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199개

  • 사자밥 : 使者밥 ‘사잣밥’의 북한어.
  • 사자본 : 死資本 현재 생산 과정에 이용되지 아니하나 장차 운용하려고 저축해 두는 자본. 다음 유동 자본의 준비금, 고정ㆍ설비ㆍ갱신을 위한 적립금 따위가 있다.
  • 사잣밥 : 使者밥 초상난 집에서 죽은 사람의 넋을 부를 때 저승사자에게 대접하는 밥. 밥 세 그릇, 술 석 잔, 벽지 한 권, 명태 세 마리, 짚신 세 켤레, 동전 몇 닢 따위를 차려 담 옆이나 지붕 모퉁이에 놓았다가 발인할 때 치운다.
  • 사잿밥 : ‘사잣밥’의 방언
  • 사적비 : 寺跡碑 절의 역사를 기록한 비석.
  • 사정부 : 司正府 신라 때에, 백관(百官)을 감찰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경덕왕 때 숙정대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이 이름으로 고쳤다.
  • 사제복 : 司祭服 주교와 신부 등이 공식적으로 입는 옷.
  • 사젯밥 : ‘사잣밥’의 방언
  • 사족백 : 四足白 네 굽이 흰 말.
  • 사주보 : 四柱褓 사주단자를 싸는 작은 보. 청홍의 비단으로 안팎을 다르게 만든다.
  • 사진반 : 寫眞班 신문사나 잡지사 따위에서 사진 촬영을 임무로 하는 반.
  • 사진발 : 寫眞발 사진을 찍은 데에서 나타나는 효과.
  • 사진별 : 寫眞別 각각의 사진으로 나눈 구별.
  • 사진병 : 寫眞兵 군에서, 사진 찍는 일을 맡아보는 병사.
  • 사진부 : 1 寫眞部 신문사나 잡지사 따위에서 사진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부. 2 寫眞部 백화점 따위에서 사진기 및 부속품의 판매와 수리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곳.
  • 삭정불 : 삭정이를 태우는 불.
  • 산자발 : 橵子발 지붕 서까래 위나 고미 위에 흙을 받쳐 기와를 이기 위하여 가는 나무오리나 싸리나무 따위로 엮은 것. 또는 그런 재료.
  • 산자벽 : 橵子壁 가는 나뭇가지나 수수깡 따위를 엮은 것을 기둥 사이에 넣고 앞뒤에 진흙을 바른 벽.
  • 산자부 : 産資部 ‘산업 자원부’를 줄여 이르던 말.
  • 산장밭 : 山莊밭 산속의 집에 딸려 있는 밭.
  • 산정법 : 算定法 계산하여 정하는 방법.
  • 산젯밥 : 山祭밥 산신제를 지낼 때 올리는 밥.
  • 산죽밭 : 山竹밭 산에서 나는 대나무가 우거진 밭.
  • 산중복 : 山中腹 ‘산허리’의 북한어.
  • 산질본 : 散帙本 질로 된 책 가운데서 몇 권이 빠지고 남아 있는 책.
  • 삼자비 : 三자비 장구, 자바라, 피리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삼재법 : 三災法 삼재의 재앙이 드는 나이가 되면 그것을 미리 막기 위하여 매 세 마리를 그려서 문 위에 붙이는 액막이 방법.
  • 삼재비 : 1 三재비 장구재비와 피리 부는 사람, 저 부는 사람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三재비 장구, 저, 피리의 세 가지로 연주하는 일.
  • 삼점법 : 三點法 하천 측량에서 평균 유속을 구하는 방법의 하나. 하천을 가로지르는 수직선 위에 임의의 지점들을 정하여 수심의 20%, 60%, 80%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하여 평균 유속을 구한다.
  • 삼점변 : 三點邊 ‘삼수변’의 북한어.
  • 삼족반 : 三足盤 다리가 세 개 달린 작은 상.
  • 삼중별 : 三重별 세 개의 별이 우연히 같은 방향에 있어, 눈으로 볼 때는 겹쳐서 하나로 보이는 별.
  • 삼중보 : 三重보 칠량집의 지붕틀에서 높이를 달리하여 삼 층으로 건 보.
  • 삼진법 : 1 三振法 강력 범죄를 세 번 반복한 범죄자에게 종신형을 선고하여 사회에서 격리시키는 법. 야구의 스트라이크 아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2 三進法 숫자 0, 1, 2만을 사용하여 모든 수를 표기하는 진법.
