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의미

1 : 돌에 구멍을 뚫거나 돌을 쪼아서 다듬는, 쇠로 만든 연장. 원뿔형이나 사각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2 : 쇠줄이나 쇠판 따위를 끊는 데 쓰는 굳은 날이 있는 도구.
3 : 굳이 그러고자 하는 마음이 일어나는 모양.
4 : ‘청’의 방언
5 : ‘저렇게’의 방언
6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나주(羅州), 창원(昌原), 영광(靈光), 의성(義城) 등 10여 본이 현존한다.
7 : 천간(天干)의 넷째.
8 : 정남(正南)에서 서로 15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
9 : 이십사시(二十四時)의 열넷째 시. 오후 열두 시 반부터 한 시 반까지이다.
10 : 신라 때에, 나이에 따라 구분한 남자의 등급 가운데 하나. 20~59세의 나이로 제공(提公)의 아래, 조자(助子)의 위이다. 부역, 군역 따위에 동원되었다.
11 : 감괘(坎卦)와 손괘(巽卦)가 거듭된 괘. 나무 위에 물이 있음을 상징한다.
12 : 이십팔수의 스물두째 별자리의 별들. 주성(主星)은 쌍둥이자리에 있는 뮤성(μ星)이다.
13 : 이십팔수의 스물두째 별자리.
14 : 바른 일. 또는 바른길.
15 : 헤겔의 변증법에서, 논리를 전개하기 위한 최초의 명제. 또는 사물 발전의 최초의 단계.
16 : 신라 때에 둔, 상사서와 대도서의 으뜸 벼슬. 경덕왕 때, 대정(大正)을 고친 것으로, 뒤에 다시 대정으로 고쳤다.
17 : 고려 시대에 둔, 전농시ㆍ서운관ㆍ사의서ㆍ내알사ㆍ사복시의 으뜸 벼슬. 품계는 삼품에서 사품까지이다.
18 : 조선 시대에, 여러 관아에 둔 정삼품 당하관 벼슬.
19 : 조선 시대에, 종친에게 주던 정삼품의 봉작(封爵).
20 : 조선 시대에, 금군(禁軍)에 속한 서반(西斑) 잡직의 종팔품 벼슬.
21 : 간(澗)의 만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즉, 1040을 이른다.
22 : 예전에, 간의 억 배가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72을 이른다.
23 : ‘정하다’의 어근.
24 : 거리의 단위. 1정은 1간(間)의 60배로 약 109미터이다.
25 : 땅 넓이의 단위. 1정은 1단(段)의 10배, 곧 3,000평으로 약 9,917.4㎡이다.
26 : 단단하고 뿌리가 깊으며 형태가 못과 같은 부스럼. 열독이 모여 쌓여서 생기는데, 처음에는 좁쌀만 하게 생겼다가 급속히 퍼지며 통증이 심하다.
27 : 마음을 한곳에 모아 움직이지 아니하는 안정된 상태. 생득정과 수득정의 두 가지가 있다.
28 : ‘정하다’의 어근.
29 : ‘정립’의 북한어.
30 : ‘정립’의 북한어.
31 : 신라의 군영.
32 : 느끼어 일어나는 마음.
33 : 사랑이나 친근감을 느끼는 마음.
34 : 혼탁한 망상.
35 : 마음을 이루는 두 요소 가운데 감동적인 요소.
36 : 깃대 끝에 새의 깃으로 꾸민 장목을 늘어뜨린 의장기.
37 : 춤출 때 쓰는 의물의 하나. 둥글고 큰 유소 셋을 긴 대에 드리워 무무(武舞)를 인도할 때 앞세웠다.
38 : 총(銃), 노(櫓), 먹, 호미, 삽, 양초 따위를 세는 단위.
39 : 예전에, 청(淸)의 1억분의 1이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128을 이른다. 모든 수 가운데 가장 작은 수를 나타냈다.
40 : ‘정하다’의 어근.
41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한산(韓山), 하남(河南) 등 10여 본이 현존한다.
42 : 규모가 작은 배.
43 : 민속 음악에 쓰는 타악기. 놋쇠로 전이 없는 대야같이 만들어, 울의 한쪽에 두 개의 구멍을 내어 끈을 꿰고 채로 쳐서 소리를 낸다. 음색이 부드럽고 장중하다.
44 : 자루가 달린 종처럼 생긴 아악기. 행군 때에 망치를 오른손에 들고 친다.
45 : 다리가 세 개 달린 솥. 흔히 두 개의 귀가 붙어 있다.
46 : 이괘(離卦)와 손괘(巽卦)가 거듭된 괘. 나무 위에 불이 있음을 상징한다.
47 : 중국에서, 하나라의 우왕이 구주의 금속을 모아 만든 아홉 개의 솥. 처음에는 음식을 익히거나 죄인을 삶아 죽이는 데 쓰다가, 뒤에 왕위 전승의 보기(寶器)로 삼은 후 국가ㆍ왕위ㆍ제업을 뜻하게 되었다.
48 : 뼈 속에 있는 골수.
49 : 천지 만물을 생성하는 원천이 되는 기운.
50 : 만물의 근원을 이룬다는 신령스러운 기운.
51 : 수컷의 생식관에서 방출되는 액체. 암컷의 난자를 수정시킬 수 있는 정자와 정자가 살아 있도록 하여 주는 정액질이라는 액체가 포함되어 있다. 포유류는 정낭이나 전립샘 등에서 분비되어 정자와 함께 사정에 의하여 몸 밖으로 나온다.
52 : 사물 현상을 형상화하여 춤을 추는 사람.
53 : ‘정하다’의 어근.
54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경주(慶州), 동래(東萊), 연일(延日), 온양(溫陽), 진주(晉州), 하동(河東), 해주(海州) 등 120여 본이 현존한다.
55 : 중국 춘추 시대, 기원전 806년에 주나라 선왕(宣王)의 아우 환공(桓公)이 세운 나라. 지금의 산시성(陝西省) 화현(華縣)에 있다가 뒤에 허난성(河南省) 신정현(新鄭縣)으로 옮겼는데, 전국 시대 초기 기원전 375년에 한(韓)나라 애후(哀侯)에게 망하였다.
56 : 알약을 세는 단위.
57 : 주된 품계임을 나타내는 접두사.
58 : ‘정자’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59 : ‘음식점’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60 : ‘규모가 작은 배’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61 : ‘그 금액에 한정됨’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62 : ‘알약’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63 : ‘저녁’의 방언
64 : 집으로 들어오는 길목에 대문 대신 가로로 걸쳐 놓는, 길고 굵직한 나무
65 : ‘경’의 방언
66 : ‘뒷간’의 방언
67 : 중국 경극의 배역 가운데 하나로, 얼굴에 그림을 그리고 연기를 하는 배우. 주로 호탕한 성격의 인물을 연기하는 배역을 말한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04개) : 자, 작, 잔, 잘, 잙, 잠, 잡, 잣, 장, 잩, 잫, 재, 잭, 잰, 잴, 잼, 잽, 쟁, 쟈, 쟉, 쟐, 쟛, 쟤, 저, 적, 전, 젇, 절, 젉, 점, 접, 젓, 정, 젖, 젙, 제, 젠, 젤, 젬, 젯, 젱, 져, 젹, 젼, 졈, 졍, 졎, 조, 족, 존, 졸, 좀, 좁, 좃, 종, 좆, 좋, 좌, 좍, 좔, 좕, 좨, 좩, 좬, 죄, 죈, 죠, 주, 죽, 준, 줄, 줅, 줌, 중, 줴, 줸, 쥐, 쥔, 쥠, 쥥, 쥬, 쥭, 즈, 즉, 즌, 즐, 즑, 즘, 즙, 즛, 증, 지, 직, 진, 짇, 질, 짉, 짐, 집, 짓 ...

