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나무
  • 나무 , 오행(五行)의 첫째 , 나무를 재료로 하여 만든 기구 , , 고랑·차꼬 등 형구(刑具)
  • 나무의 줄기의 가지와 뿌리까지 표현. 片(편)과 爿(장)은 나무를 자른 양쪽 반쪽으로 ‘조각’의 뜻이 됨

# 에 관한 한자 모두 70

  • 風木之悲 획순 之悲(풍목지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風: 바람 木: 나무 之: 悲: 슬플

  • 圓孔方木 획순 圓孔方(원공방목) :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圓: 둥글 孔: 구멍 方: 木: 나무

  • 草木俱朽 획순 俱朽(초목구후) :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草: 木: 나무 俱: 함께 朽: 썩을

  • 圓木警枕 획순 警枕(원목경침) : 둥근 나무로 만든 경계하는 베개라는 뜻으로, 둥근 목침으로 베개가 굴러 잠에서 깨도록 만든 것인데, 고학(苦學)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로 사용됨.
    圓: 둥글 木: 나무 警: 경계할 枕: 베개

  • 獨木不成林 획순 不成林(독목불성림) : 홀로 선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한다는 뜻으로, 여럿이 힘을 합쳐야 일이 된다는 의미(意味).
    獨: 홀로 木: 나무 不: 아니 成: 이룰 林: 수풀

  • 草根皮(초근목피) : (1)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한약의 재료를 이르는 말.
    草: 根: 뿌리 木: 나무 皮: 가죽

  • 十伐之(십벌지목) : 열 번 찍어 베는 나무라는 뜻으로,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을 이르는 말.
    十: 伐: 之: 木: 나무

  • 偶石人(목우석인) : 나무나 돌로 만든 사람의 형상.
    木: 나무 偶: 石: 人: 사람

  • 難支(일목난지) : 한 나무로는 지탱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큰 집이 무너지는 것을 한 기둥으로는 받치지 못하는 것처럼, 기울어지는 대세를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一: 木: 나무 難: 어려울 支: 가를

  • 偶人衣(목우인의) : 나무로 만든 인형에 좋은 옷을 입힌다는 뜻으로, 무능한 사람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
    木: 나무 偶: 人: 사람 衣:

  • 橋冤家遭(독목교원가조) : 원수(怨讐)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회피(回避)할 수 없는 경우(境遇)를 가리킴. 일이 나쁜 형태(形態)로 공교(工巧)롭게 마주치는 것을 이르는 말.
    獨: 홀로 木: 나무 橋: 다리 冤: 원통할 家: 遭: 만날

  • 剛毅訥(강의목눌) : 강직하고 굳세며 순박하고 말투가 어눌함.
    剛: 굳셀 毅: 굳셀 木: 나무 訥: 말더듬을

  • 怒生(초목노생) : 봄이 되어 초목이 싱싱하게 싹이 틈.
    草: 木: 나무 怒: 성낼 生:

  • 人石心(목인석심) : 나무 같은 사람과 돌 같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의지가 굳어 어떤 유혹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쓰이거나, 목석 같이 감정이 없는 사람의 의미로도 쓰임.
    木: 나무 人: 사람 石: 心: 마음

  • 石草花(목석초화) : 나무ㆍ돌ㆍ풀ㆍ꽃이라는 뜻으로, ‘자연’을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草: 花:

  • 爲吏(각목위리) : 나무를 깎아 관리(官吏)의 형상을 만든다는 뜻으로, 옥리(獄吏)를 심(甚)히 미워해 이르는 말.
    刻: 새길 木: 나무 爲: 吏: 벼슬아치

  • 土牛馬(토우목마) : 흙으로 만든 소와 나무로 만든 말이라는 뜻으로, 겉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는 것처럼, 가문이 좋을 뿐 아무 재능이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土: 牛: 木: 나무 馬:

  • 石(목석) : (1)나무와 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 生水(건목생수) : 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乾: 마를 木: 나무 生: 水:

  • 同腐(초목동부) :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草: 木: 나무 同: 한가지 腐: 썩을

  • (효목) :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이 매달던 나무.
    梟: 올빼미 木: 나무

  • 發榮(고목발영) :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枯: 마를 木: 나무 發: 榮: 영화

