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 위할 ,
  • 하다 , 위하여 하다 , …을 위하여 꾀함 , 만들다 , 다스리다
  • 위 부분의 손과 아래 부분의 코끼리의 결합으로 코끼리가 물건을 움직이는 것을 비유해 '하다', '만들다' 등의 의미 생성

# 에 관한 한자 모두 90

  • 樂爲之事 획순 之事(낙위지사) : 즐거워서 하는 일. 또는 즐거움으로 삼는 일.
    爲: 之: 事:

  • 無爲無事 획순 無事(무위무사) : (1)하는 일이 없어서 탈도 없음. (2)하는 일도 없고 할 일도 없음.
    無: 없을 爲: 無: 없을 事:

  • 無爲之治 획순 之治(무위지치) : 성인의 덕이 지극히 커서 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천하가 저절로 잘 다스려짐.
    無: 없을 爲: 之: 治: 다스릴

  • 毫末爲丘山 획순 毫末丘山(호말위구산) : 터럭 끝이 언덕 산이 된다는 뜻으로, 지극히 작은 것도 쌓이면 산도 될 수 있다는 의미.
    毫: 가는 털 末: 爲: 丘: 언덕 山:

  • 莫此爲甚 획순 莫此甚(막차위심) : 이에 더할 수 없이 심(甚)함.
    莫: 없을 此: 爲: 甚: 심할

  • 破涕笑(파체위소) : 울음을 그치고 웃음을 짓는다는 뜻으로, 슬픔을 기쁨으로 바꾼다는 의미.
    破: 깨뜨릴 涕: 눈물 爲: 笑: 웃을

  • 兄難弟(난위형난위제) : 누구를 형이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1) 누가 더 낫다고 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서로 비슷함 (2) 사물(事物)의 우열(優劣)이 없다는 말로 곧 비슷하다는 말.
    難: 어려울 爲: 兄: 難: 어려울 爲: 弟: 아우

  • 助桀虐(조걸위학) : 폭군 걸(桀)을 도와 백성을 못살게 군다는 뜻으로, 못된 사람을 부추기어 악한 짓을 더 하게 함을 이르는 말.
    助: 도울 桀: 횃대 爲: 虐: 모질

  • 子綱(부위자강) : 삼강(三綱)의 하나.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父: 아비 爲: 子: 아들 綱: 벼리

  • 鷄口(영위계구) : 차라리 닭의 부리가 된다는 뜻으로, 작은 일이라도 책임자가 될지언정 큰 사람 밑에서 지배받기는 싫다는 의미.
    爲: 鷄: 口:

  • 兄弟手足(형제위수족) : 형제 사이는 손발과 같아서 한번 잃으면 다시 얻을 수 없다는 뜻으로, 형제끼리 우애 있게 지내야 한다는 말.
    兄: 弟: 아우 爲: 手: 足:

  • 徒食(무위도식) : 하는 일 없이 놀고먹음.
    無: 없을 爲: 徒: 무리 食:

  • 寒煙(탕위한연) : 깨어져 연무(煙霧)가 된다는 뜻으로, 이전에 있었던 건물 따위가 흔적도 없이 없어지고 그 부근에는 오직 쓸쓸한 안개만이 감돌고 있다는 의미.
    蕩: 쓸어없앨 爲: 寒: 煙: 연기

  • 仕非貧(사비위빈) : 관리(官吏)는 빈한해도 녹을 먹기 위()해 일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관리(官吏)된 사람은 德(덕)을 천하(天下)에 펴야 한다는 말.
    仕: 벼슬 非: 아닐 爲: 貧: 가난할

  • 無策(무위무책) : 하는 일도 없고 취할 방책도 없음.
    無: 없을 爲: 無: 없을 策:

  • 三十六計走上計(삼십육계주위상계) : 36가지 계책(計策) 중(中)에서 줄행랑이 상책이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할 때에는 기회(機會)를 보아 피함으로써 몸의 안전(安全)을 지키는 것이 최상(最上)의 방법(方法)이라는 말.
    三: 十: 計: 走: 달릴 爲: 上: 計:

  • 道不同不相謀(도부동불상위모) :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道理)를 달리 하는 사람과는 서로 의논(議論)하지도 말라는 말.
    道: 不: 아닌가 同: 한가지 不: 아니 相: 서로 爲: 謀: 꾀할

  • 客反主(객반위주) : 손이 도리어 주인 노릇을 한다는 뜻으로, 부차적인 것을 주된 것보다 오히려 더 중요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客: 反: 돌이킬 爲: 主: 주인

  • 各自心(각자위심) : 제각기 마음을 달리 먹음. 또는 그 마음.
    各: 각각 自: 스스로 爲: 心: 마음

  • 不足(유위부족) : 오히려 부족함.
    猶: 오히려 爲: 不: 아닌가 足:

  • 露結霜(노결위상) : 이슬이 맺어 서리가 되니, 밤기운(-氣運)이 풀잎에 물방울처럼 이슬을 이룸.
    結: 맺을 爲: 霜: 서리

  • 伐齊名(벌제위명) : 겉으로는 어떤 일을 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짓을 함을 이르는 말. 중국의 전국 시대에 연나라 장수 악의(樂毅)가 제나라를 칠 때에 제나라의 장수 전단(田單)이 악의가 제나라를 정복한 뒤에 제나라의 왕이 되려고 한다는 헛소문을 퍼뜨리자, 연왕이 의심하여 악의를 불러들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伐: 齊: 가지런할 爲: 名: 이름

  • 刻燭詩(각촉위시) : 촛불이 한 치 타는 동안에 詩(시)를 지음.
    刻: 새길 燭: 촛불 爲: 詩:

  • 猛虎鼠(맹호위서) : 사나운 호랑이가 쥐가 된다는 뜻으로, 범도 위엄을 잃으면 쥐 신세가 되듯이 제왕도 권력을 잃으면 권신의 제어를 받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猛: 사나울 虎: 爲: 鼠:

  • 刻木吏(각목위리) : 나무를 깎아 관리(官吏)의 형상을 만든다는 뜻으로, 옥리(獄吏)를 심(甚)히 미워해 이르는 말.
    刻: 새길 木: 나무 爲: 吏: 벼슬아치

  • 人設官(위인설관) : 어떤 사람을 채용하기 위하여 일부러 벼슬자리를 마련함.
    爲: 人: 사람 設: 베풀 官: 벼슬

  • 父隱(자위부은) : 아들이 아버지를 위해서 숨긴다는 뜻으로, 자식이 타인을 위해 아비의 나쁜 일을 숨기는 것처럼 부자간의 천륜(天倫)을 일컫는 말. <論語>.
    子: 아들 爲: 父: 아비 隱: 숨을

  • 塞翁福(새옹위복) : 한때의 이(利)가 장래(將來)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화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
    塞: 변방 翁: 늙은이 爲: 福:

  • 禍轉福(화전위복) :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禍: 재난 轉: 구를 爲: 福:

  • 轉敗功(전패위공) : 실패가 바뀌어서 오히려 공이 됨.
    轉: 구를 敗: 패할 爲: 功:

  • 虎傅翼(위호부익) : 호랑이에게 날개를 붙여준다는 뜻으로, 위세(威勢) 있는 악인(惡人)에게 힘을 더해주어 더욱 맹위(猛威)를 떨치게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爲: 虎: 傅: 스승 翼: 날개

  • 自然(무위자연) : 사람의 힘을 더하지 않은 그대로의 자연. 또는 그런 이상적인 경지.
    無: 없을 爲: 自: 스스로 然: 그러할

  • 寂滅樂(적멸위락) : 생사의 괴로움에 대하여, 적정(寂靜)한 열반의 경지를 참된 즐거움으로 삼는 일.
    寂: 고요할 滅: 멸망할 爲: 樂: 즐거울

  • 食死(조위식사) : 새가 좋은 먹이를 찾다가 목숨을 잃는다는 뜻으로, 욕심(慾心) 때문에 몸을 망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鳥: 爲: 食: 死: 죽을

  • 婦老姑(부로위고) : 며느리가 늙으면 시어머니가 된다는 뜻으로, 나이가 어리다고 업신여기지 말라는 말.
    婦: 며느리 老: 늙을 爲: 姑: 시어미

