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있을 ,
  • 있다 , , 많다 , 자재(資材) , 보유(保有)하다
  • 손에 고깃덩이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가지고 있다'는 소유의 의미 생성. 혹 자형의 분류에 따라 달 월[月] 부수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 에 관한 한자 모두 117

  • 長幼有序 획순 長幼序(장유유서) : 오륜(五倫)의 하나.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長: 幼: 어릴 有: 있을 序: 차례

  • 百官有司 획순 百官司(백관유사) : 조정(朝廷)의 많은 벼슬아치. 또는 모든 관리(官吏).
    百: 일백 官: 벼슬 有: 있을 司: 맡을

  • 殺生有擇 획순 殺生擇(살생유택) :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殺: 죽일 生: 有: 있을 擇: 가릴

  • 出言有章 획순 出言章(출언유장) : 나오는 말마다 문채가 있다는 뜻으로, 하는 말이 아름답고 훌륭함을 이르는 말.
    出: 言: 말씀 有: 있을 章: 문채

  • 開卷有得 획순 開卷得(개권유득) : 책을 열면 소득이 있다는 뜻으로, 책을 읽게 되면 항상 유익함을 얻게 된다는 의미.
    開: 卷: 有: 있을 得: 얻을

  • 將門將(장문유장) : 장수(將帥) 집안에서 장수(將帥)가 남.
    將: 장수 門: 有: 있을 將: 장수

  • 召禍(언유소화) : 말은 화를 부름이 있다는 뜻으로, 말은 이따금 화단(禍端)을 불러올 수 있음을 이르는 말.
    言: 말씀 有: 있을 召: 부를 禍: 재난

  • 餘地(작유여지) : ‘작유여지하다’의 어근.
    綽: 너그러울 有: 있을 餘: 남을 地:

  • 升降(도유승강) : 길에는 오르고 내림이 있다는 뜻으로, 천도에는 크게 융성(隆盛)함과 쇠망(衰亡)함의 두 가지가 있다는 말.
    道: 有: 있을 升: 降: 내릴

  • 弟雖過須勿聲責(제수유과수물성책) : 아우에게 비록 허물이 있더라도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않음.
    弟: 아우 雖: 비록 有: 있을 過: 지날 須: 모름지기 勿: 聲: 소리 責: 꾸짖을

  • 心中心(심중유심) : 마음 속에 마음이 있다는 뜻으로, 마음으로써 마음을 견제한다는 의미에서 이성(理性)으로써 감성(感性)을 억제하는 것 같은 뜻으로 사용됨.
    心: 마음 中: 가운데 有: 있을 心: 마음

  • 他人心予忖度之(타인유심여촌탁지) : 다른 사람의 심정(心情)을 나는 잘 짐작(斟酌)해 앎을 이르는 말.
    他: 다를 人: 사람 有: 있을 心: 마음 予: 忖: 헤아릴 度: 헤아릴 之:

  • 無相生(유무상생) : 유와 무가 서로 생겨난다는 뜻으로, 無가 서로 교호(交互)하여 생겨나는 것에서, 유에서 무가 무에서 유가 생겨나는 상대적 관계를 이르는 말.
    有: 있을 無: 없을 相: 서로 生:

  • 餘力(행유여력) : 일을 다 하고도 오히려 힘이 남음.
    行: 有: 있을 餘: 남을 力:

  • 若網在綱條不紊(약망재강유조불문) : 망(網)은 여러 가닥의 실을 떠서 만들어 풀어지기 쉬우나 한 가닥의 벼리로 위쪽 코를 꿰매면 조금도 흩어지지 않는다는 말.
    若: 같을 網: 그물 在: 있을 綱: 벼리 有: 있을 條: 가지 不: 아니 紊: 어지러울

  • 前途望(전도유망) : 앞으로 잘될 희망이 있음.
    前: 途: 有: 있을 望: 바랄

  • 紀極(망유기극) : 기율(紀律)에 어그러짐이 매우 심함.
    罔: 그물 有: 있을 紀: 벼리 極: 다할

  • 終(유시유종) : 처음도 있고 끝도 있다는 뜻으로, 시작한 일을 끝까지 마무리함을 이르는 말.
    有: 있을 始: 처음 有: 있을 終: 끝날

  • 擇言(망유택언) : 말이 모두 법에 맞아 골라 낼 것이 없음.
    罔: 그물 有: 있을 擇: 가릴 言: 말씀

  • 慈母敗子(자모유패자) : 자애(慈愛)가 지나친 어머니의 슬하에서는 도리어 방자(放恣)하고 버릇없는 자식(子息)이 나옴을 이르는 말.
    慈: 사랑 母: 어미 有: 있을 敗: 패할 子: 아들

