等覺一轉(등각일전) 풀이

等覺一轉

등각일전

깊은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러 그 길의 한 파(派)를 새로 엶. 등각에서 일전하여 묘각의 자리에 이른다는 마하지관에서 유래한다.

# #깨달음 #자리 #유래


한자 풀이:
  • (등급 ): 등급, 같다, 동아리, 견주다, 기다리다.
  • (깨달을 ): 깨닫다, 깨다, 터득함, 꿈을 깸, 깨우치다.
  • (한 ): 하나, 처음, 모조리, 같다, 어떤.
  • (구를 ): 구르다, 돌리다, 굴림, 옮다, 목소리.
😀 等覺一轉(등각일전) 웹스토리 보기
等覺一轉(등각일전)의 의미: 깊은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러 그 길의 한 파(派)를 새로 엶. 등각에서 일전하여 묘각의 자리에 이른다는 마하지관에서 유래한다.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那易等則 획순 那易則(나역칙) : 논밭 따위의 등급을 바꿈.
  • 神(신) : (1)나무, 돌, 흙, 쇠 따위로 만든 사람의 형상이라는 뜻으로,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2)떠돌아다니는 못된 귀신.
  • 痛悔(하통회) : 통회의 동기가 하느님에 대한 사랑에 있지 아니하고 죄를 지은 결과로 자기에게 해가 미치기 때문에 뉘우치는 태도.


等覺一轉(등각일전) 관련 한자

  • 刎頸之友 획순 刎頸之友(문경지우)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七步之才(칠보지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擧棋不定 획순 擧棋不定(거기부정)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無故不進(무고부진) : 아무런 까닭 없이 나와야 할 자리에 나오지 않음.
  • 溫凊定省(온정정성) : 자식이 효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도리.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하며, 저녁에는 자리를 편히 마련하고, 아침에는 안부를 여쭙는 일을 이른다.

#백성 105 #노력 69 #어버이 60 #세월 71 #때문 58 #아내 81 #얼굴 99 #은혜 70 #마음 496 #경우 64 #구름 67 #싸움 61 #관계 90 #정도 153 #군자 56 #사랑 91 #벼슬 88 #아래 86 #시대 114 #이익 89 #세상 339 #집안 93 #의지 69 #이치 67 #문장 59 #재앙 64 #바람 136 #물건 136 #사이 200 #훌륭 85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35개) : 당감잇줄, 대공연장, 대교약졸, 대금업자, 대금음자, 대기업자, 대기욕장, 도결아장, 도금업자, 도급업자, 돌기와집, 동귀어진, 동기와장, 두겹애자, 둥근은장, 둥글의자, 뒷걸음질, 등각일전, 등기용지, 디가우저, 딧걸음질, 다강 유전, 다구 애자, 단기 외자, 단기 윤작, 단기 융자, 담관 암종, 담관 육종, 대경 유전, 대기 용장, 도금 업종, 동굴 유적, 동기 운전, 등가 입자, 등기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