跖拘吠堯(척구폐요) 풀이

跖拘吠堯

척구폐요

도둑인 척(跖)임금을 보고 짖는다는 뜻으로, (1) 자기(自己) 상전(上典)에게 충실(充實)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2) 악(惡)한 편에 서서 어진 사람을 미워함을 이르는 말.

#상전 #임금 #비유 #충실 # #도둑 #사람


한자 풀이:
  • (발바닥 ): 발바닥, 밟다, 사람 이 름, 춘추 시대 큰 도둑떼의 우두머리.
  • (잡을 ): 잡다, 안다, 잡힘, 껴안음, 거리끼다.
  • (짖을 ): 짖다, 개 짖는 소리.
  • (요임금 ): 요임금, 높다, 풍요하다.
🍉 跖拘吠堯(척구폐요) 웹스토리 보기
跖拘吠堯(척구폐요)의 의미: 도둑인 척(跖)임금을 보고 짖는다는 뜻으로, (1) 자기(自己) 상전(上典)에게 충실(充實)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2) 악(惡)한 편에 서서 어진 사람을 미워함을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吠日之怪 획순 日之怪(일지괴) : 해를 보고 짖는 괴이함이라는 뜻으로, 비 오는 날이 많은 蜀(촉) 땅의 개가 해가 뜨면 괴이하게 여겨 짖는 것에서 신기한 것을 보고 놀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鷄鳴狗(계명구) : 닭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인가(人家)가 잇대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桀犬堯(걸견요) : 걸왕의 개가 요임금을 향하여 짖는다는 뜻으로, 각자 자기의 주인에게 충성을 다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악인의 앞잡이가 선량한 사람을 공격함을 비유하기도 한다. ≪사기(史記)≫의 <회음후전(淮陰侯傳)>에 나오는 말이다.
  • 鳥喧蛇登樹犬客到門(조훤사등수견객도문) : 새가 지저귀니 뱀이 나무로 올라가고, 개가 짖으니 손님이 문에 이름.

  • 見堯於墻 획순 於墻(견어장) : 항상(恒常) 잊지 않음을 이르는 말.
  • 長舜短(장순단) : 요임금은 크고 순임금은 작다는 뜻으로, 성인(聖人)의 품격이나 가치는 외모와는 상관이 없다는 것을 이르는 말.
  • 桀犬吠(걸견폐) : 걸왕의 개가 요임금을 향하여 짖는다는 뜻으로, 각자 자기의 주인에게 충성을 다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악인의 앞잡이가 선량한 사람을 공격함을 비유하기도 한다. ≪사기(史記)≫의 <회음후전(淮陰侯傳)>에 나오는 말이다.
  • 風舜雨(풍순우) : 요임금의 바람과 순임금의 비라는 뜻으로, 요순(堯舜)의 인덕(仁德)이 온 세상에 베풀어짐을 풍우의 혜택에 견준 말인데, 전하여 태평한 세상을 이름.


跖拘吠堯(척구폐요) 관련 한자

  • 同惡相助 획순 同惡相助(동악상조) : 악인(惡人)도 악(惡)한 일을 이루기 위(爲)해서는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끼리 서로 도움을 이르는 말.
  • 大惡無道(대악무도) : 대단히 악독하고 사람의 도리에 어긋나 있음.
  • 刺客奸人(자객간인) : 남을 몰래 찔러 죽이는 사람과 남을 헐뜯고 이간질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마음씨가 몹시 모질고 악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人鬼相半 획순 人鬼相半(인귀상반)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風木之悲(풍목지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割鷄牛刀(할계우도)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백성 105 #관계 90 #자리 94 #어려움 105 #상대 56 #바람 136 #얼굴 99 #유래 280 #처음 91 #정도 153 #의미 1817 #소리 96 #이익 89 #편안 62 #모양 142 #세월 71 #실패 56 #문장 59 #속담 63 #고사 108 #사물 172 #학문 107 #이름 211 #재주 82 #물건 136 #지위 65 #생각 236 #은혜 70 #부모 136 #훌륭 85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4개) : 척구폐요, 청구풍아, 촉견폐일, 추간판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