  • 之年(대유지년) : 큰 소득이 있는 해라는 뜻으로, 크게 풍년(豊年)이 든 해를 의미함.
    大: 有: 있을 之: 年:

  • 懷璧罪(회벽유죄) :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귀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懷: 품을 璧: 둥근 옥 有: 있을 罪: 허물

  • 過失和氣以諫(형유과실화기이간) : 형에게 과실(過失)이 있으면 아우는 온화(溫和)한 기색(氣色)으로 간(諫)함.
    兄: 有: 있을 過: 지날 失: 잃을 和: 고를 氣: 기운 以: 諫: 간할

  • 良心(상유양심) : 악한 일을 한 사람에게도 양심은 남아 있다는 뜻으로, 바르게 인도할 여지가 있음을 이르는 말.
    尙: 오히려 有: 있을 心: 마음

  • 賢妻丈夫不遭橫事(가유현처장부부조횡사) : 가정(家庭)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남편(男便)은 부정(不正)한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家: 有: 있을 賢: 어질 妻: 아내 丈: 어른 夫: 지아비 不: 아닌가 遭: 만날 橫: 가로 事:

  • 朋友信(붕우유신) : 오륜(五倫)의 하나.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朋: 友: 有: 있을 信: 믿을

  • 西施所醜(서시유소추) : 미인(美人)인 서시에게도 추한 데가 있다는 뜻으로, 현인(賢人)에게도 단점(短點)이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西: 서녘 施: 베풀 有: 있을 所: 醜: 더러울

  • 擇友交之所補益(택우교지유소보익) : 벗을 가려 사귀면 도움과 유익(益)함이 있을 것임.
    擇: 가릴 友: 交: 사귈 之: 有: 있을 所: 補: 기울 益: 더할

  • 服之親(유복지친) : 복제(服制)에 따라 상복을 입어야 하는 가까운 친척.
    有: 있을 服: 之: 親: 친할

  • 何常師之(하상사지유) : '어찌 일정(一定)한 스승이 있으리오'라는 뜻으로, 성인(聖人)에게는 일정(一定)한 스승이 없음을 이르는 말.
    何: 어찌 常: 항상 師: 스승 之: 有: 있을

  • 懷玉罪(회옥유죄) :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귀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懷: 품을 玉: 구슬 有: 있을 罪: 허물

  • 德必隣(덕필유린) : 덕이 있으면 따르는 사람이 있어 외롭지 않음을 이르는 말.
    德: 必: 반드시 有: 있을 隣: 이웃

  • 觀念(본유관념) : 감각이나 경험에 의해서가 아니고 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선천적 관념. 데카르트, 라이프니츠는 이러한 관념의 존재를 역설하였으나, 로크는 이것을 반대하였다.
    本: 有: 있을 觀: 念: 생각

  • 父子親(부자유친) : 오륜(五倫)의 하나.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父: 아비 子: 아들 有: 있을 親: 친할

  • 一體(만유일체) : 우주의 온갖 것은 한 몸임.
    萬: 일만 有: 있을 一: 體:

  • 始無終(유시무종) : 처음은 있되 끝이 없다는 뜻으로, 시작한 일의 마무리를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有: 있을 始: 처음 無: 없을 終: 끝날

  • 餘睾(사유여고) : 죽어도 오히려 죄(罪)가 남음.
    死: 죽을 有: 있을 餘: 남을 睾:

  • 父母疾捨置他事(부모유질사치타사) : 부모(父母)님이 병환(病患)을 앓으시면 다른 일은 버려둠.
    父: 아비 母: 어미 有: 있을 疾: 捨: 버릴 置: 他: 다를 事:

  • 父子親君臣義(부자유친군신유의) :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臣下) 사이에는 의리(義理)가 있어야 함.
    父: 아비 子: 아들 有: 있을 親: 친할 君: 임금 臣: 신하 有: 있을 義: 옳을

  • 盜亦道(도역유도) : 도둑에게도 도둑 나름의 도덕이 있음을 이르는 말.
    盜: 도둑 亦: 有: 있을 道:

  • 父母命府首聞之(부모유명부수문지) : 부모(父母)님께서 명하심이 있으면 머리를 숙이고 들어야 함.
    父: 아비 母: 어미 有: 있을 命: 목숨 府: 곳집 首: 머리 聞: 들을 之:

  • 舌底斧(설저유부) : 혀 아래에 도끼가 들었다는 뜻으로, 말을 잘못하면 화를 불러일으키니 말을 늘 삼가라는 말.
    舌: 底: 有: 있을 斧: 도끼

  • 事之無(사지유무) : 일의 있음과 없음.
    事: 之: 有: 있을 無: 없을

  • 口不言(유구불언) : 사정이 거북하거나 따분하여 말을 하지 않음.
    有: 있을 口: 不: 아니 言: 말씀

  • 言中骨(언중유골) : 말 속에 뼈가 있다는 뜻으로, 예사로운 말 속에 단단한 속뜻이 들어 있음을 이르는 말.
    言: 말씀 中: 가운데 有: 있을 骨:

  • 曲折(필유곡절) : 반드시 무슨 까닭이 있음.
    必: 반드시 有: 있을 曲: 굽을 折: 꺾을

  • 一德(함유일덕) : 임금과 신하(臣下)가 다 한 가지 덕이 있음.
    咸: 有: 있을 一: 德:

  • 終之美(유종지미) : 한번 시작한 일을 끝까지 잘하여 끝맺음이 좋음.
    有: 있을 終: 끝날 之: 美: 아름다울

  • 風景(별유풍경) : 좀처럼 볼 수 없는 아주 좋은 풍경.
    別: 나눌 有: 있을 風: 바람 景:

  • 稱家無(칭가유무) : 집의 유무에 맞춘다는 뜻으로, 집의 빈부에 따라, 곧 가산(家産)에 따라 일을 알맞게 함을 이르는 말.
    稱: 일컬을 家: 有: 있을 無: 없을

  • 心故造(유심고조) : 마음이 있어 일부러 만든다는 뜻으로, 남의 다리를 잡아당기거나 쓰러뜨리려고 음모를 꾀하고 일부러 일을 벌인다는 의미.
    有: 있을 心: 마음 故: 造: 지을

  • 頭無尾(유두무미) : 머리는 있어도 꼬리가 없다는 뜻으로, 시작은 있어도 마침이 없다는 의미나 일이 흐지부지 끝나버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有: 있을 頭: 머리 無: 없을 尾: 꼬리

  • 寸之玉必瑕適(촌지옥필유하적) : 아주 작은 옥에도 반드시 티가 있다는 뜻으로, 완전(完全)한 것이란 없음을 이르는 말.
    寸: 마디 之: 玉: 구슬 必: 반드시 有: 있을 瑕: 適:

  • 耶無耶(유야무야) : 있는 듯 없는 듯 흐지부지함.
    有: 있을 耶: 어조사 無: 없을 耶: 어조사

  • 疾病卽必藥之(사유질병즉필약지) : 스승께 질병(疾病)이 있으면 곧 반드시 약을 지어 치료(治療)해 드려야 함.
    師: 스승 有: 있을 疾: 病: 卽: 必: 반드시 藥: 之:

  • 過失怡聲以訓(제유과실이성이훈) : 아우에게 과실(過失)이 있으면 형은 온화(溫和)한 목소리로 훈계(訓戒)해야 함.
    弟: 아우 有: 있을 過: 지날 失: 잃을 怡: 기뻐할 聲: 소리 以: 訓: 가르칠

  • 退後言(퇴유후언) : 물러나서 뒷말이 있다는 뜻으로, 나중에 뒤에서 욕을 하거나 숨어서 욕함을 이르는 말.
    退: 물러날 有: 있을 後: 言: 말씀

  • 忙中閑(망중유한) : 바쁜 가운데 한가한 겨를이 있음.
    忙: 바쁠 中: 가운데 有: 있을 閑: 한가할

  • 歡樂兄弟亦樂(아유환락형제역락) : 나에게 기쁨과 즐거움이 있으면 형과 아우도 또한 즐거워함.
    我: 有: 있을 歡: 기뻐할 樂: 즐거울 兄: 弟: 아우 亦: 樂: 즐거울

  • 夫婦別長幼序(부부유별장유유서) : 남편(男便)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分別)이 있어야 하고,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次例)가 있어야 함.
    夫: 지아비 婦: 며느리 有: 있을 別: 나눌 長: 幼: 어릴 有: 있을 序: 차례

  • 終始(사유종시) : 일은 시작과 끝이 있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는 일의 순서상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과 나중에 해야 할 일이 있기 마련이라는 의미.
    事: 有: 있을 終: 끝날 始: 처음

