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아니 , 아닌가 , , 새이름 , 아닐 , 아닐
  • 아닌가 , 크다 , 새 이름 , 의문사 , 오디새
  •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아니다'라는 의미 생성

# 에 관한 한자 모두 658

  • 擧棋不定 획순 擧棋定(거기부정)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擧: 棋: 바둑 不: 아닌가 定: 정할

  • 百不一失 획순 一失(백불일실) :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목적하는 바를 결코 잃지 않는다는 의미.
    百: 일백 不: 아니 一: 失: 잃을

  • 回避不得 획순 回避得(회피부득) : 피하고자 하여도 피할 수가 없음.
    回: 避: 피할 不: 아닌가 得: 얻을

  • 不踏覆轍 획순 踏覆轍(부답복철) :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不: 아닌가 踏: 밟을 覆: 뒤집힐 轍: 바퀴 자국

  • 終不出給 획순 出給(종불출급) : 빚돈을 갚지 않음.
    終: 끝날 不: 아니 出: 給: 넉넉할

  • 附體(혼불부체) : 혼백이 어지러이 흩어진다는 뜻으로, 몹시 놀라 넋을 잃음을 이르는 말.
    魂: 不: 아니 附: 붙을 體:

  • 好事出門惡事行千里(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 :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好: 좋을 事: 不: 아니 出: 門: 惡: 악할 事: 行: 千: 일천 里: 마을

  • 夜城(불야성)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不: 아니 夜: 城:

  • 精神一到何事成(정신일도하사불성) :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
    精: 정미할 神: 一: 到: 이를 何: 어찌 事: 不: 아니 成: 이룰

  • 言而信(천불언이신) : 하늘은 말하지 않아도 믿는다는 뜻으로, 하늘은 그 행하는 바가 떳떳하여 틀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天: 하늘 不: 아니 言: 말씀 而: 말 이을 信: 믿을

  • 忽忽樂(홀홀불락) : 실망스럽고 뒤숭숭하여 마음이 즐겁지 아니함.
    忽: 문득 忽: 문득 不: 아니 樂: 즐거울

  • 絃歌輟(현가불철) :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絃: 악기줄 歌: 노래 不: 아니 輟: 그칠

  • 天時如地利地利如人和(천시불여지리지리불여인화) : 하늘이 주는 좋은 때는 지리적(地理的) 이로움만 못하고 지리적(地理的) 이로움도 사람의 화합(和合)만 못함.
    天: 하늘 時: 不: 아니 如: 같을 地: 利: 날카로울 地: 利: 날카로울 不: 아니 如: 같을 人: 사람 和: 고를

  • 顔面知(안면부지) : 얼굴을 모름. 또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
    顔: 얼굴 面: 不: 아닌가 知:

  • 失時(농불실시) : 농사일에서 제때를 놓치지 않음.
    農: 농사 不: 아니 失: 잃을 時:

  • 無故進(무고부진) : 아무런 까닭 없이 나와야 할 자리에 나오지 않음.
    無: 없을 故: 不: 아닌가 進: 나아갈

  • 湖上鬻魚(호상불육어) : 호수가에서는 물고기를 팔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이 많은 곳에서는 같은 물건을 파는 어리석은 짓은 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湖: 호수 上: 不: 아니 鬻: 魚: 고기

  • 明鏡疲(명경불피) : 맑은 거울은 아무리 사람을 비추어도 피로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맑은 지혜와 슬기는 아무리 많이 써도 손상되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
    明: 밝을 鏡: 거울 不: 아니 疲: 피곤할

  • 費之惠(불비지혜) :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不: 아니 費: 之: 惠: 은혜

  • 畵虎成(화호불성) : 범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서투른 솜씨로 남의 언행(言行)을 흉내내려 하거나, 어려운 특수(特殊)한 일을 하려다가 도리어 잘못됨의 비유(比喩).
    畵: 그림 虎: 不: 아니 成: 이룰

  • 虛得(명불허득) : 명예나 명성은 헛되이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님.
    名: 이름 不: 아니 虛: 得: 얻을

  • 漆者畵(칠자불화) : 옻칠을 하는 사람은 그림을 그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두 가지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곧 분업을 의미함.
    漆: 者: 不: 아니 畵: 그림

