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139개

  • 다다구 : 자그마한 것들이 한곳에 매우 심하게 붙어 있는 모양.
  • 다다귀 : ‘달구’의 방언
  • 다다기 : 1 늦게 익는 찰벼의 하나. 2 ‘달구’의 방언
  • 다단계 : 1 多段階 여러 단계. 2 多段階 판매원이 차례로 다른 사람을 판매 조직에 가입시켜 피라미드식으로 판매 조직을 확대하여 가는 방식으로 경영하는 회사.
  • 다당귀 : 헌데나 상처에서 피, 고름, 진물 따위가 나와 말라붙어 생긴 껍질. ⇒규범 표기는 ‘딱지’이다.
  • 다대기 : ←tata[叩]ki 양념의 하나. 끓는 간장이나 소금물에 마늘, 생강 따위를 다져 넣고 고춧가루를 뿌려 끓인 다음, 기름을 쳐서 볶은 것으로, 얼큰한 맛을 내는 데 쓴다.
  • 다데기 : ‘다’의 방언
  • 다독가 : 多讀家 글을 많이 읽는 사람.
  • 다두강 : Dadu[大肚]江 대만의 타이중저우(臺中州)를 흐르는 강. 대만산맥에서 시작하여 서남쪽으로 흘러 대만 해협으로 흘러 들어간다. 길이 112km.
  • 다듬개 : 눌러떼기로 잔손질을 하여 날을 만드는 데 쓰던 연모. 보통 뿔이나 뼈로 만들어졌다.
  • 다듬기 : 날 따위를 만들 때 잔손질로 매만지는 일.
  • 다디기 : 떼를 지어 다니는 물고기 무리
  • 닥다구 : ‘딱정벌레’의 방언
  • 닥다귀 : ‘딱따구리’의 방언
  • 닥다글 : ‘닥다글거리다’의 어근.
  • 단다구 : ‘단지’의 방언
  • 단대기 : ‘단지’의 방언
  • 단댱고 : ‘단장고’의 옛말.
  • 단도기 : 端度器 크기나 길이 따위를 재는 데 기준이 되는 계기(計器). 블록 게이지, 한계(限界) 게이지 따위가 있다.
  • 단독균 : 丹毒菌 단독을 일으키는 세균.
  • 단두귀 : 斷頭鬼 단두대에서 목이 잘리어 죽은 귀신.
  • 단등게 : ‘등겨’의 방언
  • 단디기 : ‘단지’의 방언
  • 달도가 : 怛忉歌 신라 소지왕 때 지었다는 노래. ≪점필재집(佔畢齋集)≫에 그 유래가 기술되어 있으나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 닭둘기 : 도심 지역에서 살면서 음식물을 많이 먹는 바람에 지나치게 살이 쪄서 잘 날지 못하는 비둘기를 닭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 담당관 : 擔當官 행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목적으로 행정 기관의 장을 보좌하여 정책의 기획 및 연구 조사를 맡아서 하는 관리나 공무원.
  • 담당구 : 擔當區 일정한 목적 아래 무엇을 보호하도록 법적으로 지정한 구역.
  • 당대기 : 1 ‘장대’의 방언 2 ‘바지랑대’의 방언
  • 당도계 : 糖度計 용액 중의 당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계기. 당(糖)의 수용액에는 광학 활성이 있어 그 선광(旋光)의 각도로부터 농도를 구한다.
  • 대단결 : 大團結 많은 사람이 크게 단결함. 또는 그런 단결.
  • 대당격 : 大唐鶪 때까칫과의 새. 때까치 가운데 가장 큰 종류로 편 날개의 길이는 11.5cm, 꽁지는 13cm 정도이며, 등은 엷은 누런색, 배는 흰색이고 날개에 두 개의 흰 줄이 있다. 가을에는 가슴, 옆구리가 짙은 붉은색으로 변한다. 새ㆍ곤충ㆍ개구리 따위를 잡아먹는데 한국, 만주,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 대대감 : 隊大監 신라 때에 둔, 각 군영을 지휘하던 무관 벼슬. 육두품 이상이 임용되었으며, 관등은 아찬에서 나마까지로 하였다.
