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 마나님 , 계집
  • , 마나님 , 일족 , 거주(居住)하다 , 도성(都城)
  • 집안에서 돼지를 기른다는 의미에서 ‘집’, ‘가정’의 의미로 사용. ◎ 亡(망) 사람이 잘못을 저지르고 숨어있는 상황에서 ‘죽다’, ‘잃다’ 등의 의미 생성

# 에 관한 한자 모두 99

  • 積善之家 획순 積善之(적선지가) : 착한 일을 많이 한 집.
    積: 쌓을 善: 착할 之: 家:

  • 傾家破産 획순 破産(경가파산) : 재산을 모두 털어 없애어 집안이 형편없이 기울어짐.
    傾: 기울 家: 破: 깨뜨릴 産: 낳을

  • 自手成家 획순 自手成(자수성가) : 물려받은 재산이 없이 자기 혼자의 힘으로 집안을 일으키고 재산을 모음.
    自: 스스로 手: 成: 이룰 家:

  • 室家之樂 획순 之樂(실가지락) : 부부 사이의 화목한 즐거움.
    室: 家: 之: 樂: 즐거울

  • 修身齊家 획순 修身齊(수신제가) : 몸과 마음을 닦아 수양하고 집안을 다스림.
    修: 닦을 身: 齊: 가지런할 家:

  • 慶(배가경) : 오래도록 떠나 있던 자식(子息)이 귀가(歸嫁)해서 부모(父母)를 뵙는 일.
    拜: 家: 慶: 경사

  • 無擔石(가무담석) : 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조금도 없다는 말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
    家: 無: 없을 擔: 石:

  • 忘妻(사가망처) : 이사를 갈 때 아내를 잊고 두고 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잘 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徙: 옮길 家: 忘: 잊을 妻: 아내

  • 徒四壁(가도사벽) : 집안이 네 벽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 형편(形便)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家: 徒: 무리 四: 壁:

  • 父(가부) : 집안의 아버지라는 뜻으로,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家: 父: 아비

  • 貧亦好(재가빈역호) : 제 집에 있으면 가난하여도 마음은 편하다는 뜻으로, 객지(客地)에 있는 사람이 고향(故鄕)을 그리워하는 심정(心情)을 이르는 말.
    在: 있을 家: 貧: 가난할 亦: 好: 좋을

  • 赤手成(적수성가) : 몹시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제 스스로의 힘으로 노력하여 가산(産)을 이룸.
    赤: 붉을 手: 成: 이룰 家:

  • 無水立沙鷗排草失蟻(무수입사구배초실가의) : 물이 없으니 모래 위에 선 기러기요, 풀을 헤치니 집을 잃은 개미임.
    無: 없을 水: 沙: 모래 鷗: 갈매기 排: 밀칠 草: 失: 잃을 家: 蟻: 개미

  • 三間草(삼간초가) : 세 칸밖에 안 되는 초가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집을 이르는 말.
    三: 間: 草: 家:

  • 讀書(재가독서) : 밖에 나가지 아니하고 집에 머물며 글을 읽음.
    在: 있을 家: 讀: 읽을 書:

  • 慈(가자) : 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家: 慈: 사랑

  • 徒壁立(가도벽립) : 가난한 집이라서 집 안에 세간살이는 하나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다는 말. ≪한서≫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에 나오는 말이다.
    家: 徒: 무리 壁: 立:

  • 敎子(치가교자) : 집안을 다스리고 자손을 가르침.
    治: 다스릴 家: 敎: 가르칠 子: 아들

  • 忘身忘(망신망가) : 자신(自身)과 집안의 일을 잊는다는 뜻으로, 사(私)를 돌보지 않고 오직 나라와 공(公)을 위(爲)해 헌신(獻身)함을 이르는 말.
    忘: 잊을 身: 忘: 잊을 家:

  • 和萬事成(가화만사성) :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짐.
    家: 和: 고를 萬: 일만 事: 成: 이룰

  • 書抵萬金(가서저만금) : 타국(他國)이나 타향(他鄕)에 살 때는 고향(故鄕) 가족(族)의 편지(便紙)가 더없이 반갑고, 그 소식(消息)의 값이 황금(黃金) 만 냥보다 더 소중(所重)하다는 말.
    家: 書: 抵: 거스를 萬: 일만 金:

  • 無日(재가무일) : 바삐 돌아다니느라고 집에 있는 날이 없음.
    在: 있을 家: 無: 없을 日:

  • 獨木橋冤遭(독목교원가조) : 원수(怨讐)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회피(回避)할 수 없는 경우(境遇)를 가리킴. 일이 나쁜 형태(形態)로 공교(工巧)롭게 마주치는 것을 이르는 말.
    獨: 홀로 木: 나무 橋: 다리 冤: 원통할 家: 遭: 만날

  • 有賢妻丈夫不遭橫事(가유현처장부부조횡사) : 가정(庭)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남편(男便)은 부정(不正)한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家: 有: 있을 賢: 어질 妻: 아내 丈: 어른 夫: 지아비 不: 아닌가 遭: 만날 橫: 가로 事:

  • 無食刀(야가무식도) : 대장간에서 식칼이 논다는 뜻으로, 생활에 쫓겨 남의 바라지만 하고 정작 제 집엔 등한시한다는 의미나, 마땅히 흔해야 할 곳에 도리어 그 물건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황을 이르는 의미를 지닌 한역(漢譯) 속담.
    冶: 불릴 家: 無: 없을 食: 刀:

  • 無二主(가무이주) : 한 집안에 주인(主人)이 둘이 있을 수 없다는 뜻으로, 군신(君臣)의 다름을 이르는 말.
    家: 無: 없을 二: 主: 주인

  • 縣令(파가현령) : 집안을 부수는 현령이라는 뜻으로, 백성들에게 가렴주구(苛斂誅求)의 횡포를 부리는 지방 관리를 이르는 말.
    破: 깨뜨릴 家: 縣: 고을 令: 하여금

  • 蕩敗産(탕패가산) : 집안의 재산을 모두 써서 없애 버림.
    蕩: 쓸어없앨 敗: 패할 家: 産: 낳을

  • 大起舍(대기가사) : 집을 굉장히 크게 짓기 시작함.
    大: 起: 일어날 家: 舍:

  • 喩戶曉(가유호효) : 집집마다 알려주어 알아듣게 한다는 뜻으로, 누구나 다 아는 것을 이르는 말.
    家: 喩: 깨우칠 戶: 지게 曉: 새벽

  • 三間(초가삼간) : 세 칸밖에 안 되는 초가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집을 이르는 말.
    草: 家: 三: 間:

  • 丘(동가구) : (1)‘공자’의 다른 이름. 공자의 서쪽 이웃에 사는 사람이 공자가 훌륭한 인물임을 모르고 ‘동쪽 이웃인 구(丘)’라고 불렀다는 데서 유래한다. (2)사람을 알아볼 줄 모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東: 동녘 家: 丘: 언덕

  • 蕩盡産(탕진가산) : 집안의 재산을 모두 써서 없애 버림.
    蕩: 쓸어없앨 盡: 다할 家: 産: 낳을

  • 大姓門(대성가문) : 후손이 번성하고 세력이 있는 집안.
    大: 姓: 家: 門:

  • 有無(칭가유무) : 집의 유무에 맞춘다는 뜻으로, 집의 빈부에 따라, 곧 가산(産)에 따라 일을 알맞게 함을 이르는 말.
    稱: 일컬을 家: 有: 있을 無: 없을

  • 逃走(철가도주) : 가족을 모두 데리고 살림을 챙기어 도망감.
    撤: 거둘 家: 逃: 달아날 走: 달릴

  • 給千兵(가급천병) : 제후(諸侯) 나라에 일천 군사(軍士)를 주어 그의 집을 호위(護衛)시킴.
    家: 給: 넉넉할 千: 일천 兵: 군사

  • 積惡之(적악지가) : 악한 일을 많이 한 집.
    積: 쌓을 惡: 악할 之: 家:

  • 親(가친) :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家: 親: 친할

  • 常事(병가상사) : (1)실패하는 일은 흔히 있으므로 낙심할 것이 없다는 말. (2)군사 전문가도 전쟁에서 이기고 지는 일은 흔히 있는 일임을 이르는 말.
    兵: 군사 家: 常: 항상 事:

  • 負疎族聚(가부소족취) : 집이 가난하게 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넉넉히 지낼 때는 몰랐으나 궁박(窮迫)한 형편(形便)에 놓이고 보니 어진 관리자(管理者)를 생각하게 된다는 말.
    家: 負: 疎: 트일 族: 겨레 聚: 모일

