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604개

  • 아산군 : 牙山郡 충청남도에 있던 군.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온양시와 통합하여 아산시가 신설되면서 폐지되었다.
  • 아생기 : 芽生期 종자가 발아 후 주로 배유의 양분을 이용하여 생육하는 어린 시기. 이 시기는 아직 뿌리가 발달하지 못하여 뿌리에서 흡수되는 양분을 이용하지 못하고 배유에 저장된 영양분을 이용하여 생육하는 시기이다. 주간 잎 수만 증대되고 분얼 따위는 발생하지 않는다.
  • 아소견 : 我所見 모든 사물은 원래 가짜 존재로서 소유할 것이 없는데도 자신의 소유물이라고 고집하는 편견.
  • 아승가 : Asaṅga 인도의 불교론자(310?~390?). 미륵에게 대승 공관을 받아 법상(法相) 대승(大乘)의 교리를 선양하고, 많은 논소(論疏)를 지어 여러 대승경을 해석했다. 저서에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 ≪섭대승론≫ 따위가 있다.
  • 아승기 : 1 阿僧祇 수로 표현할 수 없는 가장 많은 수. 또는 그런 시간. 2 阿僧祇 항하사(恒河沙)의 만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즉 1056을 이른다. 3 阿僧祇 예전에, 항하사의 억 배가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104을 이른다.
  • 아시게 : ‘왕겨’의 방언
  • 아시김 : ‘애벌김’의 북한어.
  • 아실기 : acyl基 카복실산에서 하이드록시기가 떨어져 나간 일가(一價)의 원자단. 화학식은 RCO-.
  • 악송구 : 惡送球 야구에서, 자기편이 받기 어려울 정도로 공을 잘못 던지는 일.
  • 악습관 : 惡習慣 아주 나쁜 습관.
  • 악식가 : 惡食家 맛없고 거친 음식을 즐겨 먹는 사람.
  • 안사고 : 顔師古 중국 당나라의 학자(581~645). 이름은 주(籀). 사고는 자. 태종의 칙명으로 ≪오경정의≫ 편찬에 참가하였으며, 태자 승건(承乾)을 위하여 ≪한서(漢書)≫에 주를 달았다.
  • 안석궤 : 案席几 한자 부수의 하나. ‘凡’, ‘凱’ 따위에 쓰인 ‘几’를 이른다.
  • 안성군 : 安城郡 경기도에 있던 군. 1998년 4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안성시로 승격되었다.
  • 안세간 : 안방의 살림살이.
  • 안세고 : 安世高 고대 서아시아에 있었던 안식국의 승려(?~170?). 이름은 청(淸). 중국 후한 때 뤄양(洛陽)으로 와서 불경을 한역(漢譯)하였다.
  • 안소감 : ‘안감’의 방언
  • 안수길 : 安壽吉 소설가(1911~1977). 호는 남석(南石). 1935년에 단편 <적십자 병원장>으로 등단하였으며, 작품에 대하소설 <북간도>, <제3인간형> 따위가 있다.
  • 안식각 : 安息角 흙이나 모래 따위를 쌓아 올릴 때, 안전하게 안정을 이루는 경사각.
  • 안식교 : 安息敎 전통적으로 지켜온 안식일에 예배를 보는 개신교의 한 파.
  • 안식구 : 1 안食口 여자 식구. 2 안食口 자기 아내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 안식국 : 安息國 고대 서아시아에 있던 이란족의 파르티아 왕국을 중국에서 이르던 이름.
  • 안신경 : 眼神經 삼차 신경의 첫째 가지로 눈구멍 속의 구조와 윗눈꺼풀, 코, 이마 부위에 분포하는 가지를 내는 감각 신경.
  • 안심가 : 安心歌 조선 철종 12년(1861)에 최제우가 지은 가사. 자신의 부인에게 득도 이전의 고생을 위로하고 득도 이후 서학이라고 음해하는 데 대해 안심하라는 내용을 우회적으로 표현하며 임진왜란과 같은 외침을 경계하도록 지었다. ≪용담유사≫에 실려 있다.
