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世致用(경세치용) 풀이

經世致用

경세치용

학문은 세상을 다스리는 데에 실질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유교의 한 주장.

#유교 #혁명 #실질 #이익 #학파 #실제 #학문 #이바지 #실학 #유학 #주장 #분야 #성리학 #사회 #세상


한자 풀이:
  • (지날 ): 날, 세로, 길, 떳떳하다, 법.
  • (인간 ): 인간, 대(代), 대를 잇다, 세대, 해.
  • (이룰 ): 이루다, 이르다, 극치(極致), 나아가다, 적당하다.
  • (쓸 ): 쓰다, 작용, 용도(用途), 방비(防備), 비발.
🍹 經世致用(경세치용) 웹스토리 보기
經世致用(경세치용)의 의미: 학문은 세상을 다스리는 데에 실질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유교의 한 주장.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拔山蓋世 획순 拔山蓋(발산개) : 힘은 산을 뽑을 만큼 매우 세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큼 웅대함을 이르는 말.
  • 代美(절대미) : 이 세상(世上)에서는 견줄 사람이 없을 정도(程度)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여자(女子).
  • 滄桑界(창상계) : 급격히 바뀌어 변모하는 세상.
  • 炎凉態(염량태) : 더웠다가 차가워지는 세상 인심이라는 뜻으로, 권세가 있을 때는 아부하여 좇고, 세력이 사라지면 푸대접하는 각박한 세상 인심을 이르는 말.

  • 用行舍藏 획순 行舍藏(행사장) : 쓰면 행하고 버리면 감춘다는 뜻으로, 세상에 쓰일 때는 나아가 자신의 도를 행하고 쓰이지 않을 때는 물러나 숨는다는 의미.
  • 道謀是(도모시) : 길에서 도모하기 때문이라는 뜻으로, 길가에 집을 짓는데, 길 가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짓는 것이 좋을까 상의하면 구구한 의견으로 제대로 완성할 수 없는 것처럼 주견(主見) 없이 남의 의견만 쫓으면 일을 성취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作舍道傍(작사도방)].
  • 而愛人(절이애인) : 나라의 재물(財物)을 아껴 쓰는 것이 곧 백성(百姓)을 사랑함을 말함.
  • 言聽計(언청계) : 이야기하면 들어주고 계책을 세우면 쓴다는 뜻으로, 매우 신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經世致用(경세치용) 관련 한자

  • 門外漢 획순 門外漢(문외한) : (1)어떤 일에 직접 관계가 없는 사람. (2)어떤 일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
  • 賜牌之地(사패지지) :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 江郞才盡(강랑재진) : 강엄의 재주가 다했다는 뜻으로, 어떤 분야에 뛰어났던 재능이 차차 쇠퇴하여 더 이상 두각을 나타내지 못함을 이르는 말.

  • 魚質龍文 획순 魚質龍文(어질용문) : 물고기의 바탕에 용의 무늬라는 뜻으로, 용모는 용같이 위엄이 있지만, 실질은 물고기란 의미처럼 옳은 듯하나 실제는 그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有名無實(유명무실) : 이름만 그럴듯하고 실속은 없음.

  • 實事求是 획순 實事求是(실사구시)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 利用厚生(이용후생) : (1)‘이용후생’의 북한어. (2)기구를 편리하게 쓰고 먹을 것과 입을 것을 넉넉하게 하여, 국민의 생활을 나아지게 함.

  • 三不去 획순 三不去(삼불거) :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 三綱五倫(삼강오륜) :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과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통틀어 이른다.
  • 夫爲婦綱(부위부강) :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 四書五經 획순 四書五經(사서오경) : 사서와 오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논어≫, ≪맹자≫, ≪중용≫, ≪대학≫의 네 경전과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의 다섯 경서를 이른다.
  • 負芨從師(부급종사) : 책 상자(箱子)를 지고 스승을 좇는다는 뜻으로, 먼 곳으로 유학(留學)감을 이르는 말.
  • 斯文亂賊(사문난적) : 성리학에서, 교리를 어지럽히고 사상에 어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實事求是 획순 實事求是(실사구시)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 絃歌不輟(현가불철) :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 廓然大公(확연대공) :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 實事求是 획순 實事求是(실사구시)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 泗上弟子(사상제자) : 공자의 제자.

  • 居敬窮理 획순 居敬窮理(거경궁리) : 주자학에서 중시하는, 학문 수양의 두 가지 방법. 거경은 내적 수양법으로 항상 몸과 마음을 삼가서 바르게 가지는 일이고, 궁리는 외적 수양법으로 널리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정확한 지식을 얻는 일이다.
  • 斯文亂賊(사문난적) : 성리학에서, 교리를 어지럽히고 사상에 어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싸움 61 #세상 339 #이름 211 #여자 101 #학문 107 #목숨 58 #예전 60 #조금 96 #속담 63 #행동 137 #시대 114 #근심 65 #부부 76 #아래 86 #문장 59 #자식 104 #의지 69 #인간 65 #근본 66 #정도 153 #아내 81 #모습 66 #서로 71 #신하 62 #자신 208 #사이 200 #군자 56 #은혜 70 #천하 94 #편안 6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30개) : 가상칠언, 건식착암, 경세치용, 고사촬요, 고상체염, 고색창연, 고신척영, 고심청어, 공상천예, 관수차왜, 구석챙이, 구석쳉이, 군서치요, 기상천외, 감선 철악, 감식 층위, 객실 차압, 건성 천이, 건성 초원, 경사 촬영, 계속 출원, 계승 치아, 고사 축원, 고산 초원, 고소 추완, 고속 촬영, 과소 참여, 과실 책임, 급성 췌염, 기술 창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