酒池肉林(주지육림) 풀이

酒池肉林

주지육림

술로 연못을 이루고 고기로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호사스러운 술잔치를 이르는 말. 중국 은나라 주왕이 못을 파 술을 채우고 숲의 나뭇가지에 고기를 걸어 잔치를 즐겼던 일에서 유래한다.

# #호사 #잔치 #퇴폐 #은나라 # #연못 #나뭇가지 #중국 # #유래 #생활 #주왕


한자 풀이:
  • (술 ): 술, 물, 주연(酒宴).
  • (못 ): 못, 해자(垓字), 물길, 벼루 따위에 물이 괴게 오목한 곳, 홈통.
  • (고기 ): 고기, 옥 둘레, 살, 구멍이 뚫린 돈이나 옥의 몸 부분, 근육.
  • (수풀 ): 수풀, 사물이 많이 모이는 곳, 같은 동아리, 들, 많다.
🥝 酒池肉林(주지육림) 웹스토리 보기
酒池肉林(주지육림)의 의미: 술로 연못을 이루고 고기로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호사스러운 술잔치를 이르는 말. 중국 은나라 주왕이 못을 파 술을 채우고 숲의 나뭇가지에 고기를 걸어 잔치를 즐겼던 일에서 유래한다.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把酒臨風 획순 臨風(파임풍) : 술잔을 잡고 바람에 임한다는 뜻으로, 술잔을 손에 잡고 불어오는 맑은 바람의 풍광을 맞이하는 것처럼 여유롭고 자적(自適)하는 경지를 이르는 말.
  • 肥肉大(비육대) : 살찐 고기와 맛좋은 술이라는 뜻으로, 호화스러운 요리의 의미.
  • 囊飯袋(낭반대) : 술을 담는 부대와 밥을 담는 주머니라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축내며 일은 아니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色雜技(색잡기) : 술과 여자와 노름을 아울러 이르는 말.


酒池肉林(주지육림) 관련 한자

  • 貧者一燈 획순 貧者一燈(빈자일등)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雨露之澤(우로지택) : 이슬과 비의 덕택이라는 뜻으로, 왕의 넓고 큰 은혜를 이르는 말.
  • 嘗膽(상담) :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 天方地方 획순 天方地方(천방지방)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可與樂成(가여낙성)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刎頸之友 획순 刎頸之友(문경지우)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七步之才(칠보지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炮烙之刑 획순 炮烙之刑(포락지형) : (1)뜨겁게 달군 쇠로 살을 지지는 형벌. (2)중국 은나라 주왕(紂王) 때, 기름칠한 구리 기둥을 숯불 위에 걸쳐 놓고 죄인을 그 위로 건너가게 하던 형벌.
  • 湯武放伐(탕무방벌) : 탕왕과 무왕이 쫓아내어 죽인다는 뜻으로, 중국 고대 은(殷)나라의 탕왕(湯王)이 하(夏)나라의 걸왕(桀王)을 내치고,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이 은나라 주왕(紂王)을 친 폭군을 정벌한 역성혁명(易姓革命)을 일컫는 말.

  • 刎頸之友 획순 刎頸之友(문경지우)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七步之才(칠보지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盛衰興廢 획순 盛衰興廢(성쇠흥폐) : 성하고 쇠하며, 흥하고 폐한다는 뜻으로, 융성과 쇠퇴, 흥왕(興旺)과 퇴폐하는 일을 의미함.
  • 桑中之喜(상중지희) : 남녀 간의 불의(不義)의 쾌락이나 풍속의 퇴폐를 풍자하여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공실(公室)이 음탕하여 뽕나무밭에서 정을 통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胡思亂量 획순 胡思亂量(호사난량) : 몹시 뒤엉키어 어수선하게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 輕衣肥馬(경의비마) : (1)가벼운 비단옷과 살진 말이라는 뜻으로, 호사스러운 차림새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가벼운 차림새로 살진 말을 탐.

  • 炮烙之刑 획순 炮烙之刑(포락지형) : (1)뜨겁게 달군 쇠로 살을 지지는 형벌. (2)중국 은나라 주왕(紂王) 때, 기름칠한 구리 기둥을 숯불 위에 걸쳐 놓고 죄인을 그 위로 건너가게 하던 형벌.
  • 桑林之說(상림지설) : 중국 은나라의 탕왕이 하늘에 기우제를 지내고 비를 내리게 했다는 이야기.

  • 同根連枝 획순 同根連枝(동근연지) : 같은 뿌리와 잇닿은 나뭇가지라는 뜻으로, 형제(兄弟), 자매(姉妹)를 일컫는 말.
  • 折枝之易(절지지이) : 나뭇가지를 꺾는 것과 같이 쉽다는 뜻으로, 대단히 용이(容易)한 일을 이르는 말.
  • 許由掛瓢(허유괘표) :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자리 94 #지위 65 #얼굴 99 #집안 93 #속담 63 #정도 153 #때문 58 #사용 312 #죽음 73 #자식 104 #형용 67 #생각 236 #모습 66 #바람 136 #세상 339 #사람 1461 #물건 136 #이치 67 #자연 73 #유래 280 #조금 96 #하늘 251 #목숨 58 #재주 82 #여자 101 #편안 62 #태도 72 #시대 114 #의지 69 #아침 7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48개) : 자진아리, 재작업률, 전자오락, 전전유랑, 전전율률, 점줄우럭, 조준어로, 주자어류, 주정음료, 주지육림, 줄잡이료, 중전음률, 지저아래, 지질영력, 잔존 용량, 저장 용량, 적정 용량, 전주 압력, 전지 용량, 접지 용량, 접지 입력, 정자 유리, 정재 여령, 정적 양력, 정적 에러, 정적 오류, 정전 용량, 정제 연료, 정지 압력, 정지 용량, 정지 응력, 조절 이론, 조정 용량, 조종 이론, 조직 원리, 조직 윤리, 조직 이론, 존재 응력, 주조 응력, 지점 우량, 지지 압력, 지지 여론, 지지 응력, 직접 염료, 직접 입력, 직주 어뢰, 집중 용량, 집중 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