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 , 달빛 , 세월(歲月) , 다달이 , 월경(月經)
  • 달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항상 차있는 해[日]와 구별해서 차고 기우는 달의 형상에서 이지러지는 달의 모양을 본떠 만듦. ‘달’이나 ‘시기’, ‘시간’ 등의 의미로 활용됨

# 에 관한 한자 모두 93

  • 風淸月朗 획순 風淸朗(풍청월랑) : 바람이 맑고 달이 밝다는 뜻으로, 마음이 결백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風: 바람 淸: 맑을 月: 朗: 밝을

  • 月滿則虧 획순 滿則虧(월만즉휴) : 달이 차면 반드시 이지러진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성하면 반드시 쇠하게 됨을 이르는 말.
    月: 滿: 則: 虧: 이지러질

  • 無情歲月 획순 無情歲(무정세월) : 덧없이 흘러가는 세월.
    無: 없을 情: 歲: 月:

  • 不知歲月 획순 不知歲(부지세월) : 세월이 가는 줄을 알지 못함.
    不: 아닌가 知: 歲: 月:

  • 風雲月露 획순 風雲露(풍운월로) :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심에 조금도 유익하지 않은 화조월석만을 읊은, 실속이 없고 겉만 화려한 시문.
    風: 바람 雲: 구름 月: 露: 이슬

  • 江風明(강풍명월) : 강가의 바람과 하늘의 밝은 달의 뜻으로, 자연(自然)의 풍광(風光)을 의미.
    江: 風: 바람 明: 밝을 月:

  • 太平烟(태평연월) : 태평한 세월이라는 뜻으로, 편안하고 즐거운 세월을 이르는 말. [烟은 煙. 곧 태평한 시절의 의미].
    太: 平: 평평할 烟: 연기 月:

  • 裁雲(누월재운) : 달을 아로새기고 구름을 마른다는 뜻으로, 세공이 아기자기하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月: 裁: 마를 雲: 구름

  • 江山風主人(강산풍월주인) : 강산(江山)과 풍월(風)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江: 山: 風: 바람 月: 主: 주인 人: 사람

  • 虛度歲(허도세월) : 하는 일 없이 세월만 헛되이 보냄.
    虛: 度: 법도 歲: 月:

  • 曉風殘(효풍잔월) : 새벽 바람과 지새는 달이라는 뜻으로, 새벽 무렵의 달과 바람이라는 의미.
    曉: 새벽 風: 바람 殘: 해칠 月:

  • 風驅群飛雁送獨去舟(풍구군비안월송독거주) : 바람은 떼지어 나는 기러기를 몰고, 달은 홀로 가는 배를 보냄.
    風: 바람 驅: 群: 무리 飛: 雁: 기러기 月: 送: 보낼 獨: 홀로 去: 舟:

  • 棹穿波底船壓水中天(도천파저월선압수중천) : 노는 물결 아래의 달을 뚫고, 배는 물 가운데 하늘을 누름.
    棹: 穿: 뚫을 波: 물결 底: 月: 船: 壓: 누를 水: 中: 가운데 天: 하늘

  • 耕田埋春色汲水斗光(경전매춘색급수두월광) : 밭을 가니 봄빛을 묻고, 물을 길으니 달빛을 되질함.
    耕: 田: 埋: 묻을 春: 色: 汲: 길을 水: 斗: 月: 光:

  • 淸風明無人管(청풍명월무인관) : 청풍과 명월은 사람의 관할(管轄)이 아닌 것으로 속세(俗世)를 벗어나 있음을 이르는 말.
    淸: 맑을 風: 바람 明: 밝을 月: 無: 없을 人: 사람 管: 대롱

  • (풍월) : (1)맑은 바람과 밝은 달. (2)맑은 바람과 밝은 달을 대상으로 시를 짓고 흥취를 자아내어 즐겁게 놂. (3)얻어들은 짧은 지식.
    風: 바람 月:

  • 朝雲暮(조운모월) : 아침의 구름과 저녁의 달.
    朝: 아침 雲: 구름 暮: 저물 月:

  • 江山風(강산풍월) :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
    江: 山: 風: 바람 月:

  • 逢場風(봉장풍월) : 아무 때나 그 자리에서 즉흥적으로 시(詩)를 지음.
    逢: 만날 場: 마당 風: 바람 月:

  • 白雲山上蓋明水中珠(백운산상개명월수중주) : 흰 구름은 산 위의 덮개요, 밝은 달은 물 가운데의 구슬임.
    白: 雲: 구름 山: 上: 蓋: 덮을 明: 밝을 月: 水: 中: 가운데 珠: 구슬

  • 下氷人(월하빙인) : 월하노인(下老人)과 빙상인(氷上人)이라는 뜻으로, 중매를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月: 下: 아래 氷: 얼음 人: 사람

  • 山影推不出光掃還生(산영추불출월광소환생) : 산 그림자는 밀어도 나가지 않고, 달빛은 쓸어도 다시 생김.
    山: 影: 그림자 推: 옮을 不: 아니 出: 月: 光: 掃: 還: 돌아올 生:

  • 年久深(년구월심) : (1)세월이 매우 오래됨. (2)‘연구월심’의 북한어.
    久: 오랠 月: 深: 깊을

  • 暮春三(모춘삼월) : 봄이 저물어 가는 음력(陰曆) 삼월(三).
    暮: 저물 春: 三: 月:

  • (차월피월) : 이 달 저 달 하고 자꾸 기한을 미루는 모양.
    此: 月: 彼: 月:

  • 吟風弄(음풍농월) :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을 대상으로 시를 짓고 흥취를 자아내어 즐겁게 놂.
    吟: 읊을 風: 바람 月:

  • 屋梁(낙월옥량) : 밤에 벗의 꿈을 꾸고 깨 보니 지는 달이 지붕을 비추고 있다는 뜻에서, 벗을 생각하는 마음이 간절함을 이르는 말.
    月: 屋: 梁: 들보

  • 日加增(일가월증) : 날이 가고 달이 갈수록 더하고 불어남.
    日: 加: 더할 月: 增: 불어날

  • 白風淸(월백풍청) : 달은 빛나고 바람은 맑다는 뜻으로, 달 밝은 가을밤을 이르는 말.
    月: 白: 風: 바람 淸: 맑을

  • 揚明輝冬嶺秀孤松(추월양명휘동령수고송) : 가을 달은 밝은 빛을 드날리고, 겨울 고개에 외로운 소나무 빼어남.
    秋: 가을 月: 揚: 오를 明: 밝을 輝: 빛날 冬: 겨울 嶺: 秀: 빼어날 孤: 외로울 松:

  • 康衢煙(강구연월) : 번화한 큰 길거리에서 달빛이 연기에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로,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을 이르는 말.
    康: 편안할 衢: 네거리 煙: 연기 月:

  • 花落憐不掃明愛無眠(화락연불소월명애무면) : 꽃이 떨어지니 가엾어 쓸지를 못하고, 달이 밝으니 사랑스러워 잠을 못 이룸.
    花: 落: 떨어질 不: 아니 掃: 月: 明: 밝을 愛: 사랑 無: 없을 眠:

  • 風窓燈易滅屋夢難成(풍창등역멸월옥몽난성) : 바람 부는 창에서 등불은 꺼지기 쉽고, 달 뜬 집에서 꿈은 꾸기가 어려움.
    風: 바람 窓: 燈: 등불 易: 바꿀 滅: 멸망할 月: 屋: 夢: 難: 어려울 成: 이룰

  • 松風水(송풍수월) : 소나무에 부는 바람과 물에 비친 달이라는 뜻으로, 맑고 깨끗한 것을 비유하는 말.
    松: 風: 바람 水: 月:

  • 晴雲秋(청운추월) : 갠 하늘의 구름과 가을의 달이라는 뜻으로, 가슴 속이 맑고 깨끗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晴: 雲: 구름 秋: 가을 月:

  • 虛送歲(허송세월) : 하는 일 없이 세월만 헛되이 보냄.
    虛: 送: 보낼 歲: 月:

  • 曉星(잔월효성) : 새벽녘의 달과 별.
    殘: 해칠 月: 曉: 새벽 星:

  • 日就將(일취월장) : 나날이 다달이 자라거나 발전함.
    日: 就: 이룰 月: 將: 장수

  • 鳥飛枝二風吹葉八分(조비지이월풍취엽팔분) : 새가 나니 가지는 한들한들(한달+한달=두달), 바람이 불니 잎이 사뿐사뿐함(사분+사분=팔분).
    鳥: 飛: 枝: 가지 二: 月: 風: 바람 吹: 葉: 八: 여덟 分: 나눌

