杖臺牢上(장대뇌상) 풀이

杖臺牢上

장대뇌상

감옥(監獄)살이로 고생(苦生)하는 신세(身世).

#고생 #살이 #신세 #감옥


한자 풀이:
  • (지팡이 ): 지팡이, 짚다, 잡다, 의지하다, 몽둥이.
  • (대 ): 대, 조정(朝廷), 성문(城門), 능묘(陵墓), 남을 높이는 존칭.
  • (우리 ): 우리, 깎다, 에워싸다, 약탈하다, 노략질함.
  • (위 ): 위, 오르다, 탐, 그 장소에 감, 표면.
🌏 杖臺牢上(장대뇌상) 웹스토리 보기
杖臺牢上(장대뇌상)의 의미: 감옥(監獄)살이로 고생(苦生)하는 신세(身世).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賊反荷(적반하) :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을 나무람을 이르는 말.
  • 莫如信(막여신) : 의지함은 신의 만한 것이 없다는 뜻으로, 남에게 의지함에는 신의(信義)보다 더 나은 것이 없다는 의미.
  • 伯兪泣(백유읍) : '백유가 매를 맞으며 운다'는 뜻으로, 늙고 쇠약해진 어머니의 모습을 보여 슬퍼함.

  • 滋味(태자미) : 태뢰{종묘 제례의 희생}의 진귀한 맛이라는 뜻으로, 나라의 제사에 희생으로 바치는 소, 양, 돼지의 고기를 모두 사용한 요리의 맛을 이르는 말.
  • 亡牛補(망우보)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뜻으로, 일이 이미 잘못된 뒤에는 손을 써도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
  • 亡羊補(망양보) : 양을 잃고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이미 어떤 일을 실패한 뒤에 뉘우쳐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 원래는 양을 잃은 뒤에 우리를 고쳐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실패해도 빨리 뉘우치고 수습하면 늦지 않는다는 말로 쓰였으나 현재는 주로 이와 같이 쓰이고 있다.


杖臺牢上(장대뇌상) 관련 한자

  • 妻城子獄 획순 妻城子獄(처성자옥) : 아내는 성(城)이고 자식은 감옥이라는 뜻으로, 처자가 있는 사람은 거기에 얽매여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草滿囹圄(초만영어) : 감옥 안에 풀이 가득 자랐다는 뜻으로, 나라를 잘 다스려 죄인이 없음을 이르는 말. ≪수서≫의 순리(循吏)편에 나오는 유광(劉曠)이라는 벼슬아치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甕算畵餠 획순 甕算畵餠(옹산화병) :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苦盡甘來(고진감래) :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을 이르는 말.
  • 沐露(목로) : (1)이슬에 젖음. (2)모든 일에 고생을 이겨 내며 부지런히 노력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曲眉豊頰 획순 曲眉豊頰(곡미풍협) : 굽은 눈썹과 풍만한 뺨이라는 뜻으로, 초승달 모양의 눈썹과 통통하게 살이 붙은 탐스러운 뺨이란 뜻으로, 고전적 동양 미인의 얼굴을 이르는 말.
  • 艾老(애로) : 쑥처럼 머리가 하얗게 세었다는 뜻으로, 쉰 살이 넘음 또는 그런 사람을 이르는 말.
  • 家徒壁立(가도벽립) : 가난한 집이라서 집 안에 세간살이는 하나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다는 말. ≪한서≫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에 나오는 말이다.

  • 萍水(평수) : 물 위에 뜬 개구리밥이라는 뜻으로,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猛虎爲鼠(맹호위서) : 사나운 호랑이가 쥐가 된다는 뜻으로, 범도 위엄을 잃으면 쥐 신세가 되듯이 제왕도 권력을 잃으면 권신의 제어를 받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자신 208 #잘못 93 #나무 166 #학문 107 #따위 228 #상태 110 #백성 105 #세상 339 #자식 104 #소리 96 #근본 66 #목숨 58 #사이 200 #자리 94 #자연 73 #군자 56 #물건 136 #근심 65 #예전 60 #무리 64 #동안 70 #실패 56 #벼슬 88 #아래 86 #형용 67 #표현 88 #구름 67 #마음 496 #싸움 61 #죽음 7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3개) : 적덕누선, 조대낭술, 진담누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