  • 상자병 : 橡子餠 상수리나 도토리를 삶아 껍질을 벗기고 말려 만든 가루에 멥쌀가루를 조금 섞어서 꿀물에 반죽하여 시루에 찐 떡.
  • 상장부 : 傷臟腑 사기(邪氣)가 몸 안으로 들어와서 내장이 손상된 것.
  • 상정법 : 詳定法 조선 시대에, 대동법의 내용을 지방의 인문 지리적 특수성에 따라 조정한 세부 규칙. 숙종 34년(1708)부터 황해도 해서청에서 주관하여 황해도 지방에서 시행하였다.
  • 상제법 : 商除法 구구법을 써서 하는 수판의 나눗셈법.
  • 상제본 : 上製本 실로 꿰맨 뒤, 가장자리를 자르고 다듬은 다음에 표지를 붙이는 제본 양식.
  • 상좌부 : 上座部 인도 소승 불교의 2대 부문(部門)의 하나. 석가모니가 죽은 후 100년쯤 되어 진보적인 대중부가 나타나자, 이에 맞서서 전통적인 교리를 지키려 하였다.
  • 상주벼 : 尙州벼 벼 품종의 하나. 천마벼와 오대벼를 교배하여 육성한 품종이다. 줄기는 굵고 단단하여 쓰러짐에 강한 편이다. 착립 밀도는 조밀한 편이며, 낟알은 까끄라기가 없고 탈립이 잘 안 된다. 쌀알은 맑고 둥근 모양의 소립종으로, 도정률과 완전미 비율이 높으며 밥맛이 매우 좋다.
  • 상주불 : 上住佛 염주 가운데에 꿴 가장 큰 구슬.
  • 상징법 : 象徵法 어떤 사물의 의미나 특징을 직접 드러내지 아니하고 다른 사물에 비유하여 표현하는 수법.
  • 새조밭 : ‘화전’의 방언
  • 샛젯불 : ‘겻불’의 방언
  • 생장부 : 生長部 분열 세포들이 모여 성장이 왕성한 부분.
  • 생전복 : 生全鰒 익히지 아니한 전복.
  • 생존법 : 1 生存法 살아남는 방법. 2 生存法 살아 있기 위한 방법. 또는 살아남기 위한 방법.
  • 생존비 : 生存費 노동자와 그 부양가족이 어느 정도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비용.
  • 생질부 : 甥姪婦 누이의 며느리.
  • 샤쥐블 : chasuble 목둘레선이 둥근 조끼 형태의 성직자 예복. 미사를 드릴 때 착용하는 판초 형태의 겉옷이다.
  • 서적비 : 書籍費 책을 사는 데 드는 돈.
  • 서전법 : 瑞典法 지반 사면의 활동에 대한 안전율을 계산하는 방법의 하나. 사면의 원통 활동면으로 잘리는 부분을 가늘고 길게 여러 부분으로 분할한 후, 각 부분의 균형을 고려하여 안전율이 최소가 되는 임계원(臨界圓)을 구함으로써 사면의 안전율을 구하는 방법이다.
  • 서주부 : 序奏部 악곡의 주요 부분에 들어가기 전에 도입적 역할로서 마련한 부분. 비교적 늦은 템포의 연주로, 교향곡이나 소나타의 머리 부분에 둔다.
  • 석자바 : ‘더펄이’의 방언
  • 석장볏 : 석張볏 석 장으로 된 닭의 볏.
  • 선장본 : 線裝本 인쇄된 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책장의 가운데를 접고 등 부분을 끈으로 튼튼하게 묶어 만든 책.
  • 선적분 : 船積分 배에 싣는 짐의 분량.
  • 선전반 : 宣傳班 선전을 하기 위하여 만든 반.
  • 선전부 : 宣傳部 북한에서, 당의 활동 내용을 선전하고 인민들을 선동하는 일을 담당하는 부서.
  • 선전비 : 宣傳費 주의나 주장, 사물의 존재, 효능 따위를 많은 사람이 알고 이해하도록 잘 설명하여 널리 알리는 데 드는 비용.
  • 선정비 : 善政碑 예전에, 백성을 어질게 다스린 벼슬아치를 표창하고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
  • 선조부 : 先祖父 돌아가신 할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 선종법 : 選種法 파종(播種)에 쓸 종자를 고르는 방법.
  • 선중부 : 先仲父 돌아가신 둘째아버지.
  • 선지불 : 先支拂 일이 끝나기 전이나 물건을 받기 전에 미리 돈을 치름.
  • 선진배 : 先進排 먼저 물건을 바치고 나중에 값을 받는 일.
  • 선진병 : 先進兵 앞장서서 나아가는 병사.
  • 선짓빛 : 선지의 색과 같이 진한 붉은빛.
  • 설자비 : 舌自痹 혀가 뻣뻣해져서 감각이 둔해지고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병.
  • 설전부 : 楔前部 대뇌 반구의 안쪽 면에서 쐐기 소엽과 중심 곁 소엽 사이의 부분.
  • 설정비 : 設定費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어떤 물건을 제한적으로 지배할 수 있는 권리를 새로이 발생시킬 때 드는 비용. 예를 들면, 담보나 근저당 따위를 설정할 때 드는 비용을 말한다.
  • 성작보 : 聖爵褓 성작ㆍ성반ㆍ성작개를 덮는 네모꼴의 보자기.
  • 성재방 : 成才房 조선 후기에 전악청에 속한 기관. 아동방, 장래방을 거친 사람들은 이곳에서 음악을 공부하여 악인(樂人)으로서의 모든 자격을 갖추게 되었다.
  • 성적별 : 成績別 성적에 따른 구별.
  • 성적분 : 成赤粉 혼인날 신부가 얼굴에 바르는 분.
  • 세자보 : 世子保 고려 시대에, 왕세자의 교육을 맡아보던 벼슬. 충렬왕 3년(1277)에 태자태보를 고친 것으로, 세자부의 아래이다.
  • 세자부 : 1 世子府 고려 시대에, 동궁에 속한 관아. 충렬왕 34년(1308)에 두었다. 2 世子傅 고려 시대에, 왕세자의 교육을 맡아보던 벼슬. 충렬왕 3년(1277)에 태자태부를 고친 것으로, 세자사의 아래이다. 3 世子傅 조선 시대에, 세자시강원에 속한 정일품 벼슬.
  • 세자빈 : 世子嬪 왕세자의 아내.
  • 세장비 : 細長比 기둥이 하중에 견디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 길이를 단면의 회전 반지름으로 나누어 구하는데, 값이 적을수록 큰 하중에 잘 견딘다.
  • 세절병 : 細切餠 잘게 만든 절편.
  • 세조보 : 世祖譜 ‘오음 약보’의 북한어.
  • 세종보 : 世宗譜 조선 세종 때 쓰던 기보법. 정간식 표기법으로서 서른두 칸을 한 장단으로 하였으며 십이율로 음정을 표시한 고정도법의 기보법이다.
  • 소자보 : 小字報 내붙이거나 걸어 두기 위하여 작은 글씨로 쓴 글.
  • 소자본 : 小資本 얼마 안 되는 약간의 자본. 또는 적은 밑천.
  • 소작법 : 燒灼法 병적 조직을 물리적ㆍ화학적으로 변질시켜서 생존 능력을 잃게 만들어 없애는 치료법. 주로 열, 고주파, 약물 따위를 사용하여 치료한다.
  • 소장병 : 小腸病 소장에 생리학적인 이상이 생기는 질병.
  • 소장본 : 所藏本 개인이나 공공 기관이 간직하고 있는 도서.
  • 소장부 : 小丈夫 도량이 좁고 졸렬한 사내.
  • 소재벌 : 小財閥 소규모의 기업을 거느리며 재력과 자본을 가지고 있는 자본가ㆍ기업가의 무리.
  • 소재별 : 素材別 소재에 따라서 나눈 구별.
  • 소재비 : 素材費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소비되어 그 제품의 기본적인 실체를 형성하는 물품의 비용.
  • 소정방 : 蘇定方 중국 당나라의 장군(592~667). 이름은 열(烈). 정방은 자(字). 현경(顯慶) 5년(660)에 나당(羅唐) 연합군의 대총관으로서 13만의 당군을 거느리고 백제의 사비성을 함락하고, 의자왕과 태자 융(隆)을 사로잡았다. 661년에는 평양성을 포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 소제방 : 小堤防 폐기물 매립지가 홍수기에 범람하지 않도록 쌓는 제방. 빗물의 유입과 폐기물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 소제부 : 1 掃除夫 청소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남자. 2 掃除婦 청소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여자.
  • 소주박 : 燒酒粕 소주를 내린 뒤에 남은 찌꺼기. 고구마, 타피오카, 옥수수 따위의 곡류에서 당을 뽑아내고 남은 부산물은 사료로 쓴다.
  • 소주방 : 燒廚房 조선 시대에 둔, 궁중의 육처소(六處所) 가운데 하나. 대궐 안의 음식을 만들던 곳이다.
  • 소주벵 : 燒酒벵 ‘소주병’의 방언
  • 소주병 : 燒酒甁 소주를 넣는 병.
  • 소준법 : 燒準法 금속의 열처리 방법 가운데 하나. 금속을 가열한 후 공기 중에서 서서히 식히는 것을 말한다. 결정이 너무 크거나 변형이 있을 때 이를 정상적인 상태로 만들기 위한 가공 방법이다.
2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815 개의 단어) 💕
  • 사자 사子 : 갓이나 탕건 따위의 먼지를 터는 솔. ⇒규범 표기는 ‘쇄자’이다.
  • 사잠 四箴 : 사물(四勿)에 대하여 정이(程頤)가 지은 잠언(箴言). 시잠, 언잠, 청잠, 동잠(動箴)을 이른다.
  • 사장 : 달구지 틀 사이에 대어 까는 널빤지. 짐 싣는 바닥이 된다.
  • 사재 史才 : 사관(史官)이 될 만한 재능.
  • 사쟁 四諍 : 비구들이 일으키는 네 가지 다툼. 곧 교리에 대하여 시비를 가리는 언쟁(言諍), 허물을 들추어내는 멱쟁(覓諍), 죄를 범하고도 아직 그 죄과가 드러나지 않은 때 그 죄상을 의논하는 범쟁(犯諍), 남이 이미 일으킨 갈마(羯磨)를 비평하여 언쟁하는 사쟁(事諍)을 이른다.
  • 사저 沙渚/砂渚 : 강가의 모래밭.
  • 사적 史的 : 역사에 관한. 또는 그런 것.
  • 사전 史前 : 문헌 사료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시대. 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를 이른다.
  • 사절 士節 : 사대부로서의 절개. 또는 선비의 절개.
(총 667 개의 단어) 🍕
  • 자바 Java : 네트워크상에서 쓸 수 있도록 미국 선 마이크로시스템(Sun Microsystems)사에서 개발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 자박 : 사금광에서 캐어 낸 생금(生金)의 큰 덩어리.
  • 자반 : 생선을 소금에 절여서 만든 반찬감. 또는 그것을 굽거나 쪄서 만든 반찬.
  • 자발 自發 : 남이 시키거나 요청하지 아니하였는데도 자기 스스로 나아가 행함.
  • 자밤 : 나물이나 양념 따위를 손가락을 모아서 그 끝으로 집을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
  • 자방 : ‘재봉틀’의 방언
  • 자백 自白 : 자기가 저지른 죄나 자기의 허물을 남들 앞에서 스스로 고백함. 또는 그 고백.
  • 자번 子煩 : 임신 때에 가슴이 답답하며 초조하고 쉽게 화를 내거나 정신적으로 우울하여지는 증상.
  • 자벌 自伐 : 자기 자신의 공(功)을 드러내어 스스로 자랑함.
(총 145 개의 단어) 🍦
  • : 올이 풀리지 아니하도록 단춧구멍이나 꿰맨 솔기 따위의 가장자리를 실로 감치는 일.
  • : 종이나 헝겊 따위를 칼이나 가위로 단번에 베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삯’의 방언
  • : 일한 데 대한 품값으로 주는 돈이나 물건.
  • :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땅의 부분.
  • : 사람이나 동물의 뼈를 싸서 몸을 이루는 부드러운 부분.
  • : 고양잇과의 포유류. 고양이와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55~90cm이며, 갈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다. 꼬리는 길고 사지는 짧으며 발톱은 작고 날카롭다. 밤에 활동하고 꿩, 다람쥐, 물고기, 닭 따위를 잡아먹는다. 5월경 2~4마리의 새끼를 낳고 산림 지대의 계곡과 암석층 가까운 곳에 사는데 한국, 인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사는 일. 또는 살아 있음.
  • : ‘삽’의 옛말.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총 112 개의 단어) 😀
  •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려고, 배에 댄 널빤지에 난 틈을 메우는 물건.
  • :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
  • : 얇게 펴서 다듬어 만든 조각.
  • :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 : 해가 져서 어두워진 때부터 다음 날 해가 떠서 밝아지기 전까지의 동안.
  • : 쌀, 보리 따위의 곡식을 씻어서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
  • baht : 타이의 화폐 단위. 1밧은 1사땅의 100배이다. 기호는 B.
  • : 윷판의 한가운데에 있는 밭.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