  • 戶戶(가가호호) : (1)한 집 한 집. (2)한 집 한 집마다.
    家: 家: 戶: 지게 戶: 지게

  • 之誼(통가지의) : 절친한 친구 사이에 친척처럼 내외를 트고 지내는 정의.
    通: 통할 家: 之: 誼: 옳을

  • 惡婦破(악부파가) : 악처는 남편(男便)의 일생(一生)을 망칠 뿐 아니라, 가정(庭)의 평화(平和)를 파괴(破壞)하고, 자손(子孫)에게까지 나쁜 영향(影響)을 미침.
    惡: 악할 婦: 며느리 破: 깨뜨릴 家:

  • 卑下(자가비하) : 스스로 자기를 낮춤.
    自: 스스로 家: 卑: 낮을 下: 아래

  • 貧落魄(가빈낙탁) : 집안이 가난하여 혼백(魂魄)이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失意)에 빠짐.
    家: 貧: 가난할 魄: 영락할

  • 劫舍(타가겁사) : 백성(百姓)의 집을 때려 부수고 재물(財物)을 마구 빼앗음'의 뜻.
    他: 다를 家: 劫: 으를 舍:

  • 君(가군) : (1)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2)남에게 자기 남편을 이르는 말. (3)남의 남편을 이르는 말.
    家: 君: 임금

  • 豚(가돈) : 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낮추어 이르는 말.
    家: 豚: 돼지

  • 權門勢(권문세가) : 벼슬이 높고 권세가 있는 집안.
    權: 저울추 門: 勢: 기세 家:

  • 鷄野鶩(가계야목) : 집의 닭을 미워하고 들의 물오리를 사랑한다는 뜻으로, 일상(日常) 흔한 것을 피(避)하고 새로운 것, 진기한 것을 존중(尊重)함을 비유(比喩).
    家: 鷄: 野: 鶩: 집오리

  • 狗向裏吠(가구향리폐) : 집에서 기르는 개가 집 안 쪽을 향(向)해 짖는다는 뜻으로, 은혜(恩惠)를 원수(怨讐)로 갚음을 이르는 말.
    家: 狗: 向: 향할 裏: 吠: 짖을

  • 醜不外揚(가추불외양) : 집안의 부끄러운 일은 밖에 드러내어 말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家: 醜: 더러울 不: 아니 外: 바깥 揚: 오를

  • 棄欲(사가기욕) : 집이나 세속적(世俗的)인 욕망(慾望)을 버리고 불문(佛門)에 들어감.
    捨: 버릴 家: 棄: 버릴 欲: 하고자 할

  • 貧思良妻(가빈사양처) : 집이 가난해지면 좋은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궁핍(窮乏)한 지경(地境)이 되면 훌륭한 관리자(管理者)가 생각난다는 의미(意味).
    家: 貧: 가난할 思: 생각할 妻: 아내

  • 赤手起(적수기가) : 몹시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제 스스로의 힘으로 노력하여 가산(産)을 이룸.
    赤: 붉을 手: 起: 일어날 家:

  • 寶刀(전가보도) : 대대(代代)로 집안에 전(傳)해지는 보검의 뜻으로, 전가(傳)는 '조상(祖上) 때부터 대대(代代)로 집안에 전(傳)해지다'의 뜻이고, 보도(寶刀)는 '보배로운 칼'임.
    傳: 전할 家: 寶: 보배 刀:

  • 大人(가대인) :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家: 大: 人: 사람

  • 拂士(법가불사) : 법도(法度)로써 임금을 바로잡는 세신(世臣)과 이해득실(利害得失)로써 임금을 보필(輔弼)하는 현사(賢士).
    法: 家: 拂: 士: 선비

  • 之寶(전가지보) : 대대로 집안에 전하여 내려오는 보물.
    傳: 전할 家: 之: 寶: 보배

  • 積惡之必有餘殃(적악지가필유여앙) : 악함을 쌓는 집에는 반드시 자손(子孫)에게까지 미치는 재앙(災殃)이 있음.
    積: 쌓을 惡: 악할 之: 家: 必: 반드시 有: 있을 餘: 남을 殃: 재앙

  • 居(호가거) : 집안에 머무르는 것이 좋다는 뜻으로, 덕이 부족한 어린 나이로 벼슬길에 나아감은 화(禍)를 부르기 때문에 집안에 있으면서 덕을 잘 닦으라는 말.
    好: 좋을 家: 居: 있을

  • 祖(가조) : (1)한 집안의 조상. (2)남에게 자기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家: 祖: 할아비

