旱時太出(한시태출) 풀이

旱時太出

한시태출

가뭄에 콩 나듯 한다라는 뜻으로, 일이나 물건이 드문드문 나타난다는 말.

# # # #물건 #가뭄


한자 풀이:
  • (가물 ): 가물다, 뭍, 가뭄, 육지(陸地).
  • (때 ): 때, 때에, 때맞추다, 좋다, 엿보다.
  • (클 ): 크다, 심하다, 통하다, 콩, 처음.
  • (날 ): 나다, 나가다, 내다, 지출(支出), 양자가다.
😀 旱時太出(한시태출) 웹스토리 보기
旱時太出(한시태출)의 의미: 가뭄에 콩 나듯 한다라는 뜻으로, 일이나 물건이 드문드문 나타난다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大旱望雲霓 획순 望雲霓(대망운예) : 큰 가뭄에 구름과 무지개를 바란다는 뜻으로, 자신의 목적하는 바의 달성을 매우 초조한 심정으로 갈망하고 있음을 비유하는 말.
  • 雲霓(대운예) : 가뭄이 계속(繼續)되면 비의 조짐(兆朕)인 구름을 몹시 기다린다는 뜻으로, 어떤 사물(事物)이 와 닿기를 간절(懇切)히 바람.
  • 蟲霜水(충상수) : 충해(蟲害), 상해(霜害), 수해(水害), 한해(旱害)라는 뜻으로, 모두 농작물의 해가 되는 것을 이르는 말.
  • 天慈雨(천자우) : 가문 하늘에 자애(慈愛)로운 비라는 뜻으로, 곤경(困境)에 처했을 때 구원(救援)을 받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旱時太出(한시태출) 관련 한자

  • 魂飛中天 획순 魂飛中天(혼비중천)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齒亡脣亦支(치망순역지) :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말.
  • 愚問賢答(우문현답)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天方地方 획순 天方地方(천방지방)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可與樂成(가여낙성)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兩豆塞耳 획순 兩豆塞耳(양두색이) : 두 콩으로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콩알 두 알로도 귀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처럼 조그마한 것이 큰 지장을 초래함을 비유하여 주로 마음이 물욕에 가려지면 도리를 분별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老馬厭太乎(노마염태호) : 늙은 말이 콩 마다 하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본능적(本能的)인 욕망(慾望)은 늙는다고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말.
  • 豆萁之喩(두기지유) : 콩과 콩까지의 비유라는 뜻으로, 콩까지를 태워 콩을 볶는 것에 비유 들어 형제가 서로 해침을 이르는 말.

  • 大旱望雲霓 획순 大旱望雲霓(대한망운예) : 큰 가뭄에 구름과 무지개를 바란다는 뜻으로, 자신의 목적하는 바의 달성을 매우 초조한 심정으로 갈망하고 있음을 비유하는 말.
  • 渴民待雨(갈민대우) : 목마른 백성이 비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아주 간절히 기다림을 이르는 말.
  • 治山治水(치산치수) : 산과 내를 잘 관리하고 돌봐서 가뭄이나 홍수 따위의 재해를 입지 아니하도록 예방함. 또는 그런 일.

#의미 1817 #임금 189 #표현 88 #자식 104 #지위 65 #근본 66 #사람 1461 #이름 211 #사이 200 #백성 105 #노력 69 #사물 172 #태도 72 #방법 59 #편안 62 #조금 96 #여자 101 #모습 66 #재앙 64 #아침 72 #자리 94 #실패 56 #비유 1177 #벼슬 88 #나이 97 #나라 392 #관계 90 #은혜 70 #죽음 73 #예전 60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4개) : 헴스티치, 휩스티치, 해서 탈춤, 홀 스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