  • 婦綱(부위부강) :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夫: 지아비 爲: 婦: 며느리 綱: 벼리

  • 三年狗尾不黃毛(삼년구미불위황모) : 개 꼬리 삼년 묵어도 황모 못 된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바탕이 못된 것은 세월(歲月)이 꽤 흘러도 좋아지지 않는다는 말.
    三: 年: 狗: 尾: 꼬리 不: 아니 爲: 黃: 누를 毛:

  • 指鹿馬(지록위마) : (1)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의 조고(趙高)가 자신의 권세를 시험하여 보고자 황제 호해(胡亥)에게 사슴을 가리키며 말이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2)모순된 것을 끝까지 우겨서 남을 속이려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指: 손가락 鹿: 사슴 爲: 馬:

  • 太守脫頷頤(태수위탈함이) : 태수 되자 턱 빠진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오랜 노력(努力)이 모처럼 결실을 보자, 복이 없어 허사가 된다는 말.
    太: 守: 지킬 爲: 脫: 벗을 頷: 頤:

  • 大者棟梁(대자위동량) : 큰 재목(材木)을 기둥과 들보로 쓴다는 뜻으로, 인재(人材)도 역시 기량(器量)의 크고 작음에 따라 쓰임을 이르는 말.
    大: 者: 爲: 棟: 용마루 梁: 들보

  • 幸反禍(행반위화) : 幸이 도리어 禍가 된다는 뜻으로, 좋은 일이 도리어 재앙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幸: 다행할 反: 돌이킬 爲: 禍: 재난

  • 己之學(위기지학) : 자기 자신의 인격 수양을 위한 학문.
    爲: 己: 之: 學: 배울

  • 於斯盛(어사위성) : 그 때를 한창으로 함.
    於: 어조사 斯: 爲: 盛: 담을

  • 反禍福(반화위복) :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反: 돌이킬 禍: 재난 爲: 福:

  • 落髮僧(락발위승) : (1)머리털을 깎고 승려가 됨. (2)‘낙발위승’의 북한어.
    髮: 터럭 爲: 僧:

  • 國忠節(위국충절) : 나라를 위한 충성스러운 절개.
    爲: 國: 나라 忠: 충성 節: 마디

  • 忍之德(인지위덕) : 참는 것이 덕이 됨을 이르는 말.
    忍: 참을 之: 爲: 德:

  • 以民天(이민위천) : 백성을 하늘같이 소중히 여김.
    以: 民: 백성 爲: 天: 하늘

  • 江南橘化枳(강남귤화위지) : 강남의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도 장소(場所)나 환경(環境)에 따라 완전(完全)히 달라짐을 이르는 말.
    江: 南: 남녘 橘: 귤나무 化: 화할 爲: 枳: 가지

  • 福生於無(복생어무위) : 행복(幸福)은 무위(無)한 마음에서 생겨난다는 말.
    福: 生: 於: 어조사 無: 없을 爲:

  • 以古鑑(이고위감) : 옛 것으로 거울을 삼는다는 뜻으로, 옛 일을 거울삼아 대처함을 이르는 말.
    以: 古: 爲: 鑑: 거울

  • 同門朋(동문위붕) : 같은 스승 밑에서 공부(工夫)한 벗.
    同: 한가지 門: 爲: 朋:

  • 削髮僧(삭발위승) : 머리털을 깎고 승려가 됨.
    削: 깎을 髮: 터럭 爲: 僧:

  • 各心所(각심소위) : 저마다 다른 마음을 품고 하는 일.
    各: 각각 心: 마음 所: 爲:

  • 與德隣(여덕위린) : '덕으로써 이웃한다'는 뜻으로, '덕이 있으면 모두가 친할 수 있다'는 말.
    與: 德: 爲: 隣: 이웃

  • 漆身癩(칠신위라) : 몸에 옻칠을 하여 문둥이처럼 가장한다는 뜻으로, 원수(怨讐)를 갚기 위()해 용모(容貌)를 바꿈을 이르는 말.
    漆: 身: 爲: 癩: 문둥병

