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얻을
  • 얻다 , 만족하다 , 깨닫다 , 맞다 ,
  • 길에서 손으로 조개[금전]을 줍는다는 뜻으로, ‘얻다’, ‘이득’의 의미 생성

# 에 관한 한자 모두 84

  • 回避不得 획순 回避不(회피부득) : 피하고자 하여도 피할 수가 없음.
    回: 避: 피할 不: 아닌가 得: 얻을

  • 投瓜得瓊 획순 投瓜瓊(투과득경)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投: 던질 瓜: 오이 得: 얻을 瓊:

  • 得兎忘蹄 획순 兎忘蹄(득토망제) : 토끼를 잡고는 올무를 잊는다는 뜻으로, 바라던 일을 달성하고는 그에 소용되었던 것을 잊는다는 의미.
    得: 얻을 兎: 토끼 忘: 잊을 蹄:

  • 開卷有得 획순 開卷有(개권유득) : 책을 열면 소득이 있다는 뜻으로, 책을 읽게 되면 항상 유익함을 얻게 된다는 의미.
    開: 卷: 有: 있을 得: 얻을

  • 名不虛得 획순 名不虛(명불허득) : 명예나 명성은 헛되이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님.
    名: 이름 不: 아니 虛: 得: 얻을

  • 斧失斧(득부실부) : 얻은 도끼나 잃은 도끼나 마찬가지라는 뜻으로, 얻고 잃은 것이 같아서 이익도 손해도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得: 얻을 斧: 도끼 失: 잃을 斧: 도끼

  • 揚揚意(양양득의) : 뜻을 이루어 뽐내며 꺼드럭거림. 또는 그런 태도.
    揚: 오를 揚: 오를 得: 얻을 意:

  • 亡羊牛(망양득우) : 양을 잃고 소를 얻는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잃고 큰 것을 얻는 것처럼 적은 손해로 많은 이득을 얻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亡: 잃을 羊: 得: 얻을 牛:

  • 國(득중득국) : 대중을 얻으면 나라를 얻는다는 뜻으로, 대중의 마음을 얻으면 나라도 얻을 수 있다는 의미.
    得: 얻을 衆: 무리 得: 얻을 國: 나라

  • 不勞所(불로소득) : 직접 일을 하지 아니하고 얻는 수익. 이자, 배당금, 지대(地代)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不: 아니 勞: 일할 所: 得: 얻을

  • 患失(환득환실) : 물건이나 지위 따위를 얻기 전에는 그것을 얻으려고 걱정하고, 얻은 후에는 그것을 잃지 아니하려고 근심함.
    患: 근심 得: 얻을 患: 근심 失: 잃을

  • 初不三(초부득삼) : 첫 번째 얻지 못해도 세 번째라는 뜻으로, 꾸준히 노력하면 성공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
    初: 처음 不: 아닌가 得: 얻을 三:

  • 對案不食思良饌(대안불식사득량찬) : 밥상을 대하고서 잡수시지 않으면 좋은 음식(飮食) 얻을 것을 생각함.
    對: 대답할 案: 책상 不: 아니 食: 思: 생각할 得: 얻을 良: 좋을 饌: 반찬

  • 利害失(이해득실) : (1)‘이해득실’의 북한어. (2)이로움과 해로움과 얻음과 잃음을 아울러 이르는 말.
    害: 해칠 得: 얻을 失: 잃을

  • 種麥麥(종맥득맥) : 보리를 심으면 보리를 얻는다는 뜻으로, 인과(因果) 응보(應報)를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種: 麥: 보리 得: 얻을 麥: 보리

  • 意揚揚(득의양양) : 뜻한 바를 이루어 우쭐거리며 뽐냄.
    得: 얻을 意: 揚: 오를 揚: 오를

  • 魚忘筌(득어망전) : 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잊는다는 뜻으로, 바라던 바를 이루고 나면 이를 이루기 위하여 했던 일들을 잊어버림을 이르는 말. ≪장자≫의 <외물편(外物篇)>에 나오는 말이다.
    得: 얻을 魚: 고기 忘: 잊을 筌: 통발

  • 不補失(득불보실) : 얻은 것으로 그 잃은 것을 메워 채우지 못한다는 뜻으로, 손해가 됨을 이르는 말.
    得: 얻을 不: 아니 補: 기울 失: 잃을

  • 暮失(조득모실) : 아침에 얻어 저녁에 잃는다는 뜻으로, 얻은 지 얼마 되지 않아 곧 잃어버림을 이르는 말.
    朝: 아침 得: 얻을 暮: 저물 失: 잃을