  • 子弟(명가자제) : 명망이 높은 가문의 자제.
    名: 이름 家: 子: 아들 弟: 아우

  • 樂業(안가낙업) : 편안하게 살면서 즐거이 일함.
    安: 편안할 家: 業:

  • 百乘之(백승지가) : 전쟁이 일어나면 수레 백 대를 내놓을 수 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경대부의 집을 이르던 말.
    百: 일백 乘: 之: 家:

  • 撞着(자가당착) : 같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아니하고 모순됨.
    自: 스스로 家: 撞: 着: 붙을

  • 餘生(화가여생) : 죄화(罪禍)를 입은 집안의 자손.
    禍: 재난 家: 餘: 남을 生:

  • 背夫棄(배부기가) : 남편(男便)을 배반(背反)하고 집에서 나와 버림.
    背: 夫: 지아비 棄: 버릴 家:

  • 門前(가가문전) : 집집마다의 문 앞.
    家: 家: 門: 前:

  • 夫和婦順和之本(부화부순가화지본) : 남편(男便)은 온화(溫和)하고 아내는 양순한 것이 가정(庭) 화목(和睦)의 근본(根本)임.
    夫: 지아비 和: 고를 婦: 며느리 順: 순할 家: 和: 고를 之: 本:

  • 尊(가존) : 자기의 아버지 또는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家: 尊: 높을

  • 無室無(무실무가) : 매우 가난하여 들어 있을 만한 집도 없음을 이르는 말.
    無: 없을 室: 無: 없을 家:

  • 母(가모) : (1)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한 집안의 주부.
    家: 母: 어미

  • 之樂(의가지락) : 부부 사이의 화목한 즐거움.
    宜: 마땅할 家: 之: 樂: 즐거울

  • 大族(거가대족) : 대대로 번창하고 문벌이 좋은 집안.
    巨: 家: 大: 族: 겨레

  • 貧思賢妻國難思良相(가빈사현처국난사양상) : 집이 가난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고, 나라가 어지러우면 어진 재상(宰相)을 생각함.
    家: 貧: 가난할 思: 생각할 賢: 어질 妻: 아내 國: 나라 難: 어려울 思: 생각할 相: 서로

  • 常茶飯(가상다반) : 집에서 먹는 평소(平素)의 식사(食事)라는 뜻으로, 일상사(日常事)나 당연지사(當然之事)를 이르는 말.
    家: 常: 항상 茶: 飯:

  • 嚴(가엄) :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家: 嚴: 엄할

  • 之樂(거가지락) : 세속의 영화에 마음을 두지 않고 집에서 시(詩)나 서도(書道) 따위로 세월을 보내는 즐거움.
    居: 있을 家: 之: 樂: 즐거울

  • 積善之必有餘慶(적선지가필유여경) : 적선하는 집안에는 반드시 경복이 남아 있다는 뜻으로, 착한 일을 계속(繼續)해서 하면 복이 자신(自身) 뿐만 아니라 자손(子孫)에까지도 미친다는 말.
    積: 쌓을 善: 착할 之: 家: 必: 반드시 有: 있을 餘: 남을 慶: 경사

  • 人給足(인급가족) : 사람들이 넉넉하고 집안이 풍족하다는 뜻으로, 집집마다 의식주에 부족함이 없다는 의미.[ = 給人足].
    人: 사람 給: 넉넉할 家: 足:

  • 之狗(상가지구) : 상가집의 개라는 뜻으로, 상가에서는 경황이 없이 개밥도 제대로 주지 못하므로 개가 몹시 여윈다는 데서 몹시 수척한 사람을 빈정거리는 말로 사용됨.
    喪: 복입을 家: 之: 狗:

  • 書萬金(가서만금) : 가서는 만금의 값어치가 있다는 뜻으로, 자기 집에서 온 편지의 반갑고 소중함을 이르는 말.
    家: 書: 萬: 일만 金:

  • 貧親老(가빈친로) : 집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늙었다는 뜻으로, 집안의 사정이 여의치 못하여 마땅치 않은 일이라도 해야 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家: 貧: 가난할 親: 친할 老: 늙을

  • 給人足(가급인족) : 집집마다 먹고사는 것에 부족함이 없이 넉넉함.
    家: 給: 넉넉할 人: 사람 足:

  • 責禮(창가책례) : 창기(娼妓)의 집에서 예의를 따진다는 뜻으로, 예의나 격식을 차리는 것이 격에 맞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娼: 논다니 家: 責: 꾸짖을 禮: 예도

