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아들 , 사랑할
  • 아들 , 사랑하다 , 자식 , 새끼 , 남자의 통칭
  •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 에 관한 한자 모두 138

  • 是父是子 획순 是父是(시부시자) :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뜻으로, 그 아비를 닮은 그 자식이라는 의미에서 부자(父)가 모두 훌륭함을 이르는 말.
    是: 옳을 父: 아비 是: 옳을 子: 아들

  • 嗟爾小子敬受此 획순 嗟爾小敬受此(書차이소자경수서) : 자, 너희 어린이들아! 공경(恭敬)하는 마음으로 이글을 받아들여야 함.

  • 京華子弟 획순 京華弟(경화자제) : 번화한 서울에서 곱게 자란 젊은이라는 뜻으로, 주로 부잣집 자녀들을 이르는 말.
    京: 서울 華: 빛날 子: 아들 弟: 아우

  • 孝子愛日 획순 愛日(효자애일) : 효자는 날을 아낀다는 뜻으로, 될 수 있는 한 오래 부모에게 효성을 다하여 섬기고자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孝: 효도 子: 아들 愛: 사랑 日:

  • 醉中無天子 획순 醉中無天(취중무천자) : 취중에는 천자도 없다는 뜻으로, 술에 취하면 두렵거나 무서운 것이 없어짐을 이르는 말.
    醉: 취할 中: 가운데 無: 없을 天: 하늘 子: 아들

  • 梅妻鶴(매처학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梅: 매화나무 妻: 아내 鶴: 子: 아들

  • 父爲綱(부위자강) : 삼강(三綱)의 하나.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父: 아비 爲: 子: 아들 綱: 벼리

  • 父慈孝(부자자효) : 부모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도한다는 뜻으로, 어버이는 자녀에게 자애로운 사랑을 베풀고 자녀는 어버이에게 효성스러워야 한다는 의미.
    父: 아비 慈: 사랑 子: 아들 孝: 효도

  • 韓亡房奮(한망자방분) : 한(韓)나라가 망(亡)하자 장자방(張房)이 성을 낸다는 뜻으로, 사영운이 스스로 자기(自己)를 장자방에 비유(比喩)한 말.
    韓: 나라 이름 亡: 잃을 子: 아들 房: 奮: 떨칠

  • 風雲才(풍운재자) : 비바람을 무릅쓰는 인재라는 뜻으로, 어지러운 세상에 위급하고 곤란한 상황을 무릅쓰고 활약하여 공명을 세우는 전도양양(前途揚揚)한 청년을 이르는 말.
    風: 바람 雲: 구름 才: 재주 子: 아들

  • 妻城獄(처성자옥) : 아내는 성(城)이고 자식은 감옥이라는 뜻으로, 처자가 있는 사람은 거기에 얽매여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妻: 아내 城: 子: 아들 獄:

  • 雪中君(설중군자) : 눈 속의 군자라는 뜻으로, 사군자(四君)의 하나인 매화의 딴 이름임.
    雪: 中: 가운데 君: 임금 子: 아들

  • 治家敎(치가교자) : 집안을 다스리고 자손을 가르침.
    治: 다스릴 家: 敎: 가르칠 子: 아들

  • 父兄弟(부형자제) : 아버지나 형의 가르침을 받고 자란 젊은이.
    父: 아비 兄: 子: 아들 弟: 아우

  • 無識君(무식군자) : 배우지 못하여 지식이나 식견이 없어도 말과 품행이 올바른 사람.
    無: 없을 識: 君: 임금 子: 아들

  • 無媒獨(무매독자) : 딸이 없는 이의 외아들.
    無: 없을 媒: 중매 獨: 홀로 子: 아들

  • 慈母有敗(자모유패자) : 자애(慈愛)가 지나친 어머니의 슬하에서는 도리어 방자(放恣)하고 버릇없는 자식(息)이 나옴을 이르는 말.
    慈: 사랑 母: 어미 有: 있을 敗: 패할 子: 아들

  • 善懷(여자선회) : 여자(女)는 무슨 생각에 잠기기를 잘함.
    女: 子: 아들 善: 착할 懷: 품을

  • 血誠男(혈성남자) : 용감(勇敢)스럽고 의기(義氣)가 있어서 죽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나이.
    血: 誠: 정성 男: 사내 子: 아들

  • 莫知其之惡(막지기자지악) : 자기 자식의 잘못을 모른다는 뜻으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맹목적임을 이르는 말.
    莫: 없을 知: 其: 子: 아들 之: 惡: 악할