  • 生花(고목생화) :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枯: 마를 木: 나무 生: 花:

  • 石不傅(목석불부) : 나무에도 돌에도 붙일 데가 없다는 뜻으로, 의지할 곳이 없는 처지를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不: 아니 傅: 스승

  • 合抱之生於毫末(합포지목생어호말) : 한아름되는 나무도 싹에서 자란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은 미세(微細)한 것에서 시작(始作)됨을 이르는 말.
    合: 합할 抱: 안을 之: 木: 나무 生: 於: 어조사 毫: 가는 털 末:

  • 化被草(화피초목) : 덕화(德化)가 사람이나 짐승 뿐만 아니라 초목(草)에까지도 미침을 말함.
    化: 화할 被: 이불 草: 木: 나무

  • 子得國(목자득국) : 고려 중기의 동요. ‘목자’는 ‘이’의 파자(破字)로서 이씨가 장차 왕이 될 것임을 예언한 노래이다. ≪고려사≫에 전하며 작자와 가사는 알 수 없다.
    木: 나무 子: 아들 得: 얻을 國: 나라

  • 難上之勿仰(난상지목물앙) : 오르지 못할 나무 쳐다보지도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될 수 없는 일은 바라지 말라는 뜻.
    難: 어려울 上: 之: 木: 나무 勿: 仰: 우러를

  • 先伐(직목선벌) : 곧은 나무가 먼저 베어진다는 뜻으로, 유능함 때문에 오히려 천수(天壽)를 다 누리지 못할 수 있다는 의미. <莊子(장자)>.
    直: 곧을 木: 나무 先: 먼저 伐:

  • 難上之不可仰(난상지목불가앙) : 오르지 못할 나무 쳐다보지도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될 수 없는 일은 바라지 말라는 뜻.
    難: 어려울 上: 之: 木: 나무 不: 아니 可: 옳을 仰: 우러를

  • 空山(락목공산) : (1)나뭇잎이 다 떨어져 텅 비고 쓸쓸한 산. (2)‘낙목공산’의 북한어.
    木: 나무 空: 山:

  • 形骸(토목형해) : 흙과 나무로 된 뼈대라는 뜻으로, 외형을 장식하거나 덧붙이지 아니한 상태를 이르는 말.
    土: 木: 나무 形: 형상 骸: 해골

  • 聲振林(성진임목) : 목소리가 숲의 나무를 떨게 한다는 뜻으로, 노랫소리의 격렬함을 비유하는 말.
    聲: 소리 振: 떨칠 木: 나무

  • 良禽擇(양금택목) : (1)‘양금택목’의 북한어. (2)좋은 새는 나무를 가려서 깃들인다는 뜻으로, 훌륭한 사람은 좋은 군주를 가려서 섬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禽: 날짐승 擇: 가릴 木: 나무

  • 富義(간목부의) : 단간목(段干)은 의로움이 대단함.
    干: 방패 木: 나무 富: 가멸 義: 옳을

  • 不蔭(악목불음) : 나쁜 나무는 그늘도 없다는 뜻으로, 좋지 못한 사람에게는 사랄 것이 없다는 의미.
    惡: 악할 木: 나무 不: 아니 蔭: 덕택

  • 石肝腸(목석간장) : 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마음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肝: 腸: 창자

  • 之信(사목지신) :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백성을 속이지 않는다는 데서, 백성에 대한 신임을 밝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의 상앙(商鞅)이 법령을 개정하려 할 때, 수도 남문의 큰 나무를 북문으로 옮기는 백성에게 상금을 걸었는데, 이를 옮기는 사람이 있자 약속대로 포상하여 법령을 신뢰할 수 있음을 보인 데서 유래한다.
    徙: 옮길 木: 나무 之: 信: 믿을

  • 旺之節(목왕지절) : 오행(五行)의 목기(氣)가 성한 때라는 뜻으로, ‘봄철’을 달리 이르는 말.
    木: 나무 旺: 성할 之: 節: 마디

  • 連抱之(련포지목) : (1)아름드리 큰 나무. (2)‘연포지목’의 북한어.
    抱: 안을 之: 木: 나무

  • 寒巖(고목한암) : 말라 죽은 나무가 선 것처럼 움직이지 않고, 마음은 죽은 재처럼 아무 생각이 없음, 사람의 무위무심(無爲無心)함을 이름.
    枯: 마를 木: 나무 寒: 巖: 바위