  • 知下落(부지하락) : 어디로 가서 어떻게 되었는지를 알지 못함.
    不: 아닌가 知: 下: 아래 落: 떨어질

  • 大馬死(대마불사) : 바둑에서, 대마가 결국은 살길이 생겨 쉽게 죽지 않는 일.
    大: 馬: 不: 아니 死: 죽을

  • 博而精(박이부정) : 널리 알지만 정밀하지는 못함.
    博: 넓을 而: 말 이을 不: 아닌가 精: 정미할

  • 呼天聞(호천불문) : 하늘을 불러도 듣지 않는다는 뜻으로, 하늘을 부르며 죄의 억울함을 하소연하여도 하늘에 들리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呼: 부를 天: 하늘 不: 아니 聞: 들을

  • 糟糠飽(조강불포) : 가난하여 술찌끼와 쌀겨조차 배부르게 먹을 수 없음.
    糟: 지게미 糠: 不: 아니 飽: 배부를

  • 事事成(사사불성) : 일마다 이루어지지 않음. 또는 모든 일이 이루어지지 않음.
    事: 事: 不: 아니 成: 이룰

  • 道之說(부도지설) : 입에 담지 못할 소리.
    不: 아닌가 道: 之: 說: 말씀

  • 扁鵲能肉白骨(편작불능육백골) : 천하(天下)의 명의(名醫) 편작도 죽은 사람을 소생시킬 수는 없다는 뜻으로, 충신(忠臣)도 망국(亡國)을 유지(維持)할 수는 없음을 이르는 말.
    扁: 넓적할 鵲: 까치 不: 아니 能: 능할 肉: 고기 白: 骨:

  • 絡繹絶(낙역부절) : 인마(人馬)의 왕래가 계속 이어져 끊어지지 안는다는 뜻으로, 오고가는 것이 잦아 왕래가 끊어지지 않는다는 의미. 絡繹은 絡驛(낙역)의 의미.
    繹: 궁구할 不: 아닌가 絶: 끊을

  • 黨(불편부당) : 아주 공평하여 어느 쪽으로도 치우침이 없음.
    不: 아니 偏: 치우칠 不: 아닌가 黨: 무리

  • 如面面如眼(형불여면면불여안) : 사람됨을 알아보는 데는 형체(形體)보다는 얼굴, 얼굴보다는 눈.
    形: 형상 不: 아니 如: 같을 面: 面: 不: 아니 如: 같을 眼:

  • 言之化(불언지화) : 말하지 않는 교화(敎化)라는 뜻으로, 말로 하지 않고 자연히 德(덕)으로 주는 感化(감화)의 의미.
    不: 아니 言: 말씀 之: 化: 화할

  • 及舌(사불급설) : 아무리 빠른 사마(駟馬)라도 혀를 놀려서 하는 말을 따르지 못한다는 뜻으로, 소문은 순식간에 퍼지는 것이므로 말을 조심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駟: 사마 不: 아니 及: 미칠 舌:

  • 由徑(행불유경) : 길을 가는데 지름길을 말미암지 않는다는 뜻으로, 행동을 공명정대(公明正大)하게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行: 不: 아니 由: 말미암을 徑: 지름길

  • 確固動(확고부동) : 튼튼하고 굳어 흔들림이 없음.
    確: 굳을 固: 굳을 不: 아닌가 動: 움직일

  • 魚魯辨(어로불변) : 어(魚) 자와 노(魯) 자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무식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魚: 고기 魯: 노둔할 不: 아니 辨: 분별할

  • 和而壯(화이부장) : 온화하나 씩씩하지 않다는 뜻으로, 문장의 필치(筆致)가 온화(穩和)하기는 하나 웅장(雄壯)하지는 못하다는 의미.
    和: 고를 而: 말 이을 不: 아닌가 壯: 씩씩할

  • 識丁(목불식정) : 아주 간단한 글자인 ‘丁’ 자를 보고도 그것이 ‘고무래’인 줄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까막눈임을 이르는 말.
    目: 不: 아니 識: 丁: 넷째 천간

  • 相思忘(상사불망) : 서로 그리워하여 잊지 못함.
    相: 서로 思: 생각할 不: 아니 忘: 잊을

  • 聰明如鈍筆(총명불여둔필) : 총명(聰明)은 둔필만 못하다는 뜻으로, 아무리 기억력(記憶力)이 좋다 해도 그때그때 적어 두어야 한다는 말.
    聰: 귀밝을 明: 밝을 不: 아니 如: 같을 鈍: 무딜 筆:

  • 名實副(명실불부) : 명실이 서로 맞지 아니함.
    名: 이름 實: 열매 不: 아니 副: 버금

  • 驟雨終日(취우부종일) : 소나기는 하루 종일 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위세(威勢)를 부리는 자는 오래가지 않음을 비유하거나, 급히 서두르는 일이 오래 계속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權十年 (권불십년)].
    驟: 달릴 雨: 不: 아닌가 終: 끝날 日:

  • 埋骨埋名(매골불매명) : 뼈는 묻어도 이름은 묻을 수 없다는 뜻으로, 몸은 죽어 뼈를 묻지만, 그 이름은 영원히 전해짐을 이르는 말.
    埋: 묻을 骨: 不: 아니 埋: 묻을 名: 이름

  • 無事涉(무사불섭) : 천도교에서, 한울님은 간섭하지 않는 일이 없음을 이르는 말.
    無: 없을 事: 不: 아니 涉: 건널

  • 識間(부지불식간) : 생각하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는 사이.
    不: 아닌가 知: 不: 아니 識: 間:

  • 知歲月(부지세월) : 세월이 가는 줄을 알지 못함.
    不: 아닌가 知: 歲: 月:

  • 獨木成林(독목불성림) : 홀로 선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한다는 뜻으로, 여럿이 힘을 합쳐야 일이 된다는 의미(意味).
    獨: 홀로 木: 나무 不: 아니 成: 이룰 林: 수풀

  • 東西變(동서불변) : 동쪽과 서쪽을 분별(分別)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1) 안개 따위가 짙게 끼어서 주위(周圍)를 분간(分揀)하기 어려움 (2) 몽매(蒙昧)하여 아무 것도 모름을 이르는 말.
    東: 동녘 西: 서녘 不: 아니 變: 변할

  • 安席(좌불안석) : 앉아도 자리가 편안하지 않다는 뜻으로, 마음이 불안하거나 걱정스러워서 한군데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안절부절못하는 모양을 이르는 말.
    坐: 앉을 不: 아니 安: 편안할 席: 자리

  • 我與(세불아여) : 세월은 나와 더불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월이 덧없이 지나가 나를 기다리지 않는다는 의미.
    歲: 不: 아니 我: 與:

  • 生面知(생면부지) : 서로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어서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 또는 그런 관계.
    生: 面: 不: 아닌가 知:

  • 無言答(무언부답) : 대답 못할 말이 없음.
    無: 없을 言: 말씀 不: 아닌가 答: 대답할

  • 華而實(화이부실) :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그럴 듯하지만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이다.
    華: 빛날 而: 말 이을 不: 아닌가 實: 열매

  • 一塵染(일진불염) : (1)토지가 깨끗함. (2)절조가 깨끗함. (3)문장 따위가 뛰어나게 맑고 아름다움. (4)모든 것이 맑고 깨끗함. (5)티끌만큼도 물욕에 물들어 있지 아니함.
    一: 塵: 티끌 不: 아니 染: 물들일

  • 鳳鳥至(봉조부지) : 봉황새가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성인이 나면 봉황이 온다는 데서, 세상에 성인(聖人)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한탄하여 이르는 말의 의미.
    鳳: 봉새 鳥: 不: 아닌가 至: 이를

  • 反水收(반수불수) : 엎질러진 물은 다시 주워 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이미 지난 일을 후회(後悔)해도 아무 소용(所用)이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反: 돌이킬 水: 不: 아니 收: 거둘

  • 蔽風雨(불폐풍우) : 집이 허술하여서 바람과 비를 가리지 못함.
    不: 아니 蔽: 가릴 風: 바람 雨:

  • 永世忘(영세불망) : 영원히 잊지 아니함.
    永: 世: 인간 不: 아니 忘: 잊을

  • 逢時幸(봉시불행) : 공교롭게 아주 좋지 못한 때를 만남.
    逢: 만날 時: 不: 아니 幸: 다행할

  • 好事如無(호사불여무) : 좋은 일은 없는 것만 같지 못하다는 뜻으로, 좋은 일엔 흔히 나쁜 일이 뒤따르므로, 차라리 처음부터 좋은 일이 없는 것이 낫다는 의미. 곧 ‘無事(무사)’의 본래 의미와 통함.
    好: 좋을 事: 不: 아니 如: 같을 無: 없을