  • 伸其情(득신기정) : 그 뜻을 펼 수 있음.
    得: 얻을 伸: 其: 情:

  • 嚴刑情(엄형득정) : 엄하게 벌을 주어 범죄를 밝혀냄.
    嚴: 엄할 刑: 형벌 得: 얻을 情:

  • 一忘十(득일망십) : 하나를 얻고 열을 잊는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을 알면 열 가지 다른 일을 잊어버리는 것에서 기억력이 없음을 이르는 말.
    得: 얻을 一: 忘: 잊을 十:

  • 自業自(자업자득) :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기가 받음.
    自: 스스로 業: 自: 스스로 得: 얻을

  • 意滿面(득의만면) : 일이 뜻대로 이루어져 기쁜 표정이 얼굴에 가득함.
    得: 얻을 意: 滿: 面:

  • 意之色(득의지색) : 일이 뜻대로 이루어져 만족해하거나 뽐내는 기색.
    得: 얻을 意: 之: 色:

  • 不然(안득불연) : 어찌 그러하지 않겠느냐의 뜻으로, 마땅히 그러할 것임을 이르는 말.
    安: 편안할 得: 얻을 不: 아니 然: 그러할

  • 三度伸(삼도득신) : 송사(訟事)에서 초심(初審), 재심(再審), 삼심(三審)을 계속하여 승소하는 일.
    三: 度: 법도 得: 얻을 伸:

  • 一擧兩(일거양득) :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을 얻음.
    一: 擧: 得: 얻을

  • 其所(부득기소) : 좋은 소질과 충분한 실력을 가지고도 알맞은 지위를 얻지 못함.
    不: 아닌가 得: 얻을 其: 所:

  • 木子國(목자득국) : 고려 중기의 동요. ‘목자’는 ‘이’의 파자(破字)로서 이씨가 장차 왕이 될 것임을 예언한 노래이다. ≪고려사≫에 전하며 작자와 가사는 알 수 없다.
    木: 나무 子: 아들 得: 얻을 國: 나라

  • 之物(난득지물) : 얻거나 구하기 어려운 물건.
    難: 어려울 得: 얻을 之: 物: 만물

  • 一敵國(약득일적국) : 자기(自己) 나라와 힘이 대등(對等)한 나라를 얻은 것과 같다는 뜻으로, 훌륭한 인재(人材)를 얻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若: 같을 得: 얻을 一: 敵: 원수 國: 나라

  • 香氣(방득향기) : 곁에서 향기를 얻는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향을 가지고 있으면, 곁에 있는 사람도 그 좋은 향기를 얻는 것처럼 주변의 벗은 좋은 사람을 사귀야 한다는 의미.
    旁: 得: 얻을 香: 향기 氣: 기운

  • 時無怠(득시무태) : 때를 얻어도 게으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월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으므로 좋은 때를 얻으면 게으르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
    得: 얻을 時: 無: 없을 怠: 게으를

  • 之妙(자득지묘) : 스스로 깨달아 얻은 오묘한 이치.
    自: 스스로 得: 얻을 之: 妙: 묘할

  • 何以此(하이득차) : 무슨 까닭으로 이것을 얻는가의 뜻으로, 뜻밖의 소득이 있는 경우를 이르는 말.
    何: 어찌 以: 得: 얻을 此:

  • 漁人利(어인득리) : 고기 잡는 사람이 이익(利益)을 얻음을 뜻하는 말로, 쌍방이 다투는 틈을 타서, 제 3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利)을 보는 경우(境遇)를 가리키는 말.
    漁: 고기잡을 人: 사람 得: 얻을 利: 날카로울

  • 萬金(여득만금) : 많은 금을 얻은 것과 같이 흡족하게 여김.
    如: 같을 得: 얻을 萬: 일만 金:

  • 偶爾中(우이득중) : 사물이 우연히 잘 들어맞음.
    偶: 爾: 得: 얻을 中: 가운데

  • 如渡船(여도득선) : 강을 건너려 하는 데 마침 나루터에서 배를 얻었다는 뜻으로, 필요(必要)한 것이나 상황(狀況)이 바라는 대로 됨이나 부처의 자비(慈悲)를 입음을 이르는 말.
    如: 같을 渡: 건널 得: 얻을 船:

  • 充然有(충연유득) : 마음에 부족함이 없어 흐뭇함.
    充: 然: 그러할 有: 있을 得: 얻을

  • 薪而熾(화득신이치) : 불은 땔나무를 얻어야 활활 탄다는 뜻으로, 알맞은 때를 만나야 영화롭게 됨을 비유한 말.
    火: 得: 얻을 薪: 섶나무 而: 말 이을 熾: 성할