  • 之信(이목지신) : 나무를 옮기는 신의라는 뜻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위정자(爲政者)는 백성에 대한 약속을 반드시 지킴을 밝히는 일. [= 徙之信(사목지신)].
    移: 옮을 木: 나무 之: 信: 믿을

  • 寒天(낙목한천) : 나뭇잎이 다 떨어진 겨울의 춥고 쓸쓸한 풍경. 또는 그런 계절.
    木: 나무 寒: 天: 하늘

  • 皮三寸(목피삼촌) : 나무 껍질이 세 치라는 뜻으로, 몹시 두꺼움을 이르는 말.
    木: 나무 皮: 가죽 三: 寸: 마디

  • 向陽花(향양화목) : 볕을 잘 받은 꽃나무라는 뜻으로, 크게 잘될 사람을 이르는 말.
    向: 향할 陽: 花: 木: 나무

  • 石心腸(목석심장) : 나무와 돌 같은 마음과 속내라는 뜻으로, 감정이 없거나 인정이 없는 사람의 의미.
    木: 나무 石: 心: 마음 腸: 창자

  • 天高日月明地厚草生(천고일월명지후초목생) : 하늘이 높으니 해와 달은 밝으며, 땅이 두터우니 풀과 나무가 남.
    天: 하늘 高: 높을 日: 月: 明: 밝을 地: 厚: 두터울 草: 木: 나무 生:

  • 婚式(목혼식) : 서양 풍속에서, 결혼 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나무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木: 나무 婚: 혼인할 式:

  • 皆兵(초목개병) : (1)적을 두려워한 나머지 초목이 모두 적군으로 보인다는 뜻으로, 몹시 놀라서 두려워하며 의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군사의 수효가 너무 많아 산야에 가득 찬 상태.
    草: 木: 나무 皆: 兵: 군사

  • 盜泉(악목도천) : 더워도 나쁜 나무 그늘에서는 쉬지 않으며, 목이 말라도 도(盜)란 나쁜 이름이 붙은 샘물은 마시지 않는다는 뜻으로, 아무리 곤란(困難)해도 부끄러운 일은 하지 않음의 비유(比喩).
    惡: 악할 木: 나무 盜: 도둑 泉:

  • 依草附(의초부목) : 풀에 의지하고 나무에 붙는다는 뜻으로, 초목에 의지하는 것처럼 남에게 의뢰함을 이르거나, 불가(佛家)에서 사후(死後)에 다음 생(生)을 받지 못한 중간에 영혼이 초목의 그늘에 머물고 있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依: 의지할 草: 附: 붙을 木: 나무

  • 山川草(산천초목) : 산과 내와 풀과 나무라는 뜻으로, ‘자연’을 이르는 말.
    山: 川: 草: 木: 나무

  • 岑樓(촌목잠루) : 차이(差異)가 매우 심(甚)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寸: 마디 木: 나무 岑: 봉우리 樓: 다락

  • 從繩則正(목종승즉정) : 나무도 먹줄을 따르면 바로 된다는 뜻으로, 굽은 나무도 먹줄을 놓아서 깎으면 바르게 되는 거처럼 학문을 하거나 충고를 따르면 훌륭한 사람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木: 나무 從: 좇을 繩: 노끈 則: 正: 바를

  • 盲龜浮(맹귀부목) : 눈먼 거북이 우연히 뜬 나무를 붙잡았다는 뜻으로, 어려운 형편에 우연히 행운을 얻게 됨을 이르는 말.
    盲: 소경 龜: 거북 浮: 木: 나무

  • 泰山樑(태산양목) : 산 중(中)의 산인 태산(泰山)이나 지붕을 받치는 대들보처럼 의지(依支)가 되는 사람이나 의지(依支)할 수 있는 거룩한 것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泰: 山: 木: 나무

  • 盲龜遇(맹귀우목) : 눈먼 거북이 우연히 뜬 나무를 붙잡았다는 뜻으로, 어려운 형편에 우연히 행운을 얻게 됨을 이르는 말.
    盲: 소경 龜: 거북 遇: 만날 木: 나무