실전 끝말 잇기

정으로 끝나는 단어 (4,829개) : 원사 규정, 교원 검정, 부가 적정, 휴면 계정, 유전율 측정, 미니맥스 검정, 석인정, 컴퓨터법 재정, 범정, 국제 주석 협정, 양벌규정, 편면적 강행 규정, 재상정, 쌍행정, 악감정, 깨엿강정, 소수 판정, 완전 어울림 음정, 반잠수정, 가상 감정, 순주정, 쇠백정, 바깥 핀 고정, 권정, 비선형 결정, 주택 행정, 직접 기억 액세스 초기 설정, 개금정, 런던 협정, 중형 상륙정 ...
정으로 시작하는 단어 (6,854개) : 정, 정가, 정가교, 정가극, 정가금, 정가둔, 정가레, 정가로이, 정가롭다, 정가신, 정가운데, 정가제, 정가 중개 계약, 정가표, 정가하다, 정각, 정 각각 흉 각각, 정각구면투영법, 정각구상투영법, 정각기둥, 정각 데릭, 정각도, 정각 도법, 정각 방위 도법, 정각 방위 투영법, 정각분, 정각뿔, 정각뿔대, 정각 아치 댐, 정각 원추 도법 ...

시작 또는 끝이 같은 단어들

정으로 시작하는 단어 (6,854개) : 정, 정가, 정가교, 정가극, 정가금, 정가둔, 정가레, 정가로이, 정가롭다, 정가신, 정가운데, 정가제, 정가 중개 계약, 정가표, 정가하다, 정각, 정 각각 흉 각각, 정각구면투영법, 정각구상투영법, 정각기둥, 정각 데릭, 정각도, 정각 도법, 정각 방위 도법, 정각 방위 투영법, 정각분, 정각뿔, 정각뿔대, 정각 아치 댐, 정각 원추 도법 ...
정으로 끝나는 단어 (4,829개) : 원사 규정, 교원 검정, 부가 적정, 휴면 계정, 유전율 측정, 미니맥스 검정, 석인정, 컴퓨터법 재정, 범정, 국제 주석 협정, 양벌규정, 편면적 강행 규정, 재상정, 쌍행정, 악감정, 깨엿강정, 소수 판정, 완전 어울림 음정, 반잠수정, 가상 감정, 순주정, 쇠백정, 바깥 핀 고정, 권정, 비선형 결정, 주택 행정, 직접 기억 액세스 초기 설정, 개금정, 런던 협정, 중형 상륙정 ...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