  • 事親如此可謂人(사친여차가위인자) : 어버이 섬기기를 이와 같이 하면 가히 사람의 자식(息)이라 이를 것임.
    事: 親: 친할 如: 같을 此: 可: 옳을 謂: 이를 人: 사람 子: 아들

  • 奸臣賊(간신적자) : 간사한 신하와 부모를 거스르는 자식.
    奸: 범할 臣: 신하 賊: 도둑 子: 아들

  • 千孫(백자천손) :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자손.
    百: 일백 子: 아들 千: 일천 孫: 손자

  • 野心(랑자야심) : (1)이리는 본래의 야성이 있어 좀처럼 길들여지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신의가 없는 사람은 쉽게 교화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2)‘낭자야심’의 북한어.
    子: 아들 野: 心: 마음

  • 輪遞天(윤체천자) : 바퀴가 돌 듯 갈마드는 천자라는 뜻으로, 돌아가며 한번씩 하는 천자자리인 ‘돌림천자’라는 의미인데, 사대주의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호방한 기상을 엿볼 수 있는 백호(白湖) 임제(林悌)의 주장에서 유래함.[출전]《성호사설(星湖僿說)》〈선희학(善戱謔)>.
    遞: 갈마들 天: 하늘 子: 아들

  • 泗上弟(사상제자) : 공자의 제자.
    泗: 내 이름 上: 弟: 아우 子: 아들

  • 父傳承(부전자승) : 아들의 성격이나 생활 습관 따위가 아버지로부터 대물림된 것처럼 같거나 비슷함.
    父: 아비 傳: 전할 子: 아들 承: 이을

  • 佳人(재자가인) : 재주 있는 남자와 아름다운 여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才: 재주 子: 아들 佳: 아름다울 人: 사람

  • 多病(재자다병) : 재주 있는 사람은 병이 잦음.
    才: 재주 子: 아들 多: 많을 病:

  • 之尊(천자지존) : 천자(天)는 인간(人間) 사회(社會)에서 가장 존귀(尊貴)한 것이라는 뜻.
    天: 하늘 子: 아들 之: 尊: 높을

  • 爲父隱(자위부은) : 아들이 아버지를 위해서 숨긴다는 뜻으로, 자식이 타인을 위해 아비의 나쁜 일을 숨기는 것처럼 부자간의 천륜(天倫)을 일컫는 말. <論語>.
    子: 아들 爲: 父: 아비 隱: 숨을

  • 有親(부자유친) : 오륜(五倫)의 하나.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父: 아비 子: 아들 有: 있을 親: 친할

  • 妻梅鶴(처매자학) : 매화(梅花)를 아내로 삼고, 학을 아들로 삼음.
    妻: 아내 梅: 매화나무 子: 아들 鶴:

  • 梟愛其(효애기자) : 올빼미는 그 새끼를 사랑한다는 뜻인데, 올빼미 새끼는 자란 후에 그 어미를 잡아먹는 데서, 은혜를 원수로 갚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梟: 올빼미 愛: 사랑 其: 子: 아들

  • 之情(애자지정) : 자식을 사랑하는 정.
    愛: 사랑 子: 아들 之: 情:

  • 欲養而親不待(자욕양이친부대) : 자식(息)이 부모(父母)에게 봉양(奉養)하고자 하나 부모(父母)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뜻으로, 효도(孝道)를 다하지 못한 채 부모(父母)를 잃은 자식(息)의 슬픔을 가리키는 말로 부모(父母)가 살아계실 때 효도(孝道)를 다하라는 뜻.
    子: 아들 欲: 하고자 할 養: 기를 而: 말 이을 親: 친할 不: 아닌가 待: 기다릴

  • 正人君(정인군자) : 마음씨가 올바르며 학식과 덕행이 높고 어진 사람.
    正: 바를 人: 사람 君: 임금 子: 아들

  • 之心(적자지심) : 죄악에 물들지 아니하고 순수하며 거짓이 없는 마음.
    赤: 붉을 子: 아들 之: 心: 마음

  • 無父(천자무부) : 천자(天)는 지극(至極)히 존귀(尊貴)하여 그보다 더 존귀(尊貴)한 자가 없음.
    天: 하늘 子: 아들 無: 없을 父: 아비

  • 十二(매자십이) : 매실나무는 심은 지 12년이 되어야 열매를 맺는다는 말.
    梅: 매화나무 子: 아들 十: 二:

  • 有親君臣有義(부자유친군신유의) :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臣下) 사이에는 의리(義理)가 있어야 함.
    父: 아비 子: 아들 有: 있을 親: 친할 君: 임금 臣: 신하 有: 있을 義: 옳을

  • 自稱君(자칭군자) : 자기를 스스로 군자라고 이른다는 뜻으로, 자기 자랑이 매우 심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自: 스스로 稱: 일컬을 君: 임금 子: 아들

  • 三尺童(삼척동자) : (1)키가 석 자 정도밖에 되지 않는 어린아이. 철없는 어린아이를 이른다. (2)무식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三: 尺: 童: 아이 子: 아들

  • 時術(아자시술) : 나방의 새끼는 작은 벌레이지만 때로는 그 어미가 하는 일을 배워 흙을 물어다 작은 개미둑을 이루고 나중에는 큰 개미둑을 이룬다는 뜻으로, 학자(學者)가 쉼 없이 학문(學問)을 닦아 큰 도(道)를 성취(成就)함을 이르는 말.
    蛾: 나방 子: 아들 時: 術:

  • 大人君(대인군자) : 말과 행실이 바르고 점잖으며 덕이 높은 사람.
    大: 人: 사람 君: 임금 子: 아들

  • 息知親力(양자식지친력) : 자식을 길어야봐야 어버이의 힘든 것을 안다는 뜻으로, 부모가 되어보아야 지고지순(至高至純)한 부모의 사랑을 깨달을 수 있다는 의미.
    養: 기를 子: 아들 息: 숨쉴 知: 親: 친할 力:

  • 孝衰於妻(효쇠어처자) : 효는 처자식에게서 쇠퇴해진다는 뜻으로, 사람은 처자를 가지면 부모를 섬기는 효심이 쇠해짐을 비유함.
    孝: 효도 衰: 쇠할 於: 어조사 妻: 아내 子: 아들

  • 泣絲(묵자읍사) : 묵자가 실을 보고 울었다는 뜻으로, 사람은 습관(習慣)이나 환경(環境)에 따라 그 성품(性品)이 착해지기도 악해지기도 함을 이르는 말.
    墨: 子: 아들 泣: 絲:

  • 路負米(자로부미) : 공자(孔)의 제자(弟)인 路(자로)는 가난하여 매일(每日) 쌀을 등짐으로 져서 백 리 밖까지 운반(運搬)하여 그 운임(運賃)을 받아 양친(兩親)을 봉양(奉養)했다함.
    子: 아들 路: 負: 米:

  • 生生不生(생생자불생) : 삶에 집착(執着)하는 자는 도리어 살지 못함.
    生: 生: 子: 아들 不: 아니 生:

  • 奮汛(사자분신) : 사자가 세찬 기세(氣勢)로 돌진(突進)한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에 대(對)해서 맹렬(猛烈)한 기세(氣勢)로 있는 힘을 다해 싸움.
    獅: 사자 子: 아들 奮: 떨칠 汛: 물뿌릴

  • 落榜擧(낙방거자) : (1)‘낙방거자’의 북한어. (2)과거에 떨어진 선비. (3)어떤 일에 참여하려다가 제외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榜: 擧: 子: 아들

  • 母之心(자모지심) : 자애(慈愛)로운 어머니의 마음.
    子: 아들 母: 어미 之: 心: 마음

  • 悲染(묵자비염) : 묵자가 실이 염색되는 것을 보고 슬퍼했다는 뜻으로, 사람이 습성에 따라 성품이 선하게 되거나 악하게 될 수 있다는 주장에서 나온 말.
    墨: 子: 아들 悲: 슬플 染: 물들일

  • 相傳(부자상전) : 아들의 성격이나 생활 습관 따위가 아버지로부터 대물림된 것처럼 같거나 비슷함.
    父: 아비 子: 아들 相: 서로 傳: 전할

  • 經史百(경사백자) : 경서(經書)와 사서(史書), 제자(諸) 백가(百家)의 서(書)라는 뜻으로, 많은 책을 이르는 말.
    經: 지날 史: 사기 百: 일백 子: 아들

  • 何知(동자하지) : 어린 것이 무엇을 아느냐고 꾸짖는 말.
    童: 아이 子: 아들 何: 어찌 知:

  • 乙丑甲(을축갑자) : 육십갑자에서 갑자 다음에 을축이 오게 되어 있는데 을축이 먼저 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 제대로 되지 아니하고 순서가 뒤바뀜을 이르는 말.
    乙: 丑: 甲: 갑옷 子: 아들

