易子敎之(역자교지) 풀이

易子敎之

역자교지

나의 자식(子息)과 남의 자식(子息)을 바꾸어 교육(敎育)한다는 뜻으로, 부자(父子) 사이엔 잘못을 꾸짖기 어렵다는 뜻으로 쓰임.

#자식 #쓰임 #잘못 #부자 #교육 #사이


한자 풀이:
  • (바꿀 ): 바꾸다, 쉽다, 바뀌다, 어기다, 다르다.
  • (아들 ): 아들, 사랑하다, 자식, 새끼, 남자의 통칭.
  • (가르칠 ): 가르치다, 가르침, 학교, 스승, 하(夏)대의 명칭.
  • (갈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 易子敎之(역자교지) 웹스토리 보기
易子敎之(역자교지)의 의미: 나의 자식(子息)과 남의 자식(子息)을 바꾸어 교육(敎育)한다는 뜻으로, 부자(父子) 사이엔 잘못을 꾸짖기 어렵다는 뜻으로 쓰임.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變易生死 획순 生死(변생사) : 보살이 삼계(三界)의 윤회를 떠난 뒤 성불하기까지 그 원력(願力)에 의하여 현세에 나타나서 일부러 받는 생사. 미계(迷界)와 오계(悟界)의 경계를 지나가는 상태를 이른다.
  • 折枝之(절지지이) : 나뭇가지를 꺾는 것과 같이 쉽다는 뜻으로, 대단히 용이(容易)한 일을 이르는 말.
  • 千古不(천고불) : (1) 오래도록 변화(變化)하지 않음 (2) 영구(永久)히 변(變)하지 않음.
  • 簀(책) :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이나 임종을 이르는 말. 증자가 죽을 때를 당하여 삿자리를 바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 殺活之權 획순 殺活權(살활권)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刎頸友(문경우)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風木悲(풍목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七步才(칠보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易子敎之(역자교지) 관련 한자

  • 貧者一燈 획순 貧者一燈(빈자일등)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是父是子(시부시자) :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뜻으로, 그 아비를 닮은 그 자식이라는 의미에서 부자(父子)가 모두 훌륭함을 이르는 말.
  • 三不去(삼불거) :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 刎頸之友 획순 刎頸之友(문경지우)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夫和妻順(부화처순) : 부부 사이가 화목함.
  • 長幼有序(장유유서) : 오륜(五倫)의 하나.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 敬啓 획순 敬啓(경계) : 삼가 말씀드린다는 뜻으로 한문 투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말.
  • 洛陽紙貴(낙양지귀) : 낙양의 종이가 귀해졌다는 뜻으로, (1) 문장(文章)이나 저서(著書)가 호평(好評)을 받아 잘 팔림을 이르는 말 (2) 쓴 글의 평판(評判)이 널리 알려짐(3) 혹은 저서(著書)가 많이 팔리는 것을 말할 때 쓰임.
  • 途不拾遺(도불습유) : 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나라가 잘 다스려져 백성(百姓)의 풍속(風俗)이 돈후(敦厚)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2) 형벌(刑罰)이 준엄(峻嚴)하여 백성(百姓)이 법을 범(犯)하지 아니함의 뜻으로도 쓰임.

  • 改過遷善 획순 改過遷善(개과천선)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畵虎不成(화호불성) : 범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서투른 솜씨로 남의 언행(言行)을 흉내내려 하거나, 어려운 특수(特殊)한 일을 하려다가 도리어 잘못됨의 비유(比喩).
  • 改過自新(개과자신)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집안 93 #은혜 70 #처음 91 #모습 66 #세상 339 #소리 96 #조금 96 #비유 1177 #사이 200 #경계 56 #잘못 93 #학문 107 #모양 142 #이익 89 #이름 211 #상황 119 #형용 67 #태도 72 #상태 110 #자연 73 #노력 69 #음식 79 #아내 81 #경우 64 #아래 86 #사용 312 #벼슬 88 #서로 71 #인간 65 #천하 9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4개) : 안장가죽, 안진균증, 암죽관종, 암중공작, 양조간장, 양조공장, 어제기질, 얼젓국지, 얼조개젓, 업적급제, 엔재고정, 여장군전, 여중군자, 역전계주, 연장굴진, 연주곡집, 열전기줄, 영주권자, 옥진각진, 욕지기질, 우진각집, 원자굴절, 원작곡자, 유자격자, 유지군자, 의자궐지, 이자궁증, 이중극장, 이지가지, 일자경장, 임장군전, 안장 결절, 안장 관절, 안전 광주, 안전 기준, 안정 골절, 안정 과정, 암 전구증, 압전 결정, 압좌 겸자, 양조 곡주, 억제 격자, 여진 격자, 여진 글자, 역전 경주, 역전 광장, 역전 구조, 역점 과제, 염전 골절, 염직 공장, 영적 교제, 오종 경제, 완전 검증, 완전 격자, 완전 결정, 완전 경쟁, 완전 고장, 완전 공진, 완전 군장, 용지 급지, 우주 기지, 운전 기준, 움직 관절, 원자 결정, 원자 구조, 원정 구장, 원조 교제, 유전 검정, 유주 골저, 음장 교정, 음절 구조, 응집 공정, 의지 결정, 이자 가지, 이종 겉질, 이중 견적, 이중 경제, 이중 고장, 이중 고정, 이중 골절, 이중 구조, 이중 국적, 이중 굴절, 이중 급전, 이중 기준, 이질 구조, 인적 계정, 인적 공제, 인조 가죽, 인지 과정, 인지 구조, 입 중간점, 입지 경쟁, 입지 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