  • 대대군 : 大隊群 특정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배속 관계를 유지하는 1개 대대 이상의 포병 부대.
  • 대대급 : 大隊級 군대 편성 단위 가운데 대대에 해당하는 급.
  • 대대기 : 大隊旗 대대를 표시하는 기.
  • 대도곡 : 大道曲 삼가(三歌)의 하나. 신라 경문왕 때에, 화랑 요원랑(邀元郞), 예흔랑(譽昕郞), 숙종랑(叔宗郞) 등이 군주가 나라를 다스리는 길을 노래했다는 것으로,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 대도교 : 大道敎 수운 최제우를 교조로 하는 동학의 한 교파. 유불선의 삼교에 풍수 사상을 교합한 일종의 민간 신앙이다.
  • 대도구 : 大道具 연극이나 영화 따위에서, 비교적 큰 건물이나 나무, 바위와 같은 장치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무대 미술의 일환으로, 움직일 수 없는 무대 장치나 무대 기구를 가리키며 르네상스 이후부터 사용되었다.
  • 대독관 : 對讀官 조선 시대에, 임금이 몸소 보게 하는 과거에서 독권관을 보좌하도록 하기 위하여 임시로 임명하던 벼슬. 정삼품 이하의 벼슬아치가 맡았다.
  • 대동강 : 1 大同江 고려 속요의 하나. 주나라의 무왕이 조선에 봉한 기자(箕子)가 여덟 조목의 가르침을 베풀어 예의를 숭상하는 풍속을 일으키자, 백성들이 기뻐하여 대동강을 황허강(黃河江)에, 영명령(永明嶺)을 쑹산산(嵩山山)에 비유하여 임금을 송축한 노래이다. 가사는 전하지 않고 제목과 노래의 유래만이 ≪고려사≫의 <악지(樂志)>에 전한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2 大同江 평안남도에 있는 강. 동백산, 소백산에서 시작하여 황해로 흘러 들어간다. 길이는 439km.
  • 대동계 : 1 大同系 중생대의 트라이아스기 후기에서 쥐라기 전기에 걸쳐 한반도에 퇴적된 육성층. 강원 남부, 충북, 평남 대동군 일대에 널리 분포한다. 2 大同契 조선 선조 22년(1589)에, 정여립이 모반을 꾀할 때 만든 단체. 매월 15일에 계원들이 모여 무술을 연마하고 주식(酒食)을 들면서 이씨 왕조를 몰아낼 계획을 꾸몄으며, 전주에서 임금이 날 것이라는 소문을 조작하기도 하였다. 3 大洞契 동네 전체를 대상으로 모은 계.
  • 대동관 : 大同館 조선 시대에, 중국의 사신을 접대하기 위하여 평양에 만들었던 객관.
  • 대동교 : 大同敎 박성호(朴性昊)가 수운교에서 독립하여 세운 종교. 1932년에 충청남도 대덕군에서 세웠으며, 사상은 수운 사상과 동일하다.
  • 대동군 : 大同郡 평안남도 서남쪽에 위치한 군. 농산물과 도자기, 석탄 따위가 많이 난다. 사동(寺洞), 낙랑(樂浪) 고적, 법운사(法雲寺) 따위의 명승지가 있다. 군청 소재지는 대동, 면적은 1,068㎢. 북한에서는 1952년 12월 행정 구역 개편 때에 일부 지역을 순안군에 넘겨주고 평원군 덕산면의 7개 리를 넘겨받아 재편성하였다.
  • 대동굿 : 大同굿 황해도의 해주, 옹진, 연평도 지역과 평안도 지역에서 성행하였던 마을굿. 지역 수호신인 당신(堂神)에게 마을의 평안과 생업의 번창을 기원하는 굿으로, 서해안 일대에서 행해지는 풍어제와 유사하다.