  • 得國(목자득국) : 고려 중기의 동요. ‘목자’는 ‘이’의 파자(破字)로서 이씨가 장차 왕이 될 것임을 예언한 노래이다. ≪고려사≫에 전하며 작자와 가사는 알 수 없다.
    木: 나무 子: 아들 得: 얻을 國: 나라

  • 不肖弟(불초자제) : 어버이의 덕행이나 사업을 이어받지 못한 자손.
    不: 아니 肖: 닮을 子: 아들 弟: 아우

  • 傳之孫(전지자손) : 자손에게 물려줌.
    傳: 전할 之: 子: 아들 孫: 손자

  • 膏粱弟(고량자제) : 부귀한 집에서 고량진미만 먹고 귀엽게 자라나서 고생을 전혀 모르는 젊은이.
    膏: 기름 粱: 기장 子: 아들 弟: 아우

  • 熱血男(열혈남자) : 열정(熱情)의 피가 끓는 사내.
    熱: 더울 血: 男: 사내 子: 아들

  • 祠堂養(사당양자) : 이미 죽은 사람을 양자로 삼아 대를 잇는 일. 또는 그 양자.
    祠: 사당 堂: 養: 기를 子: 아들

  • 與孫間(자여손간) : 아들과 손자(孫) 사이.
    子: 아들 與: 孫: 손자 間:

  • 殃及孫(앙급자손) : 화가 자손에게 미침.
    殃: 재앙 及: 미칠 子: 아들 孫: 손자

  • 紅衣童(홍의동자) : 붉은 옷을 입은 어린아이라는 뜻으로, 곱게 차려입은 어린아이를 이르는 말.
    紅: 붉을 衣: 童: 아이 子: 아들

  • 名門弟(명문자제) : 이름난 집안의 자제.
    名: 이름 門: 子: 아들 弟: 아우

  • 亂臣賊(난신적자) : (1)‘난신적자’의 북한어. (2)나라를 어지럽히는 불충한 무리.
    臣: 신하 賊: 도둑 子: 아들

  • 金玉君(금옥군자) : 몸가짐이 단정하고 점잖으며 지조가 굳은 사람을 이르는 말.
    金: 玉: 구슬 君: 임금 子: 아들

  • 浮浪弟(부랑자제) : 떠돌아다니며 방탕한 생활을 하는 청소년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
    浮: 浪: 물결 子: 아들 弟: 아우

  • 游閑公(유한공자) : 한가하게 노는 공자라는 뜻으로, 의식 걱정이 없이 한가롭게 노는 사람이나 부귀한 집안의 자제를 일컫는 말로 사용됨.
    游: 閑: 한가할 公: 공변될 子: 아들

  • 下育妻(하육처자) : 아래로 아내와 자식을 기름.
    下: 아래 育: 기를 妻: 아내 子: 아들

  • 同袍(여자동포) : 자네와 두루마기를 같이 입겠네라는 뜻으로 친구(親舊) 사이에 서로 허물없이 무관하여 하는 말.
    與: 子: 아들 同: 한가지 袍: 핫옷

  • 如何(동자여하) : ‘동자가 어찌 알리오!’라는 뜻으로, 동자는 사물의 이치를 모른다고 단정해서 어린 아이 같은 것이 무엇을 아느냐고 마구 꾸짖고 나무라는 말.
    童: 아이 子: 아들 如: 같을 何: 어찌

  • 豪華弟(호화자제) : 호화로운 집안에서 자란 젊은이.
    豪: 호걸 華: 빛날 子: 아들 弟: 아우

  • 靑年弟(청년자제) : 장래성이 있는 젊은 남자들.
    靑: 푸를 年: 子: 아들 弟: 아우

  • 萬乘天(만승천자) : ‘천자’를 높여 이르는 말.
    萬: 일만 乘: 天: 하늘 子: 아들

  • 多識君(다식군자) : 다문박식(多聞博識)한 군자(君)를 이르는 말.
    多: 많을 識: 君: 임금 子: 아들

  • 虎父犬(호부견자) : 아비는 범인데 새끼는 개라는 뜻으로, 훌륭한 아버지에 비하여 자식은 그렇지 못함을 이르는 말.
    虎: 父: 아비 犬: 子: 아들

