救國干城(구국간성) 풀이

救國干城

구국간성

나라를 구하는 방패와 성.

# #군인 #나라 #방패 #의미 #구제 #방위


한자 풀이:
  • (건질 ): 건지다, 고치다, 막다, 구원, 도움.
  • (나라 ): 나라, 도읍, 고향, 지방, 나라를 세우다.
  • (방패 ): 방패, 주사(朱砂), 범하다, 막다, 구하다.
  • (성 ): 성, 나라, 성을 쌓다, 성벽, 국도(國都).
💕 救國干城(구국간성) 웹스토리 보기
救國干城(구국간성)의 의미: 나라를 구하는 방패와 성.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破甕救兒 획순 破甕兒(파옹아) : 항아리를 깨뜨려 아이를 구한다는 뜻으로, 송(宋)의 사마광(司馬光)이 어릴 때 물독에 빠진 아이를 돌로 깨뜨려 구했다는 고사에서 어린아이의 지혜로움을 의미함.
  • 同舟相(동주상) : 같은 배를 탄 사람끼리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같은 운명이나 처지에 놓이면 아는 사람이나 모르는 사람이나 서로 돕게 됨을 이르는 말.
  • 患難相(환난상) : 향약의 네 가지 덕목 가운데 하나.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서로 도와야 함을 이른다.

  • 干雲蔽日 획순 雲蔽日(운폐일) : 구름을 범하고 해를 가린다는 뜻으로, 나무가 높이 솟아 있음을 이르는 말.
  • 戚(척) : (1)방패와 도끼라는 뜻으로, 전쟁에 쓰는 병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2)간척무를 출 때 손에 잡는 무구(舞具). 간은 왼손의 방패를, 척은 오른손의 도끼를 이른다.
  • 倒置戈(도치과) : 무기(武器)를 거꾸로 놓는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이 평화(平和)로워졌음을 이르는 말.

  • 不夜城 획순 不夜(불야)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億丈之(억장지) : 썩 높이 쌓은 성.
  • (경) : (1)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태롭게 할 정도로 뛰어남을 이르는 말. (2)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 狐社鼠(호사서) :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救國干城(구국간성) 관련 한자

  • 不夜城 획순 不夜城(불야성)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億丈之城(억장지성) : 썩 높이 쌓은 성.
  • 傾城(경성) : (1)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태롭게 할 정도로 뛰어남을 이르는 말. (2)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 枕戈待旦(침과대단) : 전투태세를 철저히 갖춘 군인의 자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장수 유곤이 매일 창을 베개 삼아 잠을 자고 아침을 기다리면서 적을 물리칠 태세를 준비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 步武堂堂(보무당당) : 걸음걸이가 씩씩하고 위엄이 있음.

  • 濫竽 획순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堂內至親(당내지친) :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 亡國之恨(망국지한) : 나라가 망하여 없어진 것에 대한 한(恨).

  • 萬里長城 획순 萬里長城(만리장성) : (1)중국의 북쪽에 있는 성. 서쪽 간쑤성(甘肅省)의 자위관(嘉峪關)에서 시작하여 동쪽 허베이성(河北省)의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른다. 춘추 전국 시대의 조(趙)ㆍ연(燕) 등이 변경 방위를 위하여 쌓아서 만든 것을 진(秦)의 시황제가 크게 증축하여 완성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명나라가 몽골의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것이다. 길이는 2,700km. (2)서로 넘나들지 못하게 가로막는 크고 긴 장벽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창창한 앞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남녀가 서로 교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活人之方(활인지방) : (1)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법. (2)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위나 지방.

  • 干戚(간척) : (1)방패와 도끼라는 뜻으로, 전쟁에 쓰는 병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2)간척무를 출 때 손에 잡는 무구(舞具). 간은 왼손의 방패를, 척은 오른손의 도끼를 이른다.
  • 矛盾(모순) : (1)어떤 사실의 앞뒤, 또는 두 사실이 이치상 어긋나서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상인이 창과 방패를 팔면서 창은 어떤 방패로도 막지 못하는 창이라 하고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지 못하는 방패라 하여, 앞뒤가 맞지 않은 말을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2)두 가지의 판단, 사태 따위가 양립하지 못하고 서로 배척하는 상태. 두 판단이 중간에 존재하는 것이 없이 대립하여 양립하지 못하는 관계로, 이를테면 ‘고양이는 동물이지만 동물이 아니다.’ 따위이다. (3)투쟁 관계에 있는 두 대립물이 공존하면서 맺는 상호 관계. 논리적 모순과 변증법적 모순이 있는데, 논리적 모순이 사유의 영역에만 존재하는 데 비해 변증법적 모순은 사물, 체계 따위의 객관적 실재에 속하며 모든 운동과 변화, 발전의 근원이 된다. (4)2001년 류석훈이 발표한 안무 작품. 앵벌이 소년의 삶과 죽음을 통해 사회의 모순을 고발한 작품이다.

  • 擧棋不定 획순 擧棋不定(거기부정)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束手無策(속수무책)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空前絶後(공전절후)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세상 339 #세월 71 #속담 63 #표현 88 #이름 211 #경우 64 #천하 94 #유래 280 #군자 56 #생각 236 #서로 71 #아침 72 #여자 101 #근본 66 #아래 86 #어머니 72 #상태 110 #경계 56 #이치 67 #마음 496 #태도 72 #의미 1817 #모양 142 #학문 107 #가운데 104 #집안 93 #아내 81 #얼굴 99 #어려움 105 #생활 8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89개) : 가공가소, 각기공심, 갈강가시, 개가금색, 검교각신, 고금격석, 고기국수, 공과고사, 공기가스, 공기곁수, 광국공신, 교관겸수, 구객관설, 구국간성, 권감국사, 궐각계수, 근교계수, 금강국수, 기게국시, 기계검사, 기계국수, 기기국수, 가격 감시, 가격 고시, 가격 곡선, 가격 구성, 가구 공사, 각궁 공상, 각기 각색, 간 개공술, 간극 곡선, 감가 곡선, 감각 검사, 감각 결손, 감광 계수, 개간 공사, 개국 공신, 거군 구성, 건강 검사, 건국 공신, 게 걷기성, 견갑 가시, 경감 곡선, 경과 계산, 경관 급식, 계간 공사, 계급 구성, 고가 공세, 고갈 곡선, 공간 강성, 공간 곡선, 공간 구성, 공격 기세, 공공 공사, 공공 기술, 공극 계수, 공급 계수, 공급 곡선, 공기 기술, 관개 공사, 관계 검사, 관계 기술, 관광 공사, 관광 기생, 관급 공사, 광견 교상, 교과 교사, 구간 계산, 구결 경선, 구결 광선, 국가 고시, 국경 관세, 국고 관세, 국고 귀속, 근거 과세, 근교 극세, 금강 거사, 금고 검사, 금곡 광산, 기간 계산, 기계 간섭, 기계 굴삭, 기계 권선, 기금 교수, 긴급 과세, 긴급 관세, 긴급 구속, 긴급 급수, 균 간 기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