  • 食西宿(동가식서가숙) : 동쪽 집에서 밥 먹고 서쪽 집에서 잠잔다는 뜻으로, 일정한 거처가 없이 떠돌아다니며 지냄을 이르는 말. 나중에는 자기의 잇속을 차리기 위하여 지조 없이 여기저기 빌붙어 사는 행태를 이르게 되었다.
    東: 동녘 家: 食: 西: 서녘 家: 宿: 묵을

  • 五常(마가오상) : 마씨 오 형제(兄弟)가 모두 재주가 뛰어나고 이름자에 常(상)자가 들어 있는 것에서 연유(緣由)한 말로, 형제(兄弟)가 모두 명망(名望)이 높음을 이르는 말.
    馬: 家: 五: 다섯 常: 항상

  • 刻薄成(각박성가) : 남에게 인정을 베풀지 않는 인색한 짓으로 부자가 됨.
    刻: 새길 薄: 엷을 成: 이룰 家:

  • 諸子百(제자백가) : 춘추 전국 시대의 여러 학파. 공자(孔子), 관자(管子), 노자(老子), 맹자(孟子), 장자(莊子), 묵자(墨子), 열자(列子), 한비자(韓非子), 윤문자(尹文子), 손자(孫子), 오자(吳子), 귀곡자(鬼谷子) 등의 유가(儒), 도가(道), 묵가(墨), 법가(法), 명가(名), 병가(兵), 종횡가(縱橫), 음양가(陰陽) 등을 통틀어 이른다.
    諸: 모든 子: 아들 百: 일백 家:

  • 爭鳴(백가쟁명) : (1)많은 학자나 문화인 등이 자기의 학설이나 주장을 자유롭게 발표하여, 논쟁하고 토론하는 일. (2)1956년에 중국 공산당이 정치 투쟁을 위하여 내세운 슬로건. 마르크스주의는 다른 사상과 경쟁하면서 지도적 위치를 차지하여야 하며, 처음부터 절대적 유일사상은 없다고 주장하였다. 문화 혁명 기간 중에는 이 운동이 사라졌다가, 1976년에 문화 혁명 세력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문예ㆍ학술 분야에서 장려되기도 했다.
    百: 일백 家: 爭: 다툴 鳴:

  • 讀書勤儉起之本(독서근검기가지본) : 글을 읽고 검소(儉素)하게 살기에 힘쓰는 것은 집안을 일으키는 근본(根本)임.
    讀: 읽을 書: 勤: 부지런할 儉: 검소할 起: 일어날 家: 之: 本:

  • 胡越一(호월일가) : (1)중국 북쪽의 호(胡)와 남쪽의 월(越)이 한집안이라는 뜻으로, 온 천하가 한집안 같음을 이르는 말. (2)멀리 떨어져 있던 사람들이 한곳에 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胡: 오랑캐 越: 넘을 一: 家:

  • 貧則思良妻(가빈즉사양처) : 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
    家: 貧: 가난할 則: 思: 생각할 妻: 아내

  • 四海爲(사해위가) : 온 세상이 집이 된다는 뜻으로, 천하를 제 집안으로 만든다는 의미로는 제업(帝業)의 광대함을 이르고, 온나라 어느 곳에도 집이 있다는 의미로는 떠돌아다니며 일정한 주거가 없다는 의미로 사용됨.
    四: 海: 바다 爲: 家:

  • 亡身(패가망신) : 집안의 재산을 다 써 없애고 몸을 망침.
    敗: 패할 家: 亡: 잃을 身:

  • 鷄野雉(가계야치) : 집에 있는 닭과 들에 있는 꿩이라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 흔한 것은 천하게 여기고, 멀리 있는 드문 것을 귀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家: 鷄: 野: 雉:

  • 自成一(자성일가) : 자기 혼자의 힘으로 어떤 재주나 기술에 통달하여 따로 일가(一)를 이룸.
    自: 스스로 成: 이룰 一: 家:

#조금 96 #시대 114 #사용 312 #중국 253 #태도 72 #경계 56 #아래 86 #상대 56 #학문 107 #노력 69 #인간 65 #서로 71 #형용 67 #무리 64 #바람 136 #어려움 105 #사람 1461 #모양 142 #문장 59 #방법 59 #물건 136 #재앙 64 #모습 66 #지위 65 #얼굴 99 #상태 110 #부모 136 #벼슬 88 #때문 58 #의지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