 되풀이되는 간격이 짧게.
☆☆☆
부사
🌏 OFTEN; FREQUENTLY: In the state of something being repeated at short intervals. -
ㅈㅈ (
직접
)
: 중간에 다른 사람이나 물건 등이 끼어들지 않고 바로 연결되는 관계.
☆☆☆
명사
🌏 DIRECT RELATIONSHIP: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directly without any other person, object, etc., in between. -
ㅈㅈ (
잡지
)
: 여러 가지 내용의 기사와 사진, 광고 등을 모아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책.
☆☆☆
명사
🌏 MAGAZINE: A periodically published book that puts together a variety of articles, photographs, advertisements, etc. -
ㅈㅈ (
점점
)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도가 조금씩 더.
☆☆☆
부사
🌏 GRADUALLY: Little by little as times goes by.
• 공공 기관 이용하기(도서관) (8) • 날짜 표현하기 (59) • 철학·윤리 (86) • 주말 및 휴가 (47) • 감사하기 (8) • 집 구하기 (159) • 인사하기 (17) • 위치 표현하기 (70) • 음식 설명하기 (78) • 보건과 의료 (204) • 감정, 기분 표현하기 (191) • 공연과 감상 (52) • 가족 행사-명절 (2) • 영화 보기 (8) • 사회 문제 (226) • 초대와 방문 (28) • 공공기관 이용하기 (59) • 인간관계 (255) • 외모 표현하기 (105) • 길찾기 (20) • 한국 생활 (16) • 문화 차이 (52) • 직장 생활 (197) • 취미 (103) • 실수담 말하기 (19) • 복장 표현하기 (121) • 하루 생활 (11) • 언론 (36) • 건축 (43) • 언어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