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窓淨机(명창정궤) 풀이

明窓淨机

명창정궤

햇빛이 잘 비치는 창밑에 놓여 있는 깨끗한 책상(冊床)이라는 뜻으로, 말끔히 정돈(整頓)된 서재의 모습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형용 #햇빛 #정돈 # #깨끗 #서재 #모습 #책상


한자 풀이:
  • (밝을 ): 밝다, 밝히다, 밝게, 나타나다, 깨끗하다.
  • (창 ): 창, 굴뚝, 창문.
  • (깨끗할 ): 깨끗하다, 깨끗이 하다, 악역(惡役), 법성(法性)의 법, 악인으로 분장하는 자.
  • (책상 ): 책상, 나무 이름.
🍿 明窓淨机(명창정궤) 웹스토리 보기
明窓淨机(명창정궤)의 의미: 햇빛이 잘 비치는 창밑에 놓여 있는 깨끗한 책상(冊床)이라는 뜻으로, 말끔히 정돈(整頓)된 서재의 모습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無量淸淨土 획순 無量淸土(무량청토)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 上濁下不(상탁하부) : 윗물이 흐리면 아랫물도 깨끗하지 못하다는 뜻으로, 윗사람이 부패하면 아랫사람도 부패하게 됨을 이르는 말.
  • 土發願(토발원) : 극락에 가기를 원하여 비는 일.



明窓淨机(명창정궤) 관련 한자

  • 肝腦塗地 획순 肝腦塗地(간뇌도지) :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 古今同然(고금동연) : 예전이나 지금이나 모습이나 형편이 같음.
  • 油頭粉面(유두분면) : 기름 바른 머리와 분 바른 얼굴이라는 뜻으로, 여자의 화장한 모습을 이르는 말.

  • 鷄窓(계창) : ‘서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송처종(宋處宗)이 서재의 창 밑에서 기른 닭이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그와 더불어 이야기하며 학식을 도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 昏定晨省 획순 昏定晨省(혼정신성) :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 獸聚鳥散(수취조산) : 짐승처럼 모였다가 새처럼 흩어진다는 뜻으로, 정돈되지 못한 오합지중(烏合之衆)의 의미로 사용됨.

  • 冊床兩班 획순 冊床兩班(책상양반) : (1)‘책상양반’의 북한어. (2)평민이지만 학문과 덕행(德行)이 있어서 양반이 된 사람.
  • 案下(안하) : 책상 아래라는 뜻으로, 편지에서 상대편의 이름 밑에 붙여 쓰는 말.

  • 危若朝露 획순 危若朝露(위약조로) : 위태롭기가 마치 아침 이슬과 같다는 뜻으로, 운명의 위태로움 또는 인생의 무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耿暉(경휘) : 밝은 햇빛이라는 뜻으로, 덕(德)이 높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人鬼相半 획순 人鬼相半(인귀상반)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不夜城(불야성)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瓊枝玉葉(경지옥엽) : (1)옥으로 된 가지와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나무 166 #인간 65 #군자 56 #아래 86 #훌륭 85 #얼굴 99 #속담 63 #하늘 251 #관계 90 #임금 189 #자리 94 #시대 114 #형용 67 #가운데 104 #노력 69 #의미 1817 #사랑 91 #머리 141 #중국 253 #벼슬 88 #지위 65 #의지 69 #실패 56 #사람 1461 #정도 153 #이름 211 #아내 81 #어머니 72 #부부 76 #아침 7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7개) : 멜치젓갈, 멸치젓갈, 명창정궤, 문창제군, 민충정공, 마찰 전기, 면책 증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