錦心繡口(금심수구) 풀이

錦心繡口

금심수구

비단같이 아름다운 생각과 수놓은 듯이 아름다운 말이라는 뜻으로, 글을 짓는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재주 #마음 # #마음씨 #글재주 #아름 #생각 #비단 #칭찬 #말씨 #사람


한자 풀이:
  • (비단 ): 비단, 아름답다, 여러 빛깔로 무늬를 넣어 짠 비단, 아름다운 것의 비유.
  • (마음 ): 마음, 염통, 가슴, 한가운데, 도(道)의 본원(本原).
  • (수 ): 수, 생초(生綃), 수놓다, 생명주(生明紬).
  • (입 ): 입, 어귀, 구멍 난 곳, 아가리, 식구 또는 사람을 세는 단위.
🍉 錦心繡口(금심수구) 웹스토리 보기
錦心繡口(금심수구)의 의미: 비단같이 아름다운 생각과 수놓은 듯이 아름다운 말이라는 뜻으로, 글을 짓는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錦繡江山 획순 繡江山(수강산) :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廻文織(회문직) : 비단으로 회문(回文)을 짜 넣다라는 뜻으로, 구성(構成)이 절묘(絶妙)한 훌륭한 문학작품(文學作品)을 비유(比喩)함.
  • 尙絅(의상경) : 비단 옷에 오히려 홑옷이라는 뜻으로, 비단 옷 위에 얇은 홑옷을 더 입어 표시 안 나게 하는 것처럼 군자(君子)는 미덕이 있어도 드러내지 않음을 비유한 말.
  • 夜行(의야행) : 비단옷을 입고 밤에 다닌다는 뜻으로, 모처럼 성공하였으나 남에게 알려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

  • 錦繡江山 획순 江山(금강산) :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夜行被(야행피) : 수놓은 좋은 옷을 입고 밤길을 간다는 뜻으로, 공명이 세상에 알려지지 않아 아무 보람도 없음을 이르는 말.


錦心繡口(금심수구) 관련 한자

  • 魂飛中天 획순 魂飛中天(혼비중천)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齒亡脣亦支(치망순역지) :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말.
  • 愚問賢答(우문현답)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雄辭健筆 획순 雄辭健筆(웅사건필) : 웅장한 말씨와 웅건한 글씨라는 뜻으로, 말 잘하고 글 잘 쓰는 것을 가리키는 말.
  • 身言書判(신언서판) : (1)중국 당나라 때에 관리를 선출하던 네 가지 표준. 즉 체모(體貌)의 풍위(豐偉), 언사(言辭)의 변정(辯正), 해법(楷法)의 준미(遵美), 문리(文理)의 우장(優長)을 이른다. (2)예전에, 인물을 선택하는 데 표준으로 삼던 조건. 곧 신수, 말씨, 문필, 판단력의 네 가지를 이른다.

  • 垂于竹帛 획순 垂于竹帛(수우죽백) : 대나무와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죽간(竹簡)이나 비단에 글을 써서 기록으로 남긴 것에서 이름을 역사에 남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錦繡江山(금수강산) :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廻文織錦(회문직금) : 비단으로 회문(回文)을 짜 넣다라는 뜻으로, 구성(構成)이 절묘(絶妙)한 훌륭한 문학작품(文學作品)을 비유(比喩)함.

  • 瓊枝玉葉 획순 瓊枝玉葉(경지옥엽) : (1)옥으로 된 가지와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 錦繡江山(금수강산) :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金聲玉振(금성옥진) : (1)시가(詩歌)나 음악의 아름다운 가락. (2)사물을 집대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은 종(鐘), 옥은 경(磬)을 뜻하는 것으로, 팔음(八音)을 합주할 때에 종을 쳐서 시작하고 마지막에 경을 치는 데서 유래한다. (3)지(智)와 덕(德)을 아울러 갖춘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사상이나 언론이 세상에 널리 알려져 존중받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七步之才 획순 七步之才(칠보지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水湧山出(수용산출) :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 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詠雪之才(영설지재) :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국 진나라 사(謝) 씨의 딸이 시를 짓는데 눈을 보고 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 面讚我善諂諛之人 획순 面讚我善諂諛之人(면찬아선첨유지인) : 면전(面前)에서 나를 착하다고 칭찬(稱讚)하는 사람이라면 아첨(阿諂)하는 사람임.
  • 賞功(상공) : 세운 공을 칭찬하여 상을 줌.
  • 筆削褒貶(필삭포폄) : 쓰고 삭제하고 칭찬하고 나무란다는 뜻으로, 글에 대해 쓸 곳은 써 넣고 지울 곳은 지우고, 칭찬해야 할 곳은 칭찬하고, 나무랄 곳은 나무라는 공자의 춘추필법(春秋筆法)의 의미처럼 대의명분(大義名分)을 밝혀 세우는 사필(史筆)의 준엄한 논법(論法)의 의미.

  • 七步之才 획순 七步之才(칠보지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詠雪之才(영설지재) :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국 진나라 사(謝) 씨의 딸이 시를 짓는데 눈을 보고 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 七