  • 再起能(재기불능) : 다시 일어설 능력(能力)이 없음.
    再: 起: 일어날 不: 아니 能: 능할

  • 讀書求甚解(독서불구심해) : 책을 읽는 데 이해(理解)하기 어려운 것은 그대로 접어두고 그 뜻을 깊이 연구(硏究)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독서(讀書)는 즐겨 하나 참된 학문(學文)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 되풀이하여 몇 번이고 숙독(熟讀)하면 뜻이 통(通)하지 않던 곳도 저절로 알게 됨. 숙독(熟讀)을 권(勸)하는 것.
    讀: 읽을 書: 不: 아니 求: 구할 甚: 심할 解:

  • 勞所得(불로소득) : 직접 일을 하지 아니하고 얻는 수익. 이자, 배당금, 지대(地代)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不: 아니 勞: 일할 所: 得: 얻을

  • 仰望及(앙망불급) : 우러러 바라보아도 미치지 못함.
    仰: 우러를 望: 바랄 不: 아니 及: 미칠

  • 若網在綱有條紊(약망재강유조불문) : 망(網)은 여러 가닥의 실을 떠서 만들어 풀어지기 쉬우나 한 가닥의 벼리로 위쪽 코를 꿰매면 조금도 흩어지지 않는다는 말.
    若: 같을 網: 그물 在: 있을 綱: 벼리 有: 있을 條: 가지 不: 아니 紊: 어지러울

  • 千古易(천고불역) : (1) 오래도록 변화(變化)하지 않음 (2) 영구(永久)히 변(變)하지 않음.
    千: 일천 古: 不: 아니 易: 바꿀

  • 善惡二(선악불이) : 선악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각각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평등 무차별한 하나의 이치로 돌아간다는 말.
    善: 착할 惡: 악할 不: 아니 二:

  • 談鬼(야불담귀) : 밤에는 귀신을 이야기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밤에는 가급적 귀신 관련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는 말.
    夜: 不: 아니 談: 말씀 鬼: 귀신

  • 重至(복부중지) : 복은 거듭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복은 한꺼번에 둘씩 오지 않는다는 의미.
    福: 不: 아닌가 重: 무거울 至: 이를

  • 知者言(지자불언) : 지자는 깊이 재능을 감추고 함부로 말을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노자(老子)≫ 56장에 나오는 말이다.
    知: 者: 不: 아니 言: 말씀

  • 積功之塔隳(적공지탑불휴) : 공든 탑이 무너지랴의 속담(俗談)의 한역.
    積: 쌓을 功: 之: 塔: 不: 아니 隳: 무너뜨릴

  • 百折屈(백절불굴) : 어떠한 난관에도 결코 굽히지 않음.
    百: 일백 折: 꺾을 不: 아니 屈: 굽을

  • 三寸律(삼촌불률) : 길이가 세 치밖에 안 되는 짧은 붓.
    三: 寸: 마디 不: 아니 律:

  • 助手及(조수불급) : 일이 썩 급(急)하여 손을 댈 나위가 없음.
    助: 도울 手: 不: 아니 及: 미칠

  • 兄弟如友生(형제불여우생) : 형제(兄弟)는 안락무사(安樂無事)한 때에는 친구(親舊)만 못함.
    兄: 弟: 아우 不: 아니 如: 같을 友: 生:

  • 相爲謀(도부동불상위모) :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道理)를 달리 하는 사람과는 서로 의논(議論)하지도 말라는 말.
    道: 不: 아닌가 同: 한가지 不: 아니 相: 서로 爲: 謀: 꾀할

  • 萬萬可(만만불가) : 전혀 옳지 아니함.
    萬: 일만 萬: 일만 不: 아니 可: 옳을

  • 無物存(무물부존) : 무엇이든지 없는 물건이 없음.
    無: 없을 物: 만물 不: 아닌가 存: 있을

  • 無據測(무거불측) : (1)성질이 말할 수 없이 흉측함. (2)근거가 없어 헤아리기 어려움.
    無: 없을 據: 의거할 不: 아니 測:

  • 離(부즉불리) : (1)두 관계가 붙지도 아니하고 떨어지지도 아니함. (2)찬성도 아니 하고 반대도 아니 함.
    不: 아닌가 卽: 不: 아니 離: 떠날

