童子如何(동자여하) 풀이

童子如何

동자여하

‘동자가 어찌 알리오!’라는 뜻으로, 동자는 사물의 이치를 모른다고 단정해서 어린 아이 같은 것이 무엇을 아느냐고 마구 꾸짖고 나무라는 말.

#사물 #아이 #이치 #무엇 #단정


한자 풀이:
  • (아이 ): 아이, 땅 이름, 어리석다, 뿔이 나지 않은 어린 양이나 소, 민둥산.
  • (아들 ): 아들, 사랑하다, 자식, 새끼, 남자의 통칭.
  • (같을 ): 같다, 같게 하다, 따르다, 조사, 음력 2월의 이칭.
  • (어찌 ): 어찌, 메다, 무엇, 어느, 왜냐하면.
🎴 童子如何(동자여하) 웹스토리 보기
童子如何(동자여하)의 의미: ‘동자가 어찌 알리오!’라는 뜻으로, 동자는 사물의 이치를 모른다고 단정해서 어린 아이 같은 것이 무엇을 아느냐고 마구 꾸짖고 나무라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童子如何(동자여하) 관련 한자

  • 殺氣膽盛 획순 殺氣膽盛(살기담성) : 살기가 있어서 무엇이라도 무섭지 않음.
  • 若烹小鮮(약팽소선) : 치대국약팽소선(治大國若烹小鮮)의 준말.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무엇이든 가만히 두면서 지켜보는 것이 가장 좋은 정치란 뜻.
  • 徙家忘妻(사가망처) : 이사를 갈 때 아내를 잊고 두고 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잘 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擧棋不定 획순 擧棋不定(거기부정)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博引旁證(박인방증) : 널리 예(例)를 인용하고 두루 증거를 보여 논함.
  • 圓孔方木(원공방목) :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 推燥居濕 획순 推燥居濕(추조거습) : {아이는} 마른 곳으로 밀고, {자기는} 젖은 자리에 앉는다는 뜻으로, 자식을 기르는 어머니의 노고(勞苦)를 마다하지 않는 사랑을 이르는 말.
  • 破甕救兒(파옹구아) : 항아리를 깨뜨려 아이를 구한다는 뜻으로, 송(宋)의 사마광(司馬光)이 어릴 때 물독에 빠진 아이를 돌로 깨뜨려 구했다는 고사에서 어린아이의 지혜로움을 의미함.
  • 黃口乳臭(황구유취) : 젖내 나는 어린아이같이 어려서 아직 젖비린내가 난다는 뜻으로, 어리고 하잘것없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 自損損他 획순 自損損他(자손손타) : 그릇된 이치를 믿어 자신을 해롭게 하고 남까지도 잘못되게 함.
  • 善惡不二(선악불이) : 선악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각각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평등 무차별한 하나의 이치로 돌아간다는 말.
  • 知者不言(지자불언) : 지자는 깊이 재능을 감추고 함부로 말을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노자(老子)≫ 56장에 나오는 말이다.

#벼슬 88 #사람 1461 #소리 96 #학문 107 #아래 86 #이름 211 #근심 65 #행동 137 #음식 79 #자연 73 #관계 90 #처음 91 #지위 65 #노력 69 #집안 93 #세월 71 #훌륭 85 #머리 141 #자신 208 #이치 67 #유래 280 #생활 82 #생각 236 #사이 200 #재능 61 #문장 59 #은혜 70 #동안 70 #경우 64 #서로 7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0개) : 다자예화, 동질이형, 등전위화, 디자인학, 답전 윤환, 동적 위험, 동종 용혈, 동종 이형, 되잡아 흥, 되짚어 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