  • 尺地莫非其(척지막비기유) : 한 자의 땅도 그의 소유(所) 아닌 것이 없다는 뜻으로, 임금이 천하(天下)의 모든 땅을 다 갖고 있음을 이르는 말.
    尺: 地: 莫: 없을 非: 아닐 其: 有: 있을

  • 充然得(충연유득) : 마음에 부족함이 없어 흐뭇함.
    充: 然: 그러할 有: 있을 得: 얻을

  • 綽綽餘裕(작작유여유) : 어떤 일을 당(當)하여 조금도 흔들림이 없으면 여유(餘裕)가 있고 침착(沈着)함.
    綽: 너그러울 綽: 너그러울 有: 있을 餘: 남을 裕: 넉넉할

  • 夫婦別(부부유별) : 오륜(五倫)의 하나.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夫: 지아비 婦: 며느리 有: 있을 別: 나눌

  • 耳(벽유이) : 벽에 귀가 있다는 뜻으로, 비밀은 새기 쉽다는 것을 경계하는 의미의 속담.
    壁: 有: 있을 耳:

  • 口無言(유구무언) : 입은 있어도 말은 없다는 뜻으로, 변명할 말이 없거나 변명을 못함을 이르는 말.
    有: 있을 口: 無: 없을 言: 말씀

  • 耕者田(경자유전) : 밭을 가는 사람이 밭을 소유해야 한다는 뜻으로, 실지로 농사를 짓는 사람이 그 농토를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의미인데, 고대부터 현대까지 항상 토지 개혁의 이상적 목표로 설정되어 온 가치의 원칙이나 이루어지지 않음을 시사한다.
    耕: 者: 有: 있을 田:

  • 天下三危(천하유삼위) : 세상(世上)에 세 가지 위험(危險)한 일이 있다는 뜻으로, 덕이 적은 사람이 총애(寵愛)를 받고, 재능(才能)이 없는 사람이 높은 지위(地位)에 있으며, 큰공이 없는 사람이 녹을 많이 받는 일.
    天: 하늘 下: 아래 有: 있을 三: 危: 위태할

  • 名無實(유명무실) : 이름만 그럴듯하고 실속은 없음.
    有: 있을 名: 이름 無: 없을 實: 열매

  • 未曾(미증유) : 지금까지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음.
    未: 아닐 曾: 일찍 有: 있을

  • 死無二(유사무이) : 죽음이 있어도 둘은 없다는 뜻으로, 죽는 한이 있어도 두 마음을 품지 않음을 이르는 말.
    有: 있을 死: 죽을 無: 없을 二:

  • 憂患兄弟亦憂(아유우환형제역우) : 나에게 근심과 걱정이 있으면 형과 아우도 또한 근심함.
    我: 有: 있을 憂: 근심 患: 근심 兄: 弟: 아우 亦: 憂: 근심

  • 綽綽餘(작작유여) : ‘작작유여하다’의 어근.
    綽: 너그러울 綽: 너그러울 有: 있을 餘: 남을

  • 年所(적유년소) : 여러 해.
    積: 쌓을 有: 있을 年: 所:

  • 言中響(언중유향) : 말 속에 울림이 있다는 뜻으로, 내용 이상의 깊은 뜻이 있음을 이르는 말.
    言: 말씀 中: 가운데 有: 있을 響: 울림

  • 君臣義(군신유의) : 오륜(五倫)의 하나.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君: 임금 臣: 신하 有: 있을 義: 옳을

  • 害無益(유해무익) : 해롭기만 하고 이로움이 없음.
    有: 있을 害: 해칠 無: 없을 益: 더할

  • 積惡之家必餘殃(적악지가필유여앙) : 악함을 쌓는 집에는 반드시 자손(子孫)에게까지 미치는 재앙(災殃)이 있음.
    積: 쌓을 惡: 악할 之: 家: 必: 반드시 有: 있을 餘: 남을 殃: 재앙

  • 乾坤(별유건곤) : 좀처럼 볼 수 없는 아주 좋은 세상. 또는 딴 세상.
    別: 나눌 有: 있을 乾: 마를 坤: 곤괘

  • 才學兼(재학겸유) : 재주와 학식을 아울러 갖춤.
    才: 재주 學: 배울 兼: 겸할 有: 있을

  • 老病孤舟(노병유고주) : 늙고 병든 몸을 의탁(依託)할 것은 오직 작은 배 한 척 뿐이라는 뜻으로, 노후(老後)의 고적(孤寂)함을 형용(形容)하는 말.
    病: 有: 있을 孤: 외로울 舟:

  • 之情(자유지정) : 사람이 나면서부터 지니고 있는 정. 인(仁), 의(義), 예(禮), 지(智) 등에 근원을 둔 정을 이른다.
    自: 스스로 有: 있을 之: 情:

  • 天若情天亦老(천약유정천역로) : 하늘도 정(情)이 있다면 사람과 같이 늙을 것이라는 뜻으로, 정(情)을 가진 것을 늙고, 정(情)이 없는 것은 늙지 않음을 이르는 말.
    天: 하늘 若: 같을 有: 있을 情: 天: 하늘 亦: 老: 늙을

  • 父母病憂而謀療(부모유병우이모료) : 부모(父母)님이 병중에 계시면 근신(謹愼)하며 병이 낫게 할 것을 꾀함.
    父: 아비 母: 어미 有: 있을 病: 憂: 근심 而: 말 이을 謀: 꾀할 療: 병고칠

  • 無中生(무중생유) : (1)우주 만물은 무(無)에서 생겨남. (2)억지로 사건을 만들어 말썽을 일으킴.
    無: 없을 中: 가운데 生: 有: 있을

  • 德不孤必隣(덕불고필유린) : 덕이 있으면 따르는 사람이 있으므로 외롭지 않다는 뜻.
    德: 不: 아니 孤: 외로울 必: 반드시 有: 있을 隣: 이웃

  • 所短寸所長(척유소단촌유소장) : 한 자의 길이도 짧을 때가 있고, 한 치의 길이도 길 때가 있다는 뜻으로, 물건(物件)은 쓰는 용도(用途)에 따라 가치(價値)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尺: 有: 있을 所: 短: 짧을 寸: 마디 有: 있을 所: 長:

  • 重開日人無更少年(화유중개일인무갱소년) : 꽃은 다시 피는 날이 있으나, 사람은 다시 젊은 날은 없음.
    花: 有: 있을 重: 무거울 開: 日: 人: 사람 無: 없을 更: 다시 少: 적을 年:

  • 志之士(유지지사) : 어떤 일에 뜻이 있거나 관심이 있는 사람.
    有: 있을 志: 之: 士: 선비

  • 天地(별유천지) : 특별히 경치가 좋거나 분위기가 좋은 곳.
    別: 나눌 有: 있을 天: 하늘 地:

  • 意莫遂(유의막수) : 마음은 간절하여도 뜻대로 되지 않음.
    有: 있을 意: 莫: 없을 遂: 드디어

  • 長短(호유장단) : 서로 장단점이 있음.
    互: 서로 有: 있을 長: 短: 짧을

  • 何難之(하난지유) : 아무것도 어려울 것이 없다는 뜻으로, 아주 쉬움을 이르는 말.
    何: 어찌 難: 어려울 之: 有: 있을

  • 道而正(취유도이정) : 평소(平素) 자기(自己)가 행(行)하는 바가 옳은지 그른지를 학덕(學德)이 높은 이에게 물어 바로잡음.
    就: 이룰 有: 있을 道: 而: 말 이을 正: 바를

  • 形無跡(유형무적) : 혐의는 있으나 증거가 없음.
    有: 있을 形: 형상 無: 없을 跡: 자취

  • 天下(부유천하) : 온 천하의 재부를 혼자 차지했다는 뜻으로, 천자의 부력(富力)을 이르는 말.
    富: 가멸 有: 있을 天: 하늘 下: 아래

  • 積善之家必餘慶(적선지가필유여경) : 적선하는 집안에는 반드시 경복이 남아 있다는 뜻으로, 착한 일을 계속(繼續)해서 하면 복이 자신(自身) 뿐만 아니라 자손(子孫)에까지도 미친다는 말.
    積: 쌓을 善: 착할 之: 家: 必: 반드시 有: 있을 餘: 남을 慶: 경사

  • 抱璧罪(포벽유죄) :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귀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抱: 안을 璧: 둥근 옥 有: 있을 罪: 허물

  • 事端(필유사단) : 반드시 무슨 까닭이 있음.
    必: 반드시 有: 있을 事: 端: 바를

2
#상황 119 #백성 105 #관계 90 #아래 86 #상태 110 #무리 64 #조금 96 #이치 67 #처음 91 #목숨 58 #재능 61 #물건 136 #고사 108 #신하 62 #노력 69 #싸움 61 #때문 58 #모습 66 #형제 68 #가운데 104 #유래 280 #머리 141 #세상 339 #군자 56 #하늘 251 #실패 56 #음식 79 #인간 65 #이익 89 #구름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