  • 千金(여득천금) : 많은 금을 얻은 것과 같이 흡족하게 여김.
    如: 같을 得: 얻을 千: 일천 金:

  • 迫不已(박부득이) : 일이 매우 급하게 닥쳐와서 어찌할 수 없이.
    迫: 다그칠 不: 아닌가 得: 얻을 已: 그칠

  • 臨財無求(임재무구득) : 재물에 임해서는 구차하게 구하지 말라는 뜻으로, 재물에 있어서는 ‘義’에 합당한지를 먼저 보고 구차하게 얻으려고 하지 말라는 의미.
    財: 재물 無: 없을 求: 구할 得: 얻을

  • 意之秋(득의지추) : 일이 뜻대로 이루어졌거나 이루어질 좋은 기회.
    得: 얻을 意: 之: 秋: 가을

  • 要領不(요령부득) : 말이나 글 따위의 핵심이 되는 뜻이나 의도를 알 수가 없음.
    要: 구할 領: 옷깃 不: 아닌가 得: 얻을

  • 失相半(득실상반) : 이익과 손해가 서로 엇비슷함.
    得: 얻을 失: 잃을 相: 서로 半:

  • 大旱甘雨他鄕逢故人(대한득감우타향봉고인) : 큰 가뭄에 단비를 얻음이요, 타향(他鄕)에서 오랜 친구(親舊)를 만남.
    大: 旱: 가물 得: 얻을 甘: 雨: 他: 다를 鄕: 시골 逢: 만날 故: 人: 사람

  • 倖而免(행이득면) : 요행히 벗어남.
    倖: 요행 而: 말 이을 得: 얻을 免: 벗어날

  • 要領(부득요령) : 말이나 글 따위의 핵심이 되는 뜻이나 의도를 알 수가 없음.
    不: 아닌가 得: 얻을 要: 구할 領: 옷깃

  • 萬不已(만부득이) : ‘부득이’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萬: 일만 不: 아닌가 得: 얻을 已: 그칠

  • 種瓜瓜(종과득과) : 오이를 심으면 반드시 오이가 나온다는 뜻으로,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김을 이르는 말.
    種: 瓜: 오이 得: 얻을 瓜: 오이

  • 求則之(구즉득지) : 어떤 것을 구하고자 하면 얻을 수 있음.
    求: 구할 則: 得: 얻을 之:

  • 貪多務(탐다무득) : 많은 것을 얻으려고 애써 노력함.
    貪: 탐할 多: 많을 務: 힘쓸 得: 얻을

  • 動彈不(동탄부득) : 곤란한 지경에 빠져서 꼼짝할 수가 없음.
    動: 움직일 彈: 탄환 不: 아닌가 得: 얻을

  • 思義是謂九思(견득사의시위구사) : 이득(利)을 보면 반드시 의를 생각해야 하니, 이것을 구사(九思)라 함.
    見: 得: 얻을 思: 생각할 義: 옳을 是: 옳을 謂: 이를 九: 아홉 思: 생각할

  • 無勞而(무로이득) : 노력하지 않고 쉽게 얻음.
    無: 없을 勞: 일할 而: 말 이을 得: 얻을

  • 馬上之(마상득지) : 말을 타고 싸우며 동분서주하여 천하를 얻음을 이르는 말.
    馬: 上: 得: 얻을 之:

  • 無害無(무해무득) : 해로울 것도 이로울 것도 없음.
    無: 없을 害: 해칠 無: 없을 得: 얻을

  • 莫不已(막부득이) : ‘부득이’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莫: 없을 不: 아닌가 得: 얻을 已: 그칠

  • 自勞而(자로이득) : 자신의 노력으로 얻음.
    自: 스스로 勞: 일할 而: 말 이을 得: 얻을

  • 塞翁失(새옹득실) : 한때의 이익이 장차 손해가 될 수도 있고 한때의 화(禍)가 장차 복을 불러올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塞: 변방 翁: 늙은이 得: 얻을 失: 잃을

  • 種豆豆(종두득두) : 콩을 심으면 반드시 콩이 나온다는 뜻으로,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김을 이르는 말.
    種: 豆: 得: 얻을 豆:

  • 迫於不(박어부득) : 일이 매우 급하게 닥쳐와서 어찌할 수 없이.
    迫: 다그칠 於: 어조사 不: 아닌가 得: 얻을

  • (양득) : (1)‘양득’의 북한어. (2)장기에서, 자기 말 하나를 죽이고 상대의 말 둘을 잡음. 또는 그런 수. (3)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을 얻음.
    得: 얻을

