角弓刺(각궁자) 풀이

角弓刺

각궁자

≪시경≫ <소아(小雅)>의 각궁(角弓)편에 실린 풍자시. 주나라 유왕이 간신을 가까이하고 종족(宗族)을 멀리하는 것을 풍자하였다.

#원망 #주나라 # #풍자 #나라 #간신 #가까이 #끼리


한자 풀이:
  • (뿔 ): 뿔, 꿩이 우는 소리, 모, 구석, 뿔피리.
  • (활 ): 활, 궁술(弓術), 길이의 단위.
  • (찌를 ): 찌르다, 나무라다, 비난함, 꾸짖음, 가시.
👍 角弓刺(각궁자) 웹스토리 보기
角弓刺(각궁자)의 의미: ≪시경≫ <소아(小雅)>의 각궁(角弓)편에 실린 풍자시. 주나라 유왕이 간신을 가까이하고 종족(宗族)을 멀리하는 것을 풍자하였다.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爪角 획순 (조) : 짐승의 발톱과 뿔이라는 뜻으로, 자신을 적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汝墻折(여장절) : 너의 담장이 뿔을 부러뜨렸다는 뜻으로, 네 집 담장이 없었으면 내 소의 뿔이 부러지지 않았을 거라고 우겨대는 것처럼 자기 잘못으로 생긴 손해를 남에게 넘겨씌우려고 트집 잡는 속담을 한역한 말.
  • 之勢(호지세) : 역량이 서로 비슷비슷한 위세.
  • 逐(축) : 서로 이기려고 다투며 덤벼듦.

  • 他弓莫輓 획순 莫輓(타막만) : 남의 활을 당겨 쏘지 말라는 뜻으로, (1) 무익한 일은 하지 말라는 말 (2) 자기(自己)가 닦은 것을 지켜 딴 데 마음 쓰지 말 것을 이르는 말.
  • 擧矢(양거시) : 활과 화살을 높이 든다는 뜻으로, ‘승리’를 이르는 말.
  • 之鳥(경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 之鳥(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 刺客奸人 획순 客奸人(객간인) : 남을 몰래 찔러 죽이는 사람과 남을 헐뜯고 이간질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마음씨가 몹시 모질고 악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股懸梁(고현량) :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懸梁股(현량고) : 머리털을 대들보에 묶고, 허벅다리를 찌른다는 뜻으로, 분발하여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 草之臣(초지신) : 예전에, 풀을 베는 천한 신하라는 뜻으로, 평민이 임금에 대하여 자신을 낮추어 이르던 말.


角弓刺(각궁자) 관련 한자

  • 貧者一燈 획순 貧者一燈(빈자일등)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雨露之澤(우로지택) : 이슬과 비의 덕택이라는 뜻으로, 왕의 넓고 큰 은혜를 이르는 말.
  • 嘗膽(상담) :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城狐社鼠 획순 城狐社鼠(성호사서) :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 移天易日(이천역일) : 하늘을 옮기고 해를 바꾼다는 뜻으로, 정권을 빼앗음을 이르는 말.
  • 拔眼中釘(발안중정) : 눈 속의 못을 뽑는다는 뜻으로, 눈에 박힌 못을 뽑듯이 눈에 가시 같은 간신을 제거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同惡相助 획순 同惡相助(동악상조) : 악인(惡人)도 악(惡)한 일을 이루기 위(爲)해서는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끼리 서로 도움을 이르는 말.
  • 內紛(내분) : 특정 조직이나 단체의 내부에서 자기편끼리 일으킨 분쟁.
  • 兩雄相爭(양웅상쟁) : 용과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강자끼리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

  • 濫竽 획순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堂內至親(당내지친) :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 亡國之恨(망국지한) : 나라가 망하여 없어진 것에 대한 한(恨).

