戎馬生郊(융마생교) 풀이

戎馬生郊

융마생교

군마(軍馬)가 국경에서 태어난다는 뜻으로, 이웃 나라와 전쟁이 끊이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국경 #새끼 #군마 #지대 #전쟁 #나라 #비유 #이웃


한자 풀이:
  • (되 ): 되, 무기(武器), 전쟁, 병사, 병거(兵車).
  • (말 ): 말, 산가지, 크다, 나쁘다, 양마(陽馬).
  • (날 ): 나다, 낳다, 살다, 살리다, 삶.
  • (성 밖 ): 성 밖, 국경, 끝, 들, 시골.
🦚 戎馬生郊(융마생교) 웹스토리 보기
戎馬生郊(융마생교)의 의미: 군마(軍馬)가 국경에서 태어난다는 뜻으로, 이웃 나라와 전쟁이 끊이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投筆從(투필종) : 붓을 던지고 창을 쫓는다는 뜻으로, 학문(學問)을 포기(抛棄)하고 전쟁터로 나아감을 비유(比喩)하는 말.
  • 狐裘蒙(호구몽) : 여우 갖옷의 털이 흐트러져있다는 뜻으로, 부귀한 사람이 난폭하고 방자하여 나라가 어지러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夷蠻狄(이만적) : 동쪽의 이(夷), 남쪽의 만(蠻), 서쪽의 융(戎), 북쪽의 적(狄)이라는 뜻으로, 모든 오랑캐를 이르는 말. 중국인의 중화사상에서 생겨난 말로 외국인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戎馬生郊(융마생교) 관련 한자

  • 濫竽 획순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堂內至親(당내지친) :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 亡國之恨(망국지한) : 나라가 망하여 없어진 것에 대한 한(恨).

  • 人鬼相半 획순 人鬼相半(인귀상반)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風木之悲(풍목지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割鷄牛刀(할계우도)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慈鳥 획순 慈鳥(자조) : 새끼가 어미에게 먹이를 날라다 주는 인자한 새라는 뜻으로, ‘까마귀’를 이르는 말.
  • 黃口乳兒(황구유아) : 새 새끼의 주둥이가 노랗다는 뜻에서, '어린아이'를 일컬음.
  • 三枝之禮(삼지지례) :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비둘기는 예의(禮儀)가 발라 새끼는 어미가 앉은 가지에서 세 가지 아래에 앉는다고 함.

  • 人海戰術 획순 人海戰術(인해전술) : 우수한 화기보다 다수의 병력을 투입하여 적을 압도하는 전술. 6ㆍ25 전쟁에서 중국 공산군이 썼던 전법이다.
  • 揚弓擧矢(양궁거시) : 활과 화살을 높이 든다는 뜻으로, ‘승리’를 이르는 말.

#사람 1461 #상대 56 #때문 58 #나이 97 #동안 70 #물건 136 #바람 136 #아침 72 #따위 228 #훌륭 85 #재능 61 #여자 101 #얼굴 99 #시대 114 #어버이 60 #의미 1817 #어려움 105 #아내 81 #아래 86 #부모 136 #세상 339 #모습 66 #자식 104 #인간 65 #집안 93 #문장 59 #처음 91 #부부 76 #노력 69 #형제 68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29개) : 안목소견, 약물사고, 열매솎기, 옆모솔기, 오목새김, 오목숟갈, 오목식기, 올모심기, 우멍식기, 우묵식기, 융마생교, 이망새기, 이멍새기, 이멍세기, 일목수건, 안면 신경, 양막 솔기, 양면 석기, 어미 시계, 연말 성금, 영문 사관, 예물 시계, 오물 수거, 유물 사관, 은면 소거, 이마 신경, 인명 사고, 앞 목 삼각, 원 맨 속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