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原於思(학원어사) 풀이

學原於思

학원어사

학문은 생각에 근원을 둔다는 뜻으로, 학문은 생각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처럼 사색(思索)이 학문의 근본임을 이르는 말.

#근원 #학문 #생각 #비롯 #근본


한자 풀이:
  • (배울 ): 배우다, 학문, 학생, 학교, 학파.
  • (언덕 ): 언덕, 근원, 찾다, 고지식하다, 용서하다.
  • (어조사 ): 어조사, 탄식하다, 감탄하는 소리, 아!, 있다.
  • (생각할 ): 생각하다, 생각, 수염이 많다, 어조사, 도덕이 순일하게 갖추어지다.
🐈 學原於思(학원어사) 웹스토리 보기
學原於思(학원어사)의 의미: 학문은 생각에 근원을 둔다는 뜻으로, 학문은 생각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처럼 사색(思索)이 학문의 근본임을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苛政猛於虎 획순 苛政猛虎(가정맹호) :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몹시 모질고 독한 정치의 폐가 큼을 이르는 말.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 止處(지지처) : (1)일정하게 머무르는 곳이 없고 정처 없이 어디든지 이르는 곳에서 머물러 잠. (2)일이나 행동을 마땅히 그쳐야 할 자리에서 알맞게 그침.
  • 彼(피) : 이렇게 하든지 저렇게 하든지. 또는 이렇게 되든지 저렇게 되든지.
  • 千萬事(천만사) : 모든 일.


學原於思(학원어사) 관련 한자

  • 七步詩 획순 七步詩(칠보시) :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지어진 시. 또는 즉석에서 읊은 시나 그러한 재능을 지닌 시인. 이 말은 중국 위나라 초대 황제인 문제 조비가 사이가 좋지 않은 그의 동생 조식에게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시를 짓지 못하면 벌을 내리겠다고 하자, 조식이 즉석에서 오언 고시를 지어냈다는 데서 비롯된 말이다.
  • 黔首(검수) : 검은 두건을 쓴 머리라는 뜻으로, 일반 백성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대 중국에서 평민들이 머리에 검은 두건을 쓴 데서 비롯된 말이다.
  • 胡髥(호염) : 오랑캐의 풍속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데서 턱에 난 수염을 이르는 말.

  • 實事求是 획순 實事求是(실사구시)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 絃歌不輟(현가불철) :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 廓然大公(확연대공) :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의미 1817 #아침 72 #사이 200 #사용 312 #재앙 64 #중국 253 #모양 142 #학문 107 #아래 86 #나라 392 #백성 105 #죽음 73 #소리 96 #경계 56 #집안 93 #상대 56 #상황 119 #얼굴 99 #군자 56 #방법 59 #마음 496 #상태 110 #표현 88 #서로 71 #행동 137 #무리 64 #때문 58 #사랑 91 #싸움 61 #부부 7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32개) : 하우얼스, 한약업사, 행운유수, 허위의식, 홍아연석, 후액와선, 희유원소, 항암 음식, 해안 요새, 해양 요소, 해양 우세, 해외 연수, 해외 이사, 행외 연산, 행운의 손, 행운의 수, 행위 예술, 행위 의사, 허용 유속, 허위 양성, 헤어 왁스, 혈연 인식, 혐오 음식, 협의 인수, 호우 일수, 혼외 임신, 혼인 예식, 홀 아이시, 확인의 소, 회음 열상, 효용 예술, 후원 엽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