  • 桑中之喜 획순 桑中之喜(상중지희) : 남녀 간의 불의(不義)의 쾌락이나 풍속의 퇴폐를 풍자하여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공실(公室)이 음탕하여 뽕나무밭에서 정을 통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冷語侵人(냉어침인) : (1)매정한 말로 남의 마음을 찌름. (2)비꼬는 말로 남을 풍자함.
  • 獺祭魚(달제어) : 수달(水獺)이 물고기를 잡아 제사 지내는 것처럼 사방에 늘어놓는다는 뜻으로, 시문(詩文)을 지을 때에 많은 참고 서적을 벌여 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提耳面命 획순 提耳面命(제이면명) : 귀에 입을 가까이하고 얼굴을 맞대고 가르쳐 명함. 또는 간곡히 타이르고 가르침.
  • 減膳撤樂(감선철악) : 나라에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가 있을 때에 임금이 몸소 근신하는 뜻으로 수라상의 음식 가짓수를 줄이고 노래와 춤을 가까이하지 아니하던 일.
  • 門前沃畓(문전옥답) : 집 가까이에 있는 기름진 논.

  • 三槐 획순 三槐(삼괴) : ‘삼공’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때에 조정의 뜰에 세 그루의 회화나무를 심고 삼공이 이를 향하여 앉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天官(천관) : (1)조선 시대에 ‘이조 판서’를 달리 이르던 말. 육조(六曹)의 판서 가운데 으뜸이라는 뜻이다. (2)중국 주나라 때에 둔, 육관의 하나. 국정(國政)을 총괄하고 궁중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이다. (3)‘이조’를 달리 이르던 말.
  • 以鼠爲璞(이서위박) : 쥐를 보옥으로 여긴다는 뜻으로, 아무 쓸모 없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정(鄭)나라에서는 다듬지 않은 옥(玉)을 박(璞)이라 하고, 주(周)나라에서는 포를 뜨지 않은 쥐를 박(璞)이라 하였는데, 주나라 사람이 정나라 장사꾼에게 박(璞)을 사겠느냐고 하자 정나라 장사꾼이 그러겠다고 했으나 막상 다른 것임을 알고 사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벼슬 88 #방법 59 #인간 65 #가운데 104 #이름 211 #죽음 73 #상대 56 #근심 65 #구름 67 #바람 136 #사용 312 #아내 81 #목숨 58 #태도 72 #고사 108 #행동 137 #모습 66 #지위 65 #형용 67 #마음 496 #이치 67 #자신 208 #생각 236 #부모 136 #조금 96 #처음 91 #사이 200 #관계 90 #학문 107 #어버이 60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535개) : 가거주, 가거지, 가겟집, 가격적, 가격제, 가결전, 가경자, 가경전, 가경절, 가경제, 가경지, 가계적, 가계정, 가계주, 가곡집, 가공자, 가공적, 가공주, 가공지, 가관절, 가교자, 가교적, 가교제, 가구자, 가구재, 가구전, 가구점, 가구제, 가구주, 가권진, 가극장, 가글제, 가금질, 가급적, 가급전, 각가지, 각경증, 각관자, 각궁자, 간강지, 간격자, 간과자, 간기중, 갈가지, 갈각지, 갈감자, 갈개잠, 갈개질, 갈갬질, 갈거지, 갈고지, 갈구지, 갈급증, 감가제, 감각자, 감각적, 감각점, 감감제, 감격적, 감고장, 감광점, 감광제, 감광지, 감국전, 감귤잼, 감귤주, 감귤즙, 감극제, 감금자, 감금죄, 갑각질, 갑갑증, 갓갓지, 강간자, 강간적, 강간제, 강간죄, 강강지, 강겨자, 강경증, 강계지, 강고집, 강공제, 강교점, 강구조, 강권자, 강급자, 갖가지, 개가제, 개가죽, 개간자, 개간지, 개고지, 개관적, 개관전, 개관중, 개괄적, 개구장, 개국자, 개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