易衣幷食(역의병식) 풀이

易衣幷食

역의병식

옷을 바꾸어 입고 음식을 쪼개 먹는다는 뜻으로, 한 벌 옷을 바꾸어 입고 하루치의 양식을 이틀 치로 나눈다는 의미에서 아주 가난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이틀 # #비유 #의미 #음식 #양식 #하루 #가난


한자 풀이:
  • (바꿀 ): 바꾸다, 쉽다, 바뀌다, 어기다, 다르다.
  • (옷 ): 옷, 싸는 것, 이끼, 깃털, 살갗.
  • (어우를 ): 并의 本字.
  • (밥 ): 밥, 사람 이름, 음식, 먹다, 마시다.
😀 易衣幷食(역의병식) 웹스토리 보기
易衣幷食(역의병식)의 의미: 옷을 바꾸어 입고 음식을 쪼개 먹는다는 뜻으로, 한 벌 옷을 바꾸어 입고 하루치의 양식을 이틀 치로 나눈다는 의미에서 아주 가난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變易生死 획순 生死(변생사) : 보살이 삼계(三界)의 윤회를 떠난 뒤 성불하기까지 그 원력(願力)에 의하여 현세에 나타나서 일부러 받는 생사. 미계(迷界)와 오계(悟界)의 경계를 지나가는 상태를 이른다.
  • 折枝之(절지지이) : 나뭇가지를 꺾는 것과 같이 쉽다는 뜻으로, 대단히 용이(容易)한 일을 이르는 말.
  • 千古不(천고불) : (1) 오래도록 변화(變化)하지 않음 (2) 영구(永久)히 변(變)하지 않음.
  • 簀(책) :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이나 임종을 이르는 말. 증자가 죽을 때를 당하여 삿자리를 바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 百郡秦幷 획순 百郡秦(백군진) : 진시황(秦始皇)이 천하(天下)를 봉군(封郡)하는 법(法)을 폐(廢)하고 일백군(100郡)을 둠.
  • 輻輳臻(폭주진) : 수레바퀴의 살이 바퀴통에 모이듯 한다는 뜻으로, 한곳으로 많이 몰려듦을 이르는 말.
  • 州故鄕(주고향) : 병주가 고향이라는 뜻으로, 오래 살아서 정든 타향을 고향에 견주어 이르는 말. 제2의 고향.
  • 輻湊臻(폭주진) : 수레바퀴의 살이 바퀴통에 모이듯 한다는 뜻으로, 한곳으로 많이 몰려듦을 이르는 말.

  • 簞食瓢飮 획순 瓢飮(단사표음)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 四邪命(사사명) : 승려의 떳떳하지 못한 네 가지 생활 방식. 하구식(下口食), 앙구식(仰口食), 방구식(方口食), 유구식(維口食)이다. 비구는 본디 걸식 생활을 본의로 하는데 다른 생활도 함을 이르는 말이다.
  • 發憤忘(발분망) : 끼니까지도 잊을 정도로 어떤 일에 열중하여 노력함.
  • 鷄棲鳳凰(계서봉황) : 닭집에서 봉황(鳳凰)이 함께 살면서 모이를 먹는다는 뜻으로, 충신(忠臣)이 천(賤)한 죄인(罪人)들과 함께 하는 삶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易衣幷食(역의병식) 관련 한자

  • 綠衣使者 획순 綠衣使者(녹의사자) : 푸른 옷을 입은 사자(使者)라는 뜻으로, 앵무새의 다른 명칭.
  • 稱體裁衣(칭체재의) : 몸에 맞추어서 옷을 만든다는 뜻으로, 사람에 따라 그 경우에 맞도록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沐猴而冠(목후이관) : 원숭이가 관을 썼다는 뜻으로, 의관(衣冠)은 갖추었으나 사람답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奢者心常貧 획순 奢者心常貧(사자심상빈) :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 樂而忘憂(낙이망우)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 貧者一燈(빈자일등)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人鬼相半 획순 人鬼相半(인귀상반)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風木之悲(풍목지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割鷄牛刀(할계우도)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 多種多樣 획순 多種多樣(다종다양) : 가짓수나 양식, 모양이 여러 가지로 많음.
  • 桂玉之愁(계옥지수) :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 살면서 겪는 괴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擧棋不定 획순 擧棋不定(거기부정)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束手無策(속수무책)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空前絶後(공전절후)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驟雨不終日 획순 驟雨不終日(취우부종일) : 소나기는 하루 종일 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위세(威勢)를 부리는 자는 오래가지 않음을 비유하거나, 급히 서두르는 일이 오래 계속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權不十年 (권불십년)].
  • 年中無休(년중무휴) : (1)일 년 내내 하루도 쉬는 날이 없음. (2)‘연중무휴’의 북한어.
  • 盡日之力(진일지력) : 종일토록 맡은 일에 부지런히 쓰는 힘.

#재주 82 #편안 62 #어버이 60 #이치 67 #음식 79 #인간 65 #벼슬 88 #따위 228 #백성 105 #비유 1177 #학문 107 #물건 136 #천하 94 #재능 61 #방법 59 #중국 253 #자식 104 #세월 71 #사이 200 #부모 136 #생활 82 #표현 88 #머리 141 #시대 114 #자리 94 #노력 69 #의지 69 #처음 91 #여자 101 #아래 8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80개) : 아웃복싱, 아이브스, 안여반석, 애이불상, 약왕보살, 얻아박수, 얻어박시, 얼음빙수, 에어버스, 에이비시, 연엽반상, 오월비사, 오월비상, 완여반석, 요언비설, 욱일방승, 웃음버섯, 음양복서, 의약복서, 이오버솔, 이음부사, 일언반사, 아웃 복서, 암 유발성, 압연 배수, 약용 버섯, 양안 복시, 얕은 반사, 어음 배서, 언어 분석, 여유 변수, 연예 병사, 영양 번식, 영업 보상, 예약 발송, 예약 방식, 예약 배송, 오염 분석, 오용 분석, 오일 분석, 온열 방석, 요양 보상, 요의 빈삭, 요인 분석, 용융 방사, 우연 발생, 우연 변수, 운영 분석, 운용 분석, 운율 분석, 웃음 반사, 원연 번식, 원인 변수, 웨이브 솔, 위액 분석, 위약 배상, 위임 반송, 위임 배서, 유언 방식, 유엔 방송, 유입 부싱, 육아 봉사, 음악 방송, 음악 분석, 음악 분수, 음운 분석, 응원 방석, 이연 보상, 이온 부선, 이완 변수, 이용 분산, 이원 발생, 이원 방송, 이원 분석, 이윤 방식, 익일 배송, 인위 변수, 일인 방송, 임의 변수, 임의 부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