  • 대둔근 : 大臀筋 ‘큰볼기근’의 전 용어.
  • 댁대굴 : 작고 단단한 물건이 다른 물건에 부딪치면서 굴러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더당구 : ‘더뎅이’의 방언
  • 더더기 : ‘더덕’의 방언
  • 더덜기 : 1 더하기와 빼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더덕’의 방언
  • 더덩구 : 1 ‘더뎅이’의 방언 2 ‘헌데’의 방언
  • 더데기 : 1 ‘더덕’의 방언 2 ‘더뎅이’의 방언
  • 더디기 : ‘더뎅이’의 방언
  • 덕달귀 : 덕달鬼 낡은 집에 붙어 있다는 귀신.
  • 덕대갱 : 덕대坑 덕대가 맡아 광물을 캐는 구덩이.
  • 덕더글 : ‘덕더글거리다’의 어근.
  • 던디기 : ‘언덕’의 방언
  • 덧대구 : ‘무턱대고’의 방언
  • 덧돌기 : 덧突起 허리뼈의 ‘가로 돌기’ 바닥의 뒷부분에서 뻗은 작은 돌기.
  • 데데기 : ‘두더지’의 방언
  • 덱데굴 : 크고 단단한 물건이 다른 물건에 부딪치면서 굴러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도달각 : 1 到達角 무선 전파가 수신 안테나에 수신될 때, 수평선을 기준으로 전파 에너지의 주된 부분이 도달하는 방향을 측정한 각. 2 到達角 빛이나 매질이 물질에 닿을 때, 물질의 입사면과 이루는 각.
  • 도달격 : 到達格 문장에서 사람이나 사물이 도착점이 되는 것을 나타내는 의미격. 예를 들어 “민수는 힘들었지만 인내심으로 한라산의 정상에 올랐다.”에서 ‘한라산 정상’이 이것에 해당된다.
  • 도담고 : 導曇鼓 요고와 비슷하나 조금 작은, 채로 치는 북. 옛 중국과 인도 등지에서 썼다고 한다.
  • 도당굿 : 都堂굿 동네 사람들이 도당에 모여 그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 무당이 주재한다는 점이 동신제와 다르다.
  • 도덕가 : 1 道德家 도덕심이 많고 인격이 높은 사람. 2 道德歌 도덕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진 시가를 통틀어 이르는 말. 3 道德歌 조선 시대의 가사. 중국 성현들이 인ㆍ의ㆍ예ㆍ지의 도덕으로 지은 집을 구경하고 후생들도 그런 집을 지으라고 권장하는 내용으로, ≪잡사(雜史)≫에 실려 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총 7개의 의미)
  • 도덕경 : 道德經 중국의 도가서. 춘추 시대 말기에 노자가 난세를 피하여 함곡관에 이르렀을 때 윤희(尹喜)가 도를 묻는 데에 대한 대답으로 적어 준 책이라 전하나, 실제로는 전국 시대 도가의 언설을 모아 한(漢)나라 초기에 편찬한 것으로 추측된다. 내용은 우주 간에 존재하는 일종의 이법(理法)을 도(道)라 하며, 무위(無爲)의 치(治), 무위의 처세훈(處世訓)을 서술하였다.
  • 도덕계 : 道德界 도덕의 문제로 한정되는 범위. 좁은 의미로는 도덕법이 완전히 실현된 이상적 세계를 이르기도 한다.
  • 도덕과 : 道德科 초등학교나 중등학교에서, 윤리와 사상 따위를 가르치는 교과.
  • 도덕관 : 1 道德官 도덕적 선악이나 바르고 그릇됨을 분별해 내는 심리적 감각 기관. 17~18세기에 영국에서 논의되었는데, 섀프츠베리와 허치슨은 이러한 기관을 인간이 나면서부터 지니고 있다고 주장하였고, 흄은 후천적인 경험으로 얻어진 것이라고 보았다. 2 道德觀 도덕에 관한 관점이나 입장.