  • 竹頭屑(죽두목설) : 대나무 조각과 나무 부스러기라는 뜻으로, 쓸모가 적은 물건을 이르는 말.
    竹: 頭: 머리 木: 나무 屑: 가루

  • 堯鼓舜(요고순목) : 요임금의 북과 순임금의 나무라는 뜻으로, 요임금이 성문에 북을 매달아 간할 사람은 북을 처서 알리게 하고, 순임금은 잠목(箴)을 세워놓고 경계할 말을 쓰게 한 고사에서 성군(聖君)의 바른 정치의 전형으로 표현됨.
    堯: 요임금 鼓: 舜: 순임금 木: 나무

  • 壚酒店(목로주점) : (1)널빤지로 좁고 기다랗게 만든 상인 목로를 차려 놓고 술을 파는 집. (2)프랑스의 자연주의 문학의 거장 졸라의 소설. ≪루공 마카르 총서(叢書)≫의 제7권으로 1877년 간행했다. 여주인공인 제르베즈의 생애를 통해 문란한 생활과 알코올 중독으로 파멸해 가는 노동자들의 생활상을 그리고 있다.
    木: 나무 壚: 흑토 酒: 店: 가게

  • 櫃(로목궤) : (1)융통성이 전혀 없는 미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딸을 둔 노인이 거먕옻나무 궤를 짜서 남몰래 쌀 쉰닷 말을 넣어 두고 이것을 알아맞히는 사람을 사위로 삼기로 했는데, 그 사실을 알게 된 장사꾼이 사위가 된 후로 장인이 부르기만 하면, ‘노목궤, 쌀 쉰닷 말’ 하는 말만 되풀이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노목궤’의 북한어.
    木: 나무 櫃:

  • 水生(건목수생) : (1)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2)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乾: 마를 木: 나무 水: 生:

  • 糞墻(후목분장) : 썩은 나무와 썩은 담장이라는 뜻으로, 조각하거나 칠할 수 없는 나무나 조각처럼 정신이 썩어 있는 사람은 가르치기가 어렵거나, 처치 곤란한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기도 함. [= 朽糞土(후목분토)].
    朽: 썩을 木: 나무 糞: 墻:

  • 水生(강목수생) : 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剛: 굳셀 木: 나무 水: 生:

  • 誹謗之(비방지목) : 고대 중국에서 요임금이 자신의 정치에 대해 잘못된 점이나 불만을 가지게 된 점을 써 붙이도록 궁궐 다리에 세웠던 기둥을 이르는 말.
    誹: 헐뜯을 謗: 헐뜯을 之: 木: 나무

  • 死灰(고목사회) : 겉모습은 마른나무와 같고 마음은 재와 같다는 뜻으로, 생기와 의욕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枯: 마를 木: 나무 死: 죽을 灰:

  • 求魚(연목구어) :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緣: 가선 木: 나무 求: 구할 魚: 고기

  • 緣高望四方(연고목망사방) : 높은 나무 위에 올라가 사방(四方)을 바라보면 그 때는 유쾌(愉快)하지만, 큰바람이 일면 떨어질 염려(念慮)가 있다는 뜻으로, 아무런 공도 없이 큰 이득(利得)을 보는 사람을 경계(警戒)해 이르는 말.
    緣: 가선 高: 높을 木: 나무 望: 바랄 四: 方:

  • 石難得(목석난득) : 의지할 곳이 없는 처지를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難: 어려울 得: 얻을

  • 强則折(목강즉절) : 나무가 강하면 꺾어진다는 뜻으로, 강한 나무가 풍설(風雪)에 꺾이기 쉽듯이 너무 강하면 도리어 멸망하기 쉬움을 비유하는 말.
    木: 나무 强: 굳셀 則: 折: 꺾을

#편안 62 #때문 58 #이익 89 #나라 392 #방법 59 #세월 71 #이치 67 #어버이 60 #비유 1177 #사이 200 #은혜 70 #어머니 72 #근본 66 #고사 108 #나이 97 #죽음 73 #아내 81 #부모 136 #근심 65 #목숨 58 #상황 119 #형용 67 #학문 107 #행동 137 #머리 141 #가운데 104 #자리 94 #얼굴 99 #재주 82 #아래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