  • 黑白分(흑백불분) : (1)검은 것과 흰 것을 구별하지 못함. (2)잘잘못이 분명하지 아니함.
    黑: 검을 白: 不: 아니 分: 나눌

  • 拾遺(도불습유) : 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나라가 잘 다스려져 백성(百姓)의 풍속(風俗)이 돈후(敦厚)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2) 형벌(刑罰)이 준엄(峻嚴)하여 백성(百姓)이 법을 범(犯)하지 아니함의 뜻으로도 쓰임.
    途: 不: 아니 拾: 주울 遺: 남길

  • 得三(초부득삼) : 첫 번째 얻지 못해도 세 번째라는 뜻으로, 꾸준히 노력하면 성공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
    初: 처음 不: 아닌가 得: 얻을 三:

  • 之書(목불지서) : 눈으로 책을 알지 못함.
    目: 不: 아니 之: 書:

  • 繫之舟(불계지주) : (1)매어 놓지 않는 배라는 뜻으로, 속세를 초월한 무념무상의 경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정처 없이 방랑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不: 아니 繫: 之: 舟:

  • 去(삼불거) :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三: 不: 아니 去:

  • 千金死百金刑(천금불사백금불형) : 천금은 죽지 않고 백금은 형벌(刑罰)을 받지 않는다는 뜻으로, 죄(罪)를 다스리는 자가 사리사욕(私利私慾)에 사로잡혀 천금을 쓰는 자는 죽을 죄(罪)를 면해 주고, 백금을 쓰는 자는 형벌(刑罰)을 면해 줌을 이르는 말.
    千: 일천 金: 不: 아니 死: 죽을 百: 일백 金: 不: 아니 刑: 형벌

  • 半字成(반자불성) : (1)글자를 반만 쓰고 중간에 그만둠. (2)일을 중도에서 그만두어 이루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半: 字: 글자 不: 아니 成: 이룰

  • 無微測(무미불측) : 아주 작은 일까지 샅샅이 다 헤아림.
    無: 없을 微: 작을 不: 아니 測:

  • 誠無物(불성무물) : (불성무물) 정성이 없으면 사물도 없다는 뜻으로, 정성은 모든 사물의 근본이므로, 정성이 없는 곳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
    不: 아니 誠: 정성 無: 없을 物: 만물

  • 過猶及(과유불급) :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선진편(先進篇)>에 나오는 말이다.
    過: 지날 猶: 오히려 不: 아니 及: 미칠

  • 蛇無頭行(사무두불행) : 뱀이 머리가 없으면 나아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무리를 지어 횡행하는 자는 두목이 없으면 일을 할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蛇: 無: 없을 頭: 머리 不: 아니 行:

  • 忘危(안불망위) : 편안한 가운데서도 위태로움을 잊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항상 마음을 놓지 않고 스스로를 경계함을 이르는 말.
    安: 편안할 不: 아니 忘: 잊을 危: 위태할

  • 非帛煖(비백불난) : 비단이 아니면 따뜻하지 않다는 뜻으로, 비단옷이 아니면 따뜻함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쇠약해진 노년기를 이르는 말.
    非: 아닐 帛: 비단 不: 아니 煖: 따뜻할

  • 猶爲足(유위부족) : 오히려 부족함.
    猶: 오히려 爲: 不: 아닌가 足:

  • 對案食思得良饌(대안불식사득량찬) : 밥상을 대하고서 잡수시지 않으면 좋은 음식(飮食) 얻을 것을 생각함.
    對: 대답할 案: 책상 不: 아니 食: 思: 생각할 得: 얻을 良: 좋을 饌: 반찬

  • 表裏同(표리부동) : 겉으로 드러나는 언행과 속으로 가지는 생각이 다름.
    表: 裏: 不: 아닌가 同: 한가지

  • 或可或可(혹가혹불가) : 혹은 옳다하고 혹은 옳지 않다고 한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은 옳다 하고 어떤 사람은 그르다 하여 가부(可否)가 결정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或: 可: 옳을 或: 不: 아니 可: 옳을

2 3 4
#자식 104 #가운데 104 #얼굴 99 #형용 67 #근심 65 #생활 82 #천하 94 #백성 105 #서로 71 #형제 68 #어버이 60 #신하 62 #시대 114 #때문 58 #생각 236 #이익 89 #어머니 72 #고사 108 #비유 1177 #상태 110 #머리 141 #자연 73 #군자 56 #아래 86 #인간 65 #학문 107 #상황 119 #재능 61 #나이 97 #나무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