自受用身(자수용신) 풀이

自受用身

자수용신

수행이 끝나 복덕과 지혜가 원만하고 밝아 늘 진리를 관조하여 스스로 그 법락(法樂)을 받는 불신(佛身).

#원만 # # # #완성 #복덕 #진리 #수행 #법락 #지혜


한자 풀이:
  • (스스로 ): 스스로, 저절로, 좇다, 쓰다, 출처(出處).
  • (받을 ): 받다, 당하다, 입음, 손에 받아 쥐다, 받아 들이다.
  • (쓸 ): 쓰다, 작용, 용도(用途), 방비(防備), 비발.
  • (몸 ): 몸, 나라 이름, 연독(身毒), 천축(天竺), 몸소.

같은 의미의 한자:
  • 본지신(本地身)
😀 自受用身(자수용신) 웹스토리 보기
自受用身(자수용신)의 의미: 수행이 끝나 복덕과 지혜가 원만하고 밝아 늘 진리를 관조하여 스스로 그 법락(法樂)을 받는 불신(佛身).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用行舍藏 획순 行舍藏(행사장) : 쓰면 행하고 버리면 감춘다는 뜻으로, 세상에 쓰일 때는 나아가 자신의 도를 행하고 쓰이지 않을 때는 물러나 숨는다는 의미.
  • 道謀是(도모시) : 길에서 도모하기 때문이라는 뜻으로, 길가에 집을 짓는데, 길 가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짓는 것이 좋을까 상의하면 구구한 의견으로 제대로 완성할 수 없는 것처럼 주견(主見) 없이 남의 의견만 쫓으면 일을 성취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作舍道傍(작사도방)].
  • 而愛人(절이애인) : 나라의 재물(財物)을 아껴 쓰는 것이 곧 백성(百姓)을 사랑함을 말함.
  • 言聽計(언청계) : 이야기하면 들어주고 계책을 세우면 쓴다는 뜻으로, 매우 신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自受用身(자수용신) 관련 한자

  • 屋漏痕 획순 屋漏痕(옥루흔) : 지붕이 새는 흔적이라는 뜻으로, 지붕이 새어 천장에 아롱진 빗물 자국처럼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초서(草書)의 필법(筆法)을 이르는 말.
  • 徑情直行(경정직행) : 예절이나 법식 따위에 얽매이지 않고 곧이곧대로 행동함.
  • 法古創新(법고창신) : 옛 것을 법으로 삼아 새 것을 창조한다는 뜻으로, 과거를 밑거름으로 해서 새로운 것을 도출해낸다는 의미.

  • 天不言而信 획순 天不言而信(천불언이신) : 하늘은 말하지 않아도 믿는다는 뜻으로, 하늘은 그 행하는 바가 떳떳하여 틀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 樂而忘憂(낙이망우)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 琢磨(탁마) : (1)옥이나 돌 따위를 쪼고 갊. (2)학문이나 덕행 따위를 닦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無量大福 획순 無量大福(무량대복) : 헤아릴 수 없을 만큼 큰 복.
  • 福因福果(복인복과) : 복덕의 인(因)으로 말미암아 복덕의 과보(果報)를 얻음.
  • 兩足仙(양족선) : 두 발을 가진 존재 중에서 가장 높은 이라는 뜻으로, ‘부처01’를 높여 이르는 말. 양족(兩足)은 복덕과 지혜, 계(戒)와 정(定), 대원(大願)과 수행을 원만하게 갖추었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 自力回向 획순 自力回向(자력회향) : 자신이 얻은 수행의 공덕을 남에게 베풀어서 과보(果報)를 얻으려는 일.
  • 琢磨(탁마) : (1)옥이나 돌 따위를 쪼고 갊. (2)학문이나 덕행 따위를 닦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德無常師(덕무상사) : 덕을 닦는 데는 일정(一定)한 스승이 없다는 뜻으로, 마주치는 환경(環境), 마주치는 사람 모두가 수행(修行)에 도움이 됨을 이르는 말.