  • 忘世間之甲(망세간지갑자) : (1) 술이 잔뜩 취(醉)하여 세상일(世上-)을 모름 (2) 일에 골몰(汨沒)하여 세월(歲月)이 가는 줄을 모름.
    忘: 잊을 世: 인간 間: 之: 甲: 갑옷 子: 아들

  • (서자) : 처음으로 관리가 됨. 예전에 중국에서 처음 관직에 임명될 때에, 길흉을 점쳤던 일에서 유래한다.
    筮: 점대 子: 아들

  • 花中君(화중군자) : 여러 가지 꽃 가운데 군자라는 뜻으로, ‘연꽃’을 달리 이르는 말. 진흙에서 자라지만 그 더러움이 물들지 않는 데서 유래한다.
    花: 中: 가운데 君: 임금 子: 아들

  • 博物君(박물군자) : 온갖 사물에 정통한 사람.
    博: 넓을 物: 만물 君: 임금 子: 아들

  • 豐年化(풍년화자) : 풍년거지라는 뜻으로, ‘化’는 중국 백화로 ‘거지’의 뜻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모두 이익을 볼 때 혼자 빠져 이익을 못 봄을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豐: 풍년 年: 化: 화할 子: 아들

  • 之孝(천자지효) : 천자(天)가 행(行)하는 효도(孝道).
    天: 하늘 子: 아들 之: 孝: 효도

  • 自稱天(자칭천자) : 자기를 스스로 천자라고 이른다는 뜻으로, 자기 자랑이 매우 심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自: 스스로 稱: 일컬을 天: 하늘 子: 아들

  • 繼姓孫(계성자손) : 남의 집의 양자가 되어 성(姓)을 이어받은 자손.
    繼: 이을 姓: 子: 아들 孫: 손자

  • 灰色分(회색분자) : 소속, 정치적 노선, 사상적 경향 따위가 뚜렷하지 아니한 사람.
    灰: 色: 分: 나눌 子: 아들

  • 夫死從(부사종자) :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과거 중세 아녀자의 도리에 대한 표현.
    夫: 지아비 死: 죽을 從: 좇을 子: 아들

  • 之名(반자지명) : 아들이나 다름없이 여긴다는 뜻으로, ‘사위’를 이르는 말.
    半: 子: 아들 之: 名: 이름

  • 惡質分(악질분자) : 나쁘거나 못된 짓을 하여 다른 사람이나 사회에 해독을 끼치는 사람.
    惡: 악할 質: 바탕 分: 나눌 子: 아들

  • 膜執中(자막집중) : 융통성(融通性)이 없고 임기응변(任期應變)할 줄 모르는 사람을 일컫는 말.
    子: 아들 膜: 꺼풀 執: 잡을 中: 가운데

  • 黃面老(황면노자) : '석가모니(釋迦牟尼)'를 이르는 말.
    黃: 누를 面: 子: 아들

  • 靑松君節綠竹烈女貞(청송군자절록죽열녀정) : 푸른 소나무는 군자(君)의 절개(節槪)요, 푸른 대나무는 열여의 정절(貞節)임.
    靑: 푸를 松: 君: 임금 子: 아들 節: 마디 綠: 초록빛 竹: 女: 여자 貞: 곧을

  • 綠竹君節靑松丈夫心(녹죽군자절청송장부심) : 푸른 대나무는 군자(君)의 절개(節槪)요, 푸른 소나무는 대장부(大丈夫)의 마음임.
    竹: 君: 임금 子: 아들 節: 마디 靑: 푸를 松: 丈: 어른 夫: 지아비 心: 마음

  • 名家弟(명가자제) : 명망이 높은 가문의 자제.
    名: 이름 家: 子: 아들 弟: 아우

  • 輕薄才(경박재자) : 재주는 있으나 경박한 사람.
    輕: 가벼울 薄: 엷을 才: 재주 子: 아들

  • 削髮(동자삭발) : 어릴 때 출가하여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됨.
    童: 아이 子: 아들 削: 깎을 髮: 터럭

  • 父母妻(부모처자) : 어버이와 아내와 자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父: 아비 母: 어미 妻: 아내 子: 아들

2
#나이 97 #백성 105 #여자 101 #바람 136 #군자 56 #아침 72 #조금 96 #재앙 64 #천하 94 #처음 91 #나라 392 #이름 211 #부모 136 #아래 86 #신하 62 #자신 208 #형제 68 #서로 71 #세월 71 #사람 1461 #물건 136 #구름 67 #부부 76 #재능 61 #비유 1177 #하늘 251 #나무 166 #태도 72 #경우 64 #중국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