在家貧亦好(재가빈역호) 풀이

在家貧亦好

재가빈역호

제 집에 있으면 가난하여도 마음은 편하다는 뜻으로, 객지(客地)에 있는 사람이 고향(故鄕)을 그리워하는 심정(心情)을 이르는 말.

#마음 #사람 # #고향 #객지 #가난 #심정


한자 풀이:
  • (있을 ): 있다, 찾다, 살피다, 제멋대로 하다, …에.
  • (집 ): 집, 마나님, 일족, 거주(居住)하다, 도성(都城).
  • (가난할 ): 가난하다, 가난, 가난한 사람, 적다, 빈곤함.
  • (또 ): 또, 어찌, 그래도, 크다, 또한.
  • (좋을 ): 좋다, 좋아하다, 사랑함, 아름답다, 우의.
🍒 在家貧亦好(재가빈역호) 웹스토리 보기
在家貧亦好(재가빈역호)의 의미: 제 집에 있으면 가난하여도 마음은 편하다는 뜻으로, 객지(客地)에 있는 사람이 고향(故鄕)을 그리워하는 심정(心情)을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奢者心常貧 획순 奢者心常(사자심상) :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 者一燈(자일등)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仕非爲(사비위) : 관리(官吏)는 빈한해도 녹을 먹기 위(爲)해 일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관리(官吏)된 사람은 德(덕)을 천하(天下)에 펴야 한다는 말.


在家貧亦好(재가빈역호) 관련 한자

  • 奢者心常貧 획순 奢者心常貧(사자심상빈) :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 樂而忘憂(낙이망우)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 貧者一燈(빈자일등)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望雲 획순 望雲(망운) :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이 타향에서 부모가 계신 쪽의 구름을 바라보고 어버이를 그리워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 戴星之行(대성지행) : 타향에서 부모의 부음(訃音)을 받고 밤을 새워 돌아가는 길.

  • 望雲 획순 望雲(망운) :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이 타향에서 부모가 계신 쪽의 구름을 바라보고 어버이를 그리워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 樞路之鄕(추로지향) : 공맹(孔孟)의 고향(故鄕)이란 뜻으로, 예절(禮節)을 알고 학문(學文)이 왕성(旺盛)한 곳을 이르는 말.

#인간 65 #유래 280 #의지 69 #경우 64 #관계 90 #가운데 104 #세상 339 #가난 90 #자신 208 #고사 108 #이익 89 #군자 56 #예전 60 #노력 69 #학문 107 #모양 142 #신하 62 #재앙 64 #조금 96 #여자 101 #자연 73 #소리 96 #근본 66 #비유 1177 #나라 392 #자리 94 #의미 1817 #태도 72 #서로 71 #재주 8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2개) : 자기 방어학, 종교 법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