  • 讀書貴人不學作農夫(독서위귀인불학작농부) : 글을 읽으면 귀(貴)한 사람이 되고, 배우지 않으면 농부(農夫)가 됨.
    讀: 읽을 書: 爲: 貴: 귀할 人: 사람 不: 아니 學: 배울 作: 지을 農: 농사 夫: 지아비

  • 以人鑑(이인위감) : 남으로 거울을 삼는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선악(善惡)을 거울삼아 자신의 행실을 바로잡는다는 의미.
    以: 人: 사람 爲: 鑑: 거울

  • 轉禍福(전화위복) :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轉: 구를 禍: 재난 爲: 福:

  • 以鼠璞(이서위박) : 쥐를 보옥으로 여긴다는 뜻으로, 아무 쓸모 없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정(鄭)나라에서는 다듬지 않은 옥(玉)을 박(璞)이라 하고, 주(周)나라에서는 포를 뜨지 않은 쥐를 박(璞)이라 하였는데, 주나라 사람이 정나라 장사꾼에게 박(璞)을 사겠느냐고 하자 정나라 장사꾼이 그러겠다고 했으나 막상 다른 것임을 알고 사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以: 鼠: 爲: 璞: 옥돌

  • 親之道(위친지도) : 부모를 섬기는 도리.
    爲: 親: 친할 之: 道:

  • 自今始(자금위시) : 지금부터 시작함.
    自: 스스로 今: 이제 爲: 始: 처음

  • 無能(무위무능) : 하는 일도 없고 일할 능력도 없음.
    無: 없을 爲: 無: 없을 能: 능할

  • 以食天(이식위천) : 사람이 살아가는 데 먹는 것이 가장 중요함을 이르는 말.
    以: 食: 爲: 天: 하늘

  • 壓良賤(압량위천) : 양민을 억눌러서 강제로 종으로 삼음.
    壓: 누를 良: 좋을 爲: 賤: 천할

  • 法自弊(위법자폐) : 자기가 정한 법을 스스로 범하여 죄를 당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일로 자기가 고난을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爲: 法: 自: 스스로 弊: 해어질

  • 恩反仇(은반위구) : 은혜를 베푼 것이 도리어 원수가 됨.
    恩: 은혜 反: 돌이킬 爲: 仇: 원수

  • 無所不(무소불위) : 하지 못하는 일이 없음.
    無: 없을 所: 不: 아니 爲:

  • 抵死限(저사위한) : 죽기를 각오하고 굳세게 저항함.
    抵: 거스를 死: 죽을 爲: 限: 한정

  • 婦綱是謂三綱(부위부강시위삼강) : 남편(男便)은 아내의 벼리가 되니, 이것을 삼강(三綱)이라 함.
    夫: 지아비 爲: 婦: 며느리 綱: 벼리 是: 옳을 謂: 이를 三: 綱: 벼리

  • 同己是(동기위시) : 자기와 같으면 옳다고 한다는 뜻으로, 다만 자기 의견과 같은 것을 옳다고 하고, 진리(眞理) 여하(如何)를 따지 않는다는 의미.
    同: 한가지 己: 爲: 是: 옳을

  • 力學以讀書本(역학이독서위본) : 역학은 독서로 근본을 삼는다.
    學: 배울 以: 讀: 읽을 書: 爲: 本:

  • 射石虎(사석위호) : 돌을 호랑이로 알고 쏘았더니 돌에 화살이 꽂혔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최선을 다하면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射: 石: 爲: 虎:

  • 明月燭(명월위촉) : 밝은 달빛으로 촛불을 대신함.
    明: 밝을 月: 爲: 燭: 촛불

  • 社稷墟(사직위허) : 사직이 폐허가 된다는 뜻으로, 나라가 망함을 이르는 말.
    社: 토지신 稷: 기장 爲: 墟: 언덕

  • 人表(덕위인표) : 덕망(德望)이 높아 세상(世上) 사람의 사표(師表)가 됨.
    德: 爲: 人: 사람 表:

  • 無日不(무일불위) : 날마다 하지 않는 날이 없음.
    無: 없을 日: 不: 아니 爲:

  • 以死限(이사위한) : 죽음으로써 한정(限定)을 삼는다는 뜻으로, 죽음을 각오하고 어떤 일을 함을 이르는 말.
    以: 死: 죽을 爲: 限: 한정

  • 見義不無勇也(견의불위무용야) : 의(義)를 보고 행(行)하지 아니하는 것은 용기(勇氣)가 없는 것임.
    見: 義: 옳을 不: 아니 爲: 無: 없을 勇: 날랠 也: 잇기

  • 恬不愧(염불위괴) : (1)‘염불위괴’의 북한어. (2)옳지 아니한 일을 하고도 부끄러워하는 기색이 조금도 없음.
    不: 아니 爲: 愧: 부끄러워할

  • 善最樂(위선최락) : 선을 행하는 것이 최고의 즐거움이라는 뜻으로, 선(善)한 일을 하는 것은 인생 최대의 낙(樂이)라는 의미.
    爲: 善: 착할 最: 가장 樂: 즐거울

  • 上策(주위상책) : 피해를 입지 아니하려면 달아나는 것이 제일 나은 꾀임을 이르는 말.
    走: 달릴 爲: 上: 策:

  • 反客主(반객위주) : 손님이 도리어 주인 노릇을 한다는 뜻으로, 수동적인 상황에서 틈을 노려 주도권을 빼앗음을 이르는 말.
    反: 돌이킬 客: 爲: 主: 주인

  • 四海家(사해위가) : 온 세상이 집이 된다는 뜻으로, 천하를 제 집안으로 만든다는 의미로는 제업(帝業)의 광대함을 이르고, 온나라 어느 곳에도 집이 있다는 의미로는 떠돌아다니며 일정한 주거가 없다는 의미로 사용됨.
    四: 海: 바다 爲: 家:

  • 人師(호위인사) : 남의 스승 되기를 좋아한다는 뜻으로, 늘 아는 체하면서 남의 스승 되기를 즐기는 사람을 이르는 말.
    好: 좋을 爲: 人: 사람 師: 스승

  • 禪悅食(선열위식) : 선정(禪定)의 기쁨으로 몸과 마음을 건전하게 하고 지혜로운 생명을 얻는 일. 음식으로 몸을 기르고 목숨을 보존하는 일에 비유한 말이다.
    禪: 봉선 悅: 기쁠 爲: 食:

  • 而化(무위이화) : (1)힘들이지 않아도 저절로 변하여 잘 이루어짐. 출전은 ≪논어≫ <위령공편>이다. (2)성인의 덕이 크면 클수록 백성들이 좋은 영향을 받아 스스로 잘 변화하게 됨. (3)천도교에서, 한울님의 전지전능으로 이룬 자존 자율의 우주 법칙.
    無: 없을 爲: 而: 말 이을 化: 화할

  • 因緣市(인연위시) : 인연으로 시장을 삼는다는 뜻으로, 재판할 때 관리가 사정에 의해 부정한 판결을 한다는 의미. ‘因緣’은 뇌물 같은 사적 관계, ‘市’는 물품 흥정하는 시장 같은 형(刑)의 경중(輕重)을 좌우하는 일.
    因: 인할 緣: 가선 爲: 市: 저자

  • 而治(무위이치) : 아무것도 하지 않고 능히 다스린다는 뜻으로, 군주의 덕이 지극히 커서 천하가 저절로 잘 다스려짐을 이르는 말.
    無: 없을 爲: 而: 말 이을 治: 다스릴

  • 磨斧針(마부위침) :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
    磨: 斧: 도끼 爲: 針: 바늘

#자연 73 #이치 67 #이익 89 #서로 71 #때문 58 #이름 211 #상대 56 #의미 1817 #상태 110 #군자 56 #사이 200 #은혜 70 #죽음 73 #세상 339 #모양 142 #백성 105 #재앙 64 #중국 253 #근본 66 #아침 72 #어려움 105 #물건 136 #벼슬 88 #어머니 72 #사랑 91 #나라 392 #실패 56 #음식 79 #얼굴 99 #목숨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