  • 안심감 : 安心感 안심이 되는 마음.
  • 알성과 : 謁聖科 조선 시대에, 임금이 문묘에 참배한 뒤 실시하던 비정규적인 과거 시험.
  • 알소금 : 알 형태로 된 소금.
  • 알슬기 : 성숙한 난자가 난소에서 배출되는 일. 사람의 경우 보통 4주간을 주기로 일어난다.
  • 암상군 : 남을 시기하고 샘을 잘 내는 사람. ⇒남한 규범 표기는 ‘암상꾼’이다.
  • 암석계 : 巖石系 암석 역학에서, 암석에 대한 환경 인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암석구 : 巖石區 화성암의 분포 상황과 그 공통된 특징을 기준으로 나눈 일정한 지역. 그 지역의 지질 구조 및 지질 시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암석권 : 巖石圈 지구에서 주로 암석으로 된, 지각과 맨틀 상부. 지구의 가장 바깥층으로서 단단하다. 두께는 바다에서 약 70km, 대륙에서 약 150km이다.
  • 암수갏 : 한 쌍의 훌륭한 칼.
  • 암술군 : 암술群 배우자와 수정하지 않고 암컷 스스로 새로운 개체를 만들 수 있게 되어 있는 식물의 생식 기관. 식물의 암술을 구성하는 특수 부위가 모여 이루어져 있다.
  • 암시경 : 暗示鏡 ‘적외선 암시 장치’의 북한어.
  • 암시관 : 暗示管 눈에 보이지 아니하는 적외선 영상을 보이는 영상으로 바꾸는 전자선관. 밤에 적외선 투광기로 앞을 비추면 이것을 이용하여 500미터에서 600미터 범위 안의 물체를 감시할 수 있다.
  • 압상기 : 押上機 비탈진 곳에서 무거운 짐을 밀어 올리는 기계.
  • 압세기 : 1 ‘수두’의 방언 2 ‘홍역’의 방언
  • 압송기 : 壓送機 일정한 압력으로 돌 따위를 운반할 수 있게 만든 장치나 기계.
  • 압쇄기 : 壓碎機 눌러서 으깨어 부수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압슬기 : 壓膝器 압슬할 때 쓰던 형구(刑具). 목판을 많이 사용하였다.
  • 압시기 : 1 ‘수두’의 방언 2 ‘홍역’의 방언
  • 압실기 : 압실器 ‘압슬기’의 방언
  • 앙속관 : 仰屬官 상급 관아의 관원.
  • 앞생각 : 앞으로 닥쳐올 일에 대한 생각.
  • 앞서기 : 태권도에서, 서기 자세의 하나. 서 있는 자세에서 앞으로 한 걸음 내디뎌서 선 자세를 말한다. 양발의 너비는 한 걸음 정도가 적당하며 몸의 중심은 가운데에 위치한다. 몸통을 곧게 세워야 한다.
  • 앞선골 : ‘선행곡’의 북한어.
  • 앞세기 : ‘풍진’의 북한어.
  • 앞수갑 : 앞手匣 손을 앞으로 모아 채운 수갑.
  • 앞시금 : 땅재주에서, 몸을 공중으로 날린 뒤 손을 짚지 아니하고 앞으로 떨어지는 동작.
  • 애상곡 : 哀傷曲 슬프고 감상적인 곡조나 악곡.
  • 애서가 : 愛書家 책을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
  • 애서광 : 愛書狂 책을 지나치게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
  • 애소곰 : ‘왜소금’의 방언
  • 액션광 : action狂 액션 영화에 열광적으로 빠져 있는 사람.
  • 액션극 : action劇 격투, 추격, 살인 따위의 격렬한 행동이나 사건을 소재로 한 연극이나 영화.
  • 앵속각 : 罌粟殼 양귀비 열매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이질, 기침, 설사, 탈항(脫肛), 분변혈(糞便血) 따위에 약재로 쓴다.