  • 唾手可(타수가득) : 일이 어렵지 않게 잘될 것을 기약할 수 있음.
    唾: 手: 可: 옳을 得: 얻을

  • 動輒謗(동첩득방) : 무슨 일이든지 해 보려고 움직이기만 하면 번번이 남에게 꾸지람을 들음.
    動: 움직일 輒: 문득 得: 얻을 謗: 헐뜯을

  • 其位(부득기위) : 좋은 소질과 충분한 실력을 가지고도 알맞은 지위를 얻지 못함.
    不: 아닌가 得: 얻을 其: 位: 자리

  • 千慮一(천려일득) : 천 번을 생각하여 하나를 얻는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면 그 과정에서 한 가지쯤은 좋은 것이 나올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千: 일천 慮: 생각할 一: 得: 얻을

  • 揚揚自(양양자득) : 뜻을 이루어 뽐내며 꺼드럭거림. 또는 그런 태도.
    揚: 오를 揚: 오를 自: 스스로 得: 얻을

  • 愚者一(우자일득) :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잘하는 것이 있음.
    愚: 어리석을 者: 一: 得: 얻을

  • 隴望蜀(득롱망촉) :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得: 얻을 隴: 고개 이름 望: 바랄 蜀: 나라 이름

  • 親順親(득친순친) : 부모(父母)의 뜻에 들고, 부모(父母)의 뜻에 순종(順從)함. 효자(孝子)의 행실(行實).
    得: 얻을 親: 친할 順: 순할 親: 친할

  • 乞兒錦(걸아득금) : 거지애가 비단(緋緞)을 얻었다는 뜻으로, 제 분수(分數)에 넘치는 일을 지나치게 자랑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乞: 兒: 아이 得: 얻을 錦: 비단

  • 亡戟矛(망극득모) : 극(戟)을 잃고 모(矛)를 얻는다는 뜻으로, 물건 따위를 얻거나 잃는 데에 있어 그 이해를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亡: 잃을 戟: 得: 얻을 矛:

  • 能莫忘(득능막망) : 사람으로써 알아야 할 것을 배운 후(後)에는 잊지 않도록 노력(努力)하여야 함.
    得: 얻을 能: 능할 莫: 없을 忘: 잊을

  • 其所(각득기소) : 모든 것이 그 있어야 할 곳에 있게 됨. 원래(原來) 사람들이 자기(自己) 분수(分數)에 맞게 하고 싶은 일을 해도 후(後)에는 각자의 능력(能力)과 적성(適性)에 맞게 적절(適切)한 배치(配置)를 받게 되는 것을 말함.
    各: 각각 得: 얻을 其: 所:

  • 美果歸獻父母(약득미과귀헌부모) : 만약 맛있는 과실(果實)을 얻으면 돌아가서 부모(父母)님께 드림.
    若: 같을 得: 얻을 美: 아름다울 果: 실과 歸: 돌아갈 獻: 바칠 父: 아비 母: 어미

  • 如魚水(여어득수) : 물고기가 물을 얻음과 같다는 뜻으로, 본래의 영역으로 다시 돌아와 크게 활약할 수 있게 됨을 이르는 말.
    如: 같을 魚: 고기 得: 얻을 水:

  • 者兄弟(난득자형제) : 얻기 어려운 게 형제(兄弟)란 뜻으로, 형제(兄弟)는 인력(人力)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형제(兄弟) 간(間)에 의가 좋아야 한다는 말.
    難: 어려울 得: 얻을 者: 兄: 弟: 아우

  • 場中失(장중득실) : (1)평소에 잘하던 사람이 과거 시험장에서 낙방을 하고 잘 못하는 사람이 급제를 하는 수가 있듯이, 일이 생각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2)거의 다 되어 가던 일이 별안간 뜻대로 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場: 마당 中: 가운데 得: 얻을 失: 잃을

  • 無失(무득무실) : 얻는 것도 없고 잃는 것도 없음.
    無: 없을 得: 얻을 無: 없을 失: 잃을

  • 木石難(목석난득) : 의지할 곳이 없는 처지를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難: 어려울 得: 얻을

#집안 93 #잘못 93 #유래 280 #부부 76 #방법 59 #편안 62 #아침 72 #지위 65 #이익 89 #조금 96 #죽음 73 #무리 64 #은혜 70 #처음 91 #나라 392 #자연 73 #마음 496 #얼굴 99 #중국 253 #하늘 251 #의미 1817 #형용 67 #예전 60 #백성 105 #자신 208 #상태 110 #훌륭 85 #소리 96 #재주 82 #여자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