  • 羞花(폐월수화) : 달도 숨고 꽃도 부끄러워한다는 뜻으로, 여인의 얼굴과 맵시가 매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閉: 닫을 月: 羞: 부끄러울 花:

  • 旦評(월단평) : 사람에 대한 평(評). 중국 후한(後漢) 때에 허소(許劭)라는 사람이 매월 초하루마다 마을 사람들의 인물을 평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月: 旦: 아침 評: 꼲을

  • 江上風主人(강상풍월주인) : 산(江山)과 풍월(風)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江: 上: 風: 바람 月: 主: 주인 人: 사람

  • 看晨坐自夕(간신월좌자석) : '새벽달 보자고 초저녁부터 나와 앉아 있으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주책없이 너무 일찍부터 서두름을 이르는 말.
    看: 晨: 새벽 月: 坐: 앉을 自: 스스로 夕: 저녁

  • 猿猴取(원후취월) : 원숭이가 물에 비친 달을 잡는다는 뜻으로, 욕심에 눈이 어두워 자기의 분수를 모르고 날뛰다가 목슴까지 잃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猿: 원숭이 猴: 원숭이 取: 취할 月:

  • 花天地(화천월지) : 꽃 피고 달 밝은 봄밤의 좋은 경치.
    花: 天: 하늘 月: 地:

  • 春風(추월춘풍) : 가을 달과 봄바람이라는 뜻으로, 흘러가는 세월(歲)을 이르는 말.
    秋: 가을 月: 春: 風: 바람

  • 東西日門南北鴻雁路(동서일월문남북홍안로) : 동과 서는 해와 달의 문이요, 남과 북은 기러기의 길임.
    東: 동녘 西: 서녘 日: 月: 門: 南: 남녘 北: 북녘 鴻: 큰기러기 雁: 기러기 路:

  • 堂狗三年吠風(당구삼년폐풍월) : 서당(書堂)개 삼년이면 풍월(風)을 읊는다는 우리말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무식(無識)한 사람도 유식한 사람과 함께 있으면 감화(感化)를 받는다는 말.
    堂: 狗: 三: 年: 吠: 짖을 風: 바람 月:

  • 遷延歲(천연세월) : 일을 그때그때 하지 아니하고 미루면서 세월을 끌어 감.
    遷: 옮길 延: 歲: 月:

  • 日久深(일구월심) : 날이 오래고 달이 깊어 간다는 뜻으로, 세월이 흐를수록 더함을 이르는 말.
    日: 久: 오랠 月: 深: 깊을

  • 夜光明(야광명월) : 밤에 밝게 빛나는 달.
    夜: 光: 明: 밝을 月:

  • (사월) : 지지(地支)가 사(巳)로 된 달. 음력 4월이다.
    巳: 月:

  • 寒江(추월한강) : 가을 달과 차가운 강이라는 뜻으로, 유덕(遺德)한 사람은 그 마음이 맑기가 가을 달과 찬 강물 같다는 의미.
    秋: 가을 月: 寒: 江:

  • 僧敲下門(승고월하문) : 스님이 달빛 아래에서 문을 두드린다는 뜻으로, 당(唐)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시구를 완성하지 못하고 ‘推(퇴)’자와 ‘敲(고)’자를 고민하던 고사 퇴고(推敲)의 유래가 된 <題李凝幽居>의 구절.
    僧: 敲: 두드릴 月: 下: 아래 門:

  • 不知何歲(부지하세월) : 언제 이루어질지 그 기한을 알 수 없음.
    不: 아닌가 知: 何: 어찌 歲: 月:

  • 之恒(여월지항) : 상현달이 점점 보름달이 되듯이 일이 날로 번창(繁昌)함을 이르는 말.
    如: 같을 月: 之: 恒: 항상

  • 章星句(월장성구) : 문장은 달과 같고 구절은 별과 같다는 뜻으로, 훌륭하고 아름다운 문장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月: 章: 문채 星: 句: 글귀

  • 明星稀(월명성희) : 달이 밝으니 별이 드물다는 뜻으로, 밝은 달로 인해 별이 숨듯이 드물게 보이는 것처럼 대인(大人)이 나타남에 소인(小人)이 빛을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月: 明: 밝을 星: 稀: 드물