  • 萬里長城 획순 萬里長城(만리장성) : (1)중국의 북쪽에 있는 성. 서쪽 간쑤성(甘肅省)의 자위관(嘉峪關)에서 시작하여 동쪽 허베이성(河北省)의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른다. 춘추 전국 시대의 조(趙)ㆍ연(燕) 등이 변경 방위를 위하여 쌓아서 만든 것을 진(秦)의 시황제가 크게 증축하여 완성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명나라가 몽골의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것이다. 길이는 2,700km. (2)서로 넘나들지 못하게 가로막는 크고 긴 장벽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창창한 앞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남녀가 서로 교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築室道謀(축실도모) : 집을 짓는데 길손에게 묻는다는 뜻으로, 집을 지으면서 길가는 사람들에게 방법을 물으니 사람마다 딴소리를 하여 집을 완성하지 못했다는 것에서, 쓸데없는 의논을 하여 실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道謀是用(도모시용) : 길에서 도모하기 때문이라는 뜻으로, 길가에 집을 짓는데, 길 가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짓는 것이 좋을까 상의하면 구구한 의견으로 제대로 완성할 수 없는 것처럼 주견(主見) 없이 남의 의견만 쫓으면 일을 성취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作舍道傍(작사도방)].

  • 智圓行方 획순 智圓行方(지원행방) : 슬기로움은 원만하고 행동은 방정하다는 뜻으로, 슬기로움은 두루 통하여 모르는 것이 없기를 원하고, 행실은 방정하여 예에 어긋남이 없기를 원한다는 의미.
  • 兩足仙(양족선) : 두 발을 가진 존재 중에서 가장 높은 이라는 뜻으로, ‘부처01’를 높여 이르는 말. 양족(兩足)은 복덕과 지혜, 계(戒)와 정(定), 대원(大願)과 수행을 원만하게 갖추었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 兩目兩足(양목양족) : 두 발을 가진 존재 중에서 가장 높은 이라는 뜻으로, ‘부처01’를 높여 이르는 말. 양족(兩足)은 복덕과 지혜, 계(戒)와 정(定), 대원(大願)과 수행을 원만하게 갖추었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 明鏡不疲 획순 明鏡不疲(명경불피) : 맑은 거울은 아무리 사람을 비추어도 피로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맑은 지혜와 슬기는 아무리 많이 써도 손상되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
  • 大智如愚(대지여우) : 슬기로운 사람은 그 슬기를 함부로 드러내지 않으므로 겉으로는 어리석게 보인다는 말.
  • 戒急乘緩(계급승완) : 계(戒)를 지키기에만 힘쓰고, 지혜 닦기에는 힘쓰지 아니함.

  • 實事求是 획순 實事求是(실사구시)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 愛着生死(애착생사) : 무상(無常)의 진리를 깨닫지 못하고 죽는 것을 싫어하여 이승에 집착함.
  • 多岐亡羊(다기망양) : (1)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한다는 뜻으로, 두루 섭렵하기만 하고 전공하는 바가 없어 끝내 성취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말이다. (2)방침이 많아서 도리어 갈 바를 모름.

#마음 496 #사람 1461 #얼굴 99 #어려움 105 #바람 136 #사물 172 #동안 70 #서로 71 #속담 63 #싸움 61 #상황 119 #머리 141 #아래 86 #훌륭 85 #정도 153 #아내 81 #조금 96 #백성 105 #자식 104 #어머니 72 #벼슬 88 #임금 189 #상태 110 #노력 69 #처음 91 #신하 62 #나무 166 #죽음 73 #재주 82 #모양 14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3개) : 자수용신, 잔산잉수, 잠소암삭, 장삼이사, 재삽입술, 저수익성, 적신월사, 적실인심, 전섬유소, 접시용수, 정상어순, 정샤오쉬, 조선염소, 좌사우상, 주사유사, 즉석연설, 지시에스, 지시인식, 직수입사, 집사악사, 자산 인수, 자식 약세, 자식 열세, 장식 예술, 재산 인수, 재생 영상, 재심의 소, 저설 온상, 적새우 살, 전사 인쇄, 전상 용사, 전송 연산, 전술 연습, 전시 예산, 전신 의상, 정상 여신, 정색 이성, 정수 연산, 정수 요소, 정식 인수, 정신 연습, 정신 요소, 정신 위생, 정신 이상, 정실 인사, 젖산 위석, 제사 음식, 제삼의 성, 제삼의 손, 제수 음식, 종서 인쇄, 종속 원소, 주식 옵션, 주식 인수, 즉석 음식, 즉시 인쇄, 지속 임신, 지수 양식, 지수 옵션, 지시 요소, 지시 원소, 질산 요소, 질서 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