種麥得麥(종맥득맥) 풀이

種麥得麥

종맥득맥

보리를 심으면 보리를 얻는다는 뜻으로, 인과(因果) 응보(應報)를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보리 #비유


한자 풀이:
  • (씨 ): 씨, 심다, 늦벼, 만생종(晩生種), 갖가지 종류.
  • (보리 ): 보리, 묻다, 작다, 맥류(麥類)의 총칭, 매장함.
  • (얻을 ): 얻다, 만족하다, 깨닫다, 맞다, 득.
  • (보리 ): 보리, 묻다, 작다, 맥류(麥類)의 총칭, 매장함.
🐈 種麥得麥(종맥득맥) 웹스토리 보기
種麥得麥(종맥득맥)의 의미: 보리를 심으면 보리를 얻는다는 뜻으로, 인과(因果) 응보(應報)를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망) : 아주 몹쓸 종자란 뜻으로, 행실이 아주 못된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망) : (1)벼나 보리 따위같이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 (2)이십사절기의 하나.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들며, 이맘때가 되면 보리는 익어 먹게 되고 모를 심게 된다. 6월 6일 무렵이다.
  • 多樣(다다양) : 가짓수나 양식, 모양이 여러 가지로 많음.

  • 麥秀之歎 획순 秀之歎(수지탄) : 맥수지탄(麥秀之嘆). 보리만 무성(茂盛)하게 자란 것을 탄식(歎息)함이라는 뜻으로, 고국의 멸망(滅亡)을 탄식(歎息)함.
  • 田大醉(과전대취) :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 穗(수) : 보리의 이삭.

  • 回避不得 획순 回避不(회피부) : 피하고자 하여도 피할 수가 없음.
  • 投瓜瓊(투과경)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 兎忘蹄(토망제) : 토끼를 잡고는 올무를 잊는다는 뜻으로, 바라던 일을 달성하고는 그에 소용되었던 것을 잊는다는 의미.
  • 開卷有(개권유) : 책을 열면 소득이 있다는 뜻으로, 책을 읽게 되면 항상 유익함을 얻게 된다는 의미.

  • 麥秀之歎 획순 秀之歎(수지탄) : 맥수지탄(麥秀之嘆). 보리만 무성(茂盛)하게 자란 것을 탄식(歎息)함이라는 뜻으로, 고국의 멸망(滅亡)을 탄식(歎息)함.
  • 田大醉(과전대취) :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 穗(수) : 보리의 이삭.


種麥得麥(종맥득맥) 관련 한자

  • 人鬼相半 획순 人鬼相半(인귀상반)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風木之悲(풍목지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割鷄牛刀(할계우도)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얼굴 99 #고사 108 #재앙 64 #무리 64 #군자 56 #형용 67 #집안 93 #부부 76 #물건 136 #여자 101 #아침 72 #가운데 104 #동안 70 #천하 94 #사물 172 #모양 142 #의미 1817 #조금 96 #죽음 73 #백성 105 #상태 110 #나무 166 #잘못 93 #노력 69 #태도 72 #자식 104 #모습 66 #중국 253 #아내 81 #세월 7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개) : 주물 도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