  • 朝花夕(조화월석) : 음력 2월 보름과 8월 보름.
    朝: 아침 花: 月: 夕: 저녁

  • 明淨色(명정월색) : 밝고 맑은 달빛.
    明: 밝을 淨: 깨끗할 月: 色:

  • 如流(세월여류) : 세월이 흐르는 물과 같다는 뜻으로, 세월이 매우 빨리 흘러감을 이르는 말.
    歲: 月: 如: 같을 流: 흐를

  • 天高日明地厚草木生(천고일월명지후초목생) : 하늘이 높으니 해와 달은 밝으며, 땅이 두터우니 풀과 나무가 남.
    天: 하늘 高: 높을 日: 月: 明: 밝을 地: 厚: 두터울 草: 木: 나무 生:

  • 星辰(일월성신) : 해와 달과 별을 통틀어 이르는 말.
    日: 月: 星: 辰:

  • 癡猿捉(치원착월) : 어리석은 원숭이가 달을 잡는다는 뜻으로, 물에 비친 달을 잡으려는 어리석은 원숭이의 행동처럼 무지하고 무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癡: 어리석을 猿: 원숭이 捉: 잡을 月:

  • 春花秋(춘화추월) : 봄철의 꽃과 가을철의 달이라는 뜻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春: 花: 秋: 가을 月:

  • 野廣天低樹江淸近人(야광천저수강청월근인) : 들이 넓으니 하늘이 나무보다 낮은 듯하고, 강이 맑으니 달이 사람에게 가까이 있는 듯함.
    野: 廣: 넓을 天: 하늘 低: 낮을 樹: 나무 江: 淸: 맑을 月: 近: 가까울 人: 사람

  • 光風(제월광풍) : 마음이 넓고 쾌활하여 아무 거리낌이 없는 인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황정견이 주돈이의 인품을 평한 데서 유래한다.
    霽: 月: 光: 風: 바람

  • 羞花(폐월수화) : 달도 숨고 꽃도 부끄러워한다는 뜻으로, 달과 꽃도 모두 숨고 부끄러워할 정도인 미인(美人)의 자태를 이르는 말. ‘閉羞花’로도 표현함.
    蔽: 가릴 月: 羞: 부끄러울 花:

  • 淸風明(청풍명월) : 맑은 바람과 밝은 달.
    淸: 맑을 風: 바람 明: 밝을 月:

  • 爲燭(명월위촉) : 밝은 달빛으로 촛불을 대신함.
    明: 밝을 月: 爲: 燭: 촛불

  • 積年累(적년누월) : 오랜 세월. 또는 여러 해를 거듭함.
    積: 쌓을 年: 月:

  • 羞花閉(수화폐월) : 꽃도 부끄러워하고 달도 숨는다는 뜻으로, 여인의 얼굴과 맵시가 매우 아름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羞: 부끄러울 花: 閉: 닫을 月:

  • 年深歲(연심세월) : 세월이 매우 오래됨.
    深: 깊을 歲: 月:

  • 鏡花(수월경화) : 물에 비친 달과 거울 속에 비친 꽃이라는 뜻으로, 볼 수는 있어도 손으로 잡을 수 없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水: 月: 鏡: 거울 花:

  • 堂狗風(당구풍월) : 서당에서 기르는 개가 풍월을 읊는다는 뜻으로, 그 분야에 대하여 경험과 지식이 전혀 없는 사람이라도 오래 있으면 얼마간의 경험과 지식을 가짐을 이르는 말.
    堂: 狗: 風: 바람 月:

  • 吳牛喘(오우천월) : 오우가 더위를 두려워한 나머지 밤에 달이 뜨는 것을 보고도 해인가 하고 헐떡거린다는 뜻으로, 간이 작아 공연한 일에 미리 겁부터 내고 허둥거리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세설신어≫의 <언어편(言語篇)>에서 유래한다.
    吳: 나라 이름 牛: 喘: 헐떡거릴 月:

  • 汝南旦(여남월단) : 여남지방의 매월 첫날 평이라는 뜻으로, 여남지방의 허소(許昭)와 그 종형 허정(許靖)이라는 사람이 매월 첫날에 향리의 인물들을 평가했는데, 아주 정확하여 후에 조조의 평까지 남길 정도로 유명해졌다는 고사에서 유래.<후한서>.
    汝: 南: 남녘 月: 旦: 아침

