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풀이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

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집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 #누각 #집이 #소나무 #


한자 풀이:
  • (푸를 ): 푸른다, 푸른 옥돌, 짙은 청록색, 청백색.
  • (바다 ): 바다, 바닷물, 사물이 많이 모이는 곳, 크다, 해양(海洋).
  • (누를 ): 누르다, 누래지다, 어린아이, 누른 말, 금(金).
  • (용 ): 용, 얼룩, 언덕, 사랑하다, 상상적인 신령한 동물.
  • (집 ): 집, 댁, 남의 집·가정·부인의 경칭, 대지(垈地), 무덤.
  • (푸를 ): 푸르다, 푸른 흙, 녹청(綠靑), 물총새, 대의 겉껍질.
  • (솔 ): 솔, 소나무, 사철 변함 없이 늘 푸르므로, 절조(節操)·장수(長壽)·번무(繁茂) 등으로 비유됨.
  • (흰 ): 희다, 서방(西方)의 빛깔, 작위, 말하다, 백작.
  • (학 ): 학, 희다, 호미의 머리.
  • (다락 ): 다락, 망루(望樓), 겹치다, 기생집, 벽이 트이어 사방을 바라볼 수 있게 높이 지은 집.
👍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웹스토리 보기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의 의미: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집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상) :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桑田海(상전해) :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溪山間(계산간) : 푸른 시내가 흐르는 산골.

  • 海陸珍味 획순 陸珍味(륙진미)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 戰術(인전술) : 우수한 화기보다 다수의 병력을 투입하여 적을 압도하는 전술. 6ㆍ25 전쟁에서 중국 공산군이 썼던 전법이다.
  • 苦輪之(고륜지) : 고뇌가 끊임없이 닥쳐오는 중생계를 이르는 말.
  • 兄弟(사형제) : 온 세상 사람이 모두 형제와 같다는 뜻으로, 친밀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안연편(顔淵篇)>에서 사해 안에 있는 사람을 모두 형제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 虎踞龍盤 획순 虎踞盤(호거용반) : 범이 걸터앉고 용이 서린 듯한 웅장한 산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談天彫(담천조) : 천상(天象)을 이야기하고 용을 조각한다는 뜻으로, 변론(辯論)이나 문장이 원대하고 고상함을 이르는 말.
  • 千里行(천리행) : (1)어떤 일을 바로 말하지 아니하고 그 유래를 말하여 차차 그 일에 미치도록 하는 것. (2)풍수지리에서, 산맥이 높았다 낮았다 하며 힘차게 멀리 뻗음.
  • 鳳雛(복봉추) : 엎드린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우수한 인재를 이르는 말. ≪촉지≫의 <제갈량전(諸葛亮傳)> 주(注)에 나오는 말이다.

  • 盲者丹靑 획순 盲者丹(맹자단) : 맹자의 단청 구경이라는 뜻으로, 보아도 이해하지 못할 사물을 보는 것을 이르는 말.
  • 四時長(사시장) : 소나무나 대나무같이 식물의 잎이 일 년 내내 푸름.
  • 山可埋骨(산가매골) : 멀리 보이는 푸른 산 어디든지 뼈를 묻을 수 있다는 뜻으로, 대장부(大丈夫)는 반드시 고향(故鄕)에다 뼈를 묻어야만 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됨을 이르는 말.
  • 山一髮(산일발) : 먼 수평선(水平線) 저쪽의 푸른 산이 아득히 안 올의 머리카락처럼 보임.

  • 梅妻鶴子 획순 梅妻子(매처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魚鱗翼(어린익) : 어린진과 학익진을 아울러 이르는 말.
  • 齡(령) : 두루미의 나이라는 뜻으로, 장수한 노인의 나이를 이르는 말.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관련 한자

  • 擧覺 획순 擧覺(거각) : 스승이 들어 보여서 학인(學人)이 깨닫는다는 뜻으로, 스승과 학인이 만나는 일을 이르는 말.
  • 梅妻鶴子(매처학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多岐亡羊(다기망양) : (1)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한다는 뜻으로, 두루 섭렵하기만 하고 전공하는 바가 없어 끝내 성취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말이다. (2)방침이 많아서 도리어 갈 바를 모름.

  • 不蔽風雨 획순 不蔽風雨(불폐풍우) : 집이 허술하여서 바람과 비를 가리지 못함.
  • 家負疎族聚(가부소족취) : 집이 가난하게 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넉넉히 지낼 때는 몰랐으나 궁박(窮迫)한 형편(形便)에 놓이고 보니 어진 관리자(管理者)를 생각하게 된다는 말.

#편안 62 #형용 67 #가운데 104 #행동 137 #머리 141 #모습 66 #하늘 251 #노력 69 #임금 189 #학문 107 #따위 228 #사랑 91 #구름 67 #경계 56 #인간 65 #상대 56 #재주 82 #관계 90 #어버이 60 #부부 76 #집안 93 #세월 71 #재앙 64 #백성 105 #고사 108 #군자 56 #동안 70 #가난 90 #여자 101 #부모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