  • 도덕교 : 1 道德敎 도덕을 최고의 가치로 삼는 종교. 2 道德敎 무위자연설을 근간으로 하는 중국의 다신적 종교. 황제(黃帝)와 노자를 신격화한 태상 노군을 숭배하며, 노장 철학을 받아들이고 여기에 음양오행설과 신선 사상을 더하여 불로장생을 추구하였는데, 후한 말기 때 장도릉(張道陵)에 의해 그 종교적인 틀이 갖추어져 중국의 민간 습속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도덕극 : 道德劇 15~16세기에 중세 유럽의 기독교 교회에서 성행한 우의극(寓意劇). 권선징악을 주제로 하며, 대체로 인간의 미덕이 현세ㆍ육체ㆍ악마 따위와 싸우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 도독게 : ‘도둑고양이’의 방언
  • 도독괴 : ‘도둑고양이’의 방언
  • 도동곡 : 道東曲 조선 중종 때에 주세붕이 지은 경기체가. 도학이 우리나라에까지 미친 것을 찬양한 노래로, 모두 9장으로 되어 있다. 주세붕의 ≪무릉집(武陵集)≫에 전한다.
  • 도둑개 : 주인 없이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몰래 음식을 훔쳐 먹는 개.
  • 도둑게 : 바위겟과의 갑각류. 갑각은 길이가 3.4cm, 폭이 3.8cm 정도이고 사각형이며, 어두운 청록색이다. 바닷가 근처의 습지나 논밭 따위에 사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도둑괴 : 1 사람이 기르거나 돌보지 않는 고양이. ⇒규범 표기는 ‘도둑고양이’이다. 2 ‘도둑고양이’의 방언
  • 도둑글 : 남이 배우는 옆에서 몰래 듣고 배우는 글.
  • 도등국 : 陶登局 신라에서, 기와나 그릇을 굽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경덕왕 때에 와기전을 고친 것이다.
  • 독다귀 : ‘도마뱀’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다귀’로도 적는다.
  • 독단가 : 獨斷家 남과 상의하지 않고 혼자서 판단하거나 결정하는 성향이 있는 사람.
  • 독데기 : ‘돌덩이’의 방언
  • 독도구 : 독搗臼 ‘돌절구’의 방언
  • 독돔과 : 독돔科 조기강 농어목의 한 과. 아가미뚜껑에 가시가 없으며, 독돔 한 종이 있다.
  • 돌단검 : 돌短劍 ‘돌검’의 북한어.
  • 돌달고 : 돌로 만든 달구.
  • 돌담굴 : 돌담窟 석탄을 캔 빈 굴에 석탄 캘 때 나온 쓸모없는 잡풀 따위를 채우기 위하여 만든 굴.
  • 돌담길 : 돌로 쌓은 담이 이어져 있는 길.
  • 돌덜구 : ‘돌절구’의 방언
  • 돌뎅기 : ‘돌덩이’의 방언
  • 돌돔과 : 돌돔科 조기강 농어목의 한 과. 새부리 모양으로 합쳐진 이가 있다. 돌돔, 강담돔이 있다.
  • 동단국 : 東丹國 926년에 거란이 발해를 멸망시키고 발해의 옛 영토를 고쳐 부르던 이름. 동거란(東契丹)이란 뜻이다.
  • 동대구 : 凍大口 얼린 대구.
  • 동대기 : 그물 꿰매기 방법의 하나. 맞붙이는 두 그물의 사이에 그물코를 떠서 꿰매는 방법이다.
  • 동도금 : 銅鍍金 금속이나 비금속 제품에 구리 막을 입히는 일. 구리염 용액에 동판을 양극으로 하고 도금하려는 금속 제품을 음극으로 하여 전기 분해 하는 전해 도금과 도금하려는 제품의 표면에서 구리 이온을 환원시키는 화학 도금이 있다.