  • 露風雲(월로풍운) : 달, 이슬, 바람, 구름이라는 뜻으로, 시문을 짓는 것이 露風雲을 형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무용무익(無用無益)한 문사(文辭)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月: 露: 이슬 風: 바람 雲: 구름

  • 看雲步(간운보월) : 구름을 바라보거나 달빛 아래 거닌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집을 생각함을 이르는 말.
    看: 雲: 구름 步: 걸을 月:

  • 太白捉(태백착월) : 이백(李白)이 술에 취(醉)하여 채석강(采石江)에서 물 속의 달을 잡으려다 죽은 일을 이르는 말.
    太: 白: 捉: 잡을 月:

  • 雲心性(운심월성) : 구름 같은 마음과 달 같은 성품이라는 뜻으로, 맑고 깨끗하여 욕심이 없음을 이르는 말.
    雲: 구름 心: 마음 月: 性: 성품

  • 花容態(화용월태) : 아름다운 여인의 얼굴과 맵시를 이르는 말.
    花: 容: 얼굴 月: 態: 모양

  • 花鳥風(화조풍월) : (1)꽃과 새와 바람과 달이라는 뜻으로, 천지간의 아름다운 경치를 이르는 말. (2)멋스럽고 풍치가 있는 일. 또는 그렇게 노는 일.
    花: 鳥: 風: 바람 月:

  • 飛霜(하월비상) : 여름철에 서리가 날린다는 뜻으로, 본래 중국 하(夏)나라 걸왕(桀王)의 포악무도(暴惡無道)로 인해 여름철에도 서리가 내리는 변고(變故) 있었음을 이르는 말.
    夏: 여름 月: 飛: 霜: 서리

  • 生年日(생년월일) : 태어난 해와 달과 날.
    生: 年: 月: 日:

  • 鏡花水(경화수월) : 거울에 비친 꽃과 물에 비친 달이라는 뜻으로, 눈으로 볼 수 있으나 잡을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문에서 느껴지기는 하나 표현할 수 없는 미묘한 정취를 이른다.
    鏡: 거울 花: 水: 月:

  • 光風霽(광풍제월) : (1)비가 갠 뒤의 맑게 부는 바람과 밝은 달. (2)마음이 넓고 쾌활하여 아무 거리낌이 없는 인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황정견이 주돈이의 인품을 평한 데서 유래한다.
    光: 風: 바람 霽: 月:

  • 鳥宿池邊樹僧敲下門(조숙지변수승고월하문) : 새는 못가의 나무에서 잠자고, 스님은 달 아래의 문을 두드림.
    鳥: 宿: 묵을 池: 邊: 樹: 나무 僧: 敲: 두드릴 月: 下: 아래 門:

  • 空山明(공산명월) : (1)사람 없는 빈산에 외로이 비치는 밝은 달. (2)‘대머리’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空: 山: 明: 밝을 月:

  • 嘯風弄(소풍농월) : 바람에 휘파람 불고 달을 희롱한다는 뜻으로, 자연 풍경을 구경하며 즐김을 이르는 말.
    嘯: 휘파람불 風: 바람 月:

  • 諺文風(언문풍월) : (1)예전에, 한글로 지은 시가(詩歌)를 이르던 말. (2)격식을 갖추지 아니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諺: 상말 文: 글월 風: 바람 月:

  • 花朝夕(화조월석) : (1)꽃 피는 아침과 달 밝은 밤이라는 뜻으로, 경치가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2)음력 2월 보름과 8월 보름.
    花: 朝: 아침 月: 夕: 저녁

  • 主人(풍월주인) : 맑은 바람과 밝은 달 따위의 아름다운 자연을 즐기는 사람.
    風: 바람 月: 主: 주인 人: 사람

#천하 94 #따위 228 #비유 1177 #어버이 60 #여자 101 #세월 71 #처음 91 #근본 66 #경계 56 #의미 1817 #물건 136 #군자 56 #세상 339 #생활 82 #음식 79 #중국 253 #아내 81 #어려움 105 #관계 90 #사물 172 #경우 64 #바람 136 #의지 69 #얼굴 99 #때문 58 #방법 59 #나라 392 #행동 137 #예전 60 #신하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