  • 앵숙갓 : ‘앵속각’의 방언
  • 야삼경 : 夜三更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셋째 부분. 밤 열한 시에서 새벽 한 시 사이이다.
  • 야상곡 : 夜想曲 조용한 밤의 분위기를 나타낸 서정적인 피아노곡. 19세기 초엽에 필드(Field, J.)가 처음으로 작곡한 형식으로, 특정한 박자와 형식은 없고 세도막 형식 또는 론도 형식을 따른다. 쇼팽의 19곡이 가장 유명하다.
  • 야소간 : 야소間 ‘대장간’의 방언
  • 야소교 : 耶蘇敎 ‘예수교’의 음역어.
  • 야숭개 : ‘냉이’의 방언
  • 야시경 : 夜視鏡 밤 또는 완전히 어두운 상황에서 맨눈이나 보통 광학 기구로는 볼 수 없는 물체를 볼 수 있게 하는 기구.
  • 야심가 : 野心家 무엇을 이루어 보겠다는 욕망이나 소망을 품고 있는 사람.
  • 약사경 : 藥師經 약사유리광여래의 본원(本願)과 공덕을 설명한 경전.
  • 약성가 : 藥性歌 약재의 성질과 효능을 읊은 한시(漢詩).
  • 약소국 : 弱小國 정치ㆍ경제ㆍ군사적으로 힘이 약한 작은 나라.
  • 약소금 : 1 藥소금 두더지의 내장을 빼고 그 속에 넣어 불에 구웠다가 꺼낸 소금. 잇몸이 헐 때 이 소금으로 이를 닦아 치료한다. 2 藥소금 볶아서 곱게 빻은 소금. 눈을 씻거나 양치질하는 데 쓴다.
  • 약수건 : 藥手巾 달인 탕약을 거르거나 짜는 데 쓰는 베 헝겊.
  • 약시경 : 弱視鏡 약시의 눈을 훈련하거나 양쪽 눈의 시력을 측정하거나 증강하기 위한 기계.
  • 약시계 : 弱視計 약시의 눈을 훈련하거나 양쪽 눈의 시력을 측정하거나 증강하기 위한 기계.
  • 양사기 : 1 陽射機 사진술에서, 빛을 쪼여 주는 기계. 2 楊士奇 중국 명나라의 정치가ㆍ문인(1365~1444). 이름은 우(寓). 호는 동리선생(東里先生). 사기는 자. 인종, 선종, 영종의 삼대 황제를 섬기면서 내각의 권세를 확립하였다. 저서에 ≪역대명신주의(歷代名臣奏議)≫가 있다.
  • 양삭기 : 揚索機 밧줄을 감는 기계.
  • 양산가 : 陽山歌 신라 때의 가요. 신라 태종 무열왕 2년(655)에 화랑 김흠운(金歆運)이 백제 땅 양산에서 싸우다가 전사하자 당시 사람들이 이를 슬퍼하여 지어 부른 노래이다. ≪삼국사기≫ <열전(列傳)>에 실려 있다.
  • 양산군 : 梁山郡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던 군. 1996년 3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양산시로 승격되었다.
  • 양살구 : 洋살구 ‘비파’를 속되게 이르는 말.
  • 양생가 : 1 養生家 위생을 지키고 양생을 잘하는 사람. 2 養生家 양가(養家)와 생가(生家)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양생기 : 養生記 중국 원나라 왕규가 지은 의서(醫書).
  • 양서강 : 兩棲綱 척추동물문의 한 강. 어릴 때는 물속에서 아가미 호흡을 하고 변태 후에는 폐 호흡을 한다. 비늘, 털 따위는 없고 난생이며 변온 동물이다. 개구리, 도롱뇽 따위가 있다.
  • 양성가 : 養成家 가르쳐서 유능한 사람을 길러 내는 사람.
  • 양성공 : 養成工 기업이 직접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마련한 프로그램에 따라 여러 분야의 기술이나 기능 및 지식을 익히는 과정에 있는 사람.