  • 동돌궐 : 東突厥 6세기 말 동서(東西)로 분열된 돌궐 가운데 오르콘강 유역을 본거지로 몽고 지방을 지배하던 유목 민족. 630년에 중국 당나라에 멸망당하였다가 682년에 재건하였으나, 8세기 중엽에 내부 분열과 위구르의 침입으로 멸망하였다.
  • 동등관 : 同等官 같은 등급의 벼슬.
  • 동등권 : 同等權 동등한 권리.
  • 되담금 : 담금질한 강철을 알맞은 온도로 다시 가열하였다가 공기 중에서 식혀 조직을 무르게 하여 내부 응력을 없앰. 또는 그런 조작. 담금질한 강철이 사용 중에 변형되거나 갈라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한다.
2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368 개의 단어) ⭐
  • 다다 : 아무쪼록 힘 미치는 데까지. 또는 될 수 있는 대로.
  • 다단 多段 : 여러 단.
  • 다달 : ‘다달거리다’의 어근.
  • 다담 茶啖 : 손님을 대접하기 위하여 내놓은 다과(茶菓) 따위.
  • 다당 : ‘뜰’의 방언
  • 다대 : 해어진 옷에 덧대어 깁는 헝겊 조각.
  • 다도 茶道 : 차를 달이거나 마실 때의 방식이나 예의범절.
  • 다독 : ‘다독거리다’의 어근.
  • 다두 多頭 : 한 몸에 머리가 여럿 있다는 뜻으로, 하나의 나라나 조직에 여러 명의 지도자가 있음을 이르는 말.
(총 633 개의 단어) 🎄
  • 다가 多價 : 결정되는 값이 여러 개인 것.
  • 다각 多角 : 여러 방면이나 부문.
  • 다간 : 소의 나이 두 살
  • 다갈 : ‘대갈’의 방언
  • 다감 多感 : ‘다감하다’의 어근.
  • 다강 : ‘성냥’의 방언
  • 다객 茶客 : 녹차를 마시기 위해 온 사람.
  • 다갤 : ‘달걀’의 방언
  • 다걀 : ‘달걀’의 방언
(총 100 개의 단어) 🍕
  • : 궁중에서, ‘숭늉’을 이르던 말.
  • : 뽕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대개 2~3개의 결각이 있다. 암수한그루로 봄에 단성화가 이삭 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9월에 붉은색의 핵과(核果)를 맺는다. 열매는 ‘저실’ 또는 ‘구수자’라 하여 약용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껍질은 한지를 만드는 데 쓴다. 산기슭의 양지바른 곳이나 밭둑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 ‘닻’의 방언
  • : 짚, 땔나무, 채소 따위의 묶음.
  • : ‘닻’의 옛말.
  • : 심마니들의 은어로, ‘불’을 이르는 말.
  • : 꿩과의 새. 머리에 붉은 볏이 있고 날개는 퇴화하여 잘 날지 못하며 다리는 튼튼하다. 육용과 난용으로 육종된 수많은 품종이 있으며, 가금으로 가장 많이 사육한다. 원종은 인도, 말레이시아 등지의 들꿩이다.
  • : 집의 둘레나 일정한 공간을 둘러막기 위하여 흙, 돌, 벽돌 따위로 쌓아 올린 것.
  • : ‘무렵’의 방언
(총 141 개의 단어) 🦄
  • : 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
  • : 낱낱의.
  • : 음식물에 짠맛을 내는 물질. 소금, 간장, 된장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 갓. 모자.
  • : 서쪽에서 부는 바람.
  • : ‘가루’의 방언
  • : ‘칼’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갈’로 나타난다.
  • : 감나무의 열매. 모양은 둥글거나 둥글넓적하고 빛이 붉다. 익기 전에는 떫은맛이 나지만 익으면 단맛이 나며 그대로 먹기도 하고 껍질을 벗겨 곶감을 만들기도 한다.
  • : 귤 따위의 껍질을 벗긴 열매가 속껍질로 따로따로 싸인 낱개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