  • 양성규 : 楊成規 발해의 장군(?~?). 위군상진장군(慰軍上鎭將軍) 정당성 좌윤(政堂省左允)으로, 871년 일본에 대사로 파견되어 일본으로부터 종삼위를 받았다.
  • 양소금 : 洋소금 서양에서 나는 소금.
  • 양수간 : 揚水間 무자위를 설치해 놓은 칸살이나 집.
  • 양수경 : 楊守敬 중국 청나라 말기에서 중화민국 초기의 학자(1839~1915). 자는 싱우(惺悟). 호는 린쑤(鄰蘇). 역사ㆍ지리의 고증(考證)에 뛰어나고 금석학자, 서가(書家)로서도 알려졌다. 저서에 ≪수경주소(水經注疏)≫, ≪역대여지도(歷代輿地圖)≫, ≪수서지리지고증(隋書地理誌考證)≫, ≪회명헌고(晦明軒稿)≫ 따위가 있다. ⇒규범 표기는 ‘양서우징’이다.
  • 양수계 : 量水計 수도 따위의 사용한 물의 분량을 재는 기구.
  • 양수관 : 揚水管 수직 축 펌프에서 그 하부에 있는 양수 작용을 하는 부분으로부터 토출구로 액체를 이끄는 관.
  • 양수궤 : 兩袖机 양쪽에 여러 층의 서랍이나 문이 달린 책상.
  • 양수기 : 1 揚水機 물을 퍼 올리는 기계. 2 量水器 수도 따위의 사용한 물의 분량을 재는 기구.
  • 양승경 : 楊承慶 발해의 장군(?~?). 보국대장군 행목저주(行木底州) 자사 병서소정(兵署少正) 개국공(開國公)으로, 758년 일본에 대사(大使)로 파견되어 일본으로부터 정삼위(正三位)를 받았다.
  • 양승기 : 揚繩機 새끼, 참바 따위를 꼬거나 실 따위를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도록 만든 작은 얼레.
  • 양식기 : 洋食器 양요리의 식사에 사용하는 기구나 용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어사검 : 御賜劍 임금이 신하에게 내려 준 칼을 이르던 말.
  • 어서각 : 御書閣 임금이 손수 쓴 글씨를 보관하던 전각(殿閣).
  • 어서기 : 금줄이 떨어졌다가 다시 시작되는 부분.
  • 어선군 : 漁船群 고기잡이를 하는 배의 무리.
  • 어세겸 : 魚世謙 조선 전기의 문신(1430~1500). 자는 자익(子益). 호는 서천(西川). 세조 때에 판서ㆍ대제학ㆍ좌의정을 지냈으며, 성현ㆍ유자광 등과 함께 고려 가요를 정리하였다. 저서에 ≪서천집(西川集)≫이 있다.
  • 어세공 : 魚世恭 조선 전기의 문신(1432~1486). 자는 자경(子敬). 병조 좌랑ㆍ좌승지를 지냈고, 이시애의 난 때에 공을 세워 아성군에 봉하여지고 우참찬이 되었는데, 경학에 능하여 특진관을 겸하였다.
  • 어세기 : 1 크기가 중간 정도 될 만큼 자란 큰 송아지. ⇒규범 표기는 ‘어스럭송아지’이다. 2 금줄이 떨어졌다가 다시 시작되는 부분. ⇒규범 표기는 ‘어서기’이다.
2 3 4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1,471 개의 단어) 🦚
  • 아사 亞使 : 정사(正使)를 돕던 버금 사신.
  • 아삭 : 연하고 싱싱한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보드랍게 베어 물 때 나는 소리.
  • 아산 牙山 : 충청남도의 서북부에 있는 시. 농업, 축산업 외에 임업, 수산업, 방직업이 발달하였다. 공업 단지로서의 개발 잠재력이 크며 명승지로 신정호, 영괴대, 온양 온천, 현충사 따위가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온양시와 아산군을 통합하여 신설된 도농 복합 형태의 시이다. 면적은 542.37㎢.
  • 아살 餓殺 : 굶겨 죽임.
  • 아삼 峨蔘 : 산형과에 속한 털전호의 생약명. 뿌리를 약용하며 통기에 효능이 있어 보중익기, 비허식창, 사지 무력 따위를 치료하는 데에 쓴다.
  • 아삽 亞翣 : ‘불삽’을 달리 이르는 말. ‘亞’ 자가 쓰인 것을 근거로 하여 붙은 이름이다.
  • 아상 我相 : 사상(四相)의 하나. 오온(五蘊)이 화합하여 생긴 몸과 마음에 참다운 ‘나’가 있다고 집착하는 견해를 이른다.
  • 아새 : ‘접때’의 방언
  • 아생 芽生 : 씨앗에서 싹이 틈.
(총 1,245 개의 단어) 💗
  • 사가 仕加 : 조선 시대에, 벼슬아치가 일정한 임기를 마치면 사만(仕滿)으로 품계를 올리던 일.
  • 사각 : 벼, 보리, 밀 따위를 벨 때 나는 소리.
  • 사간 司諫 : 조선 시대에, 사간원에 속한 종삼품 벼슬. 세조 12년(1466)에 지사간원사를 고친 것이다.
  • 사갈 : 산을 오를 때나 눈길을 걸을 때, 미끄러지지 아니하도록 굽에 못을 박은 나막신.
  • 사감 司勘 : 조선 시대에, 교서관에 속한 종구품 잡직(雜職). 후에 보자관으로 고쳤다.
  • 사갑 沙岬 : 해안에서 바다 가운데로 내밀어 곶을 이룬 모래사장.
  • 사갓 : ‘삿갓’의 방언
  • 사강 司講 : 예전에, 글방 학생 가운데서 뽑혀 강회(講會)에서 강(講)에 관한 기록과 문서를 맡던 사람.
  • 사개 : 상자 따위의 모퉁이를 끼워 맞추기 위하여 서로 맞물리는 끝을 들쭉날쭉하게 파낸 부분. 또는 그런 짜임새.
(총 161 개의 단어) 🦕
  • : 한글 자모 ‘ㅏ’의 이름.
  • : 있는 힘을 다하여 모질게 마구 쓰는 기운.
  • : ‘아우’의 방언
  • :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
  • : ‘안’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안’으로 나타난다.
  • :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 : 아는 일.
  • : ‘앞’의 옛말.
  • : ‘알’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알’로 나타난다.
(총 145 개의 단어) 🎊
  • : 올이 풀리지 아니하도록 단춧구멍이나 꿰맨 솔기 따위의 가장자리를 실로 감치는 일.
  • : 종이나 헝겊 따위를 칼이나 가위로 단번에 베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삯’의 방언
  • : 일한 데 대한 품값으로 주는 돈이나 물건.
  • :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땅의 부분.
  • : 사람이나 동물의 뼈를 싸서 몸을 이루는 부드러운 부분.
  • : 고양잇과의 포유류. 고양이와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55~90cm이며, 갈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다. 꼬리는 길고 사지는 짧으며 발톱은 작고 날카롭다. 밤에 활동하고 꿩, 다람쥐, 물고기, 닭 따위를 잡아먹는다. 5월경 2~4마리의 새끼를 낳고 산림 지대의 계곡과 암석층 가까운 곳에 사는데 한국, 인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사는 일. 또는 살아 있음.
  • : ‘삽’의 옛말.
(총 141 개의 단어) 🍇
  • : 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
  • : 낱낱의.
  • : 음식물에 짠맛을 내는 물질. 소금, 간장, 된장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 갓. 모자.
  • : 서쪽에서 부는 바람.
  • : ‘가루’의 방언
  • : ‘칼’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갈’로 나타난다.
  • : 감나무의 열매. 모양은 둥글거나 둥글넓적하고 빛이 붉다. 익기 전에는 떫은맛이 나지만 익으면 단맛이 나며 그대로 먹기도 하고 껍질을 벗겨 곶감을 만들기도 한다.
  • : 귤 따위의 껍질을 벗긴 열매가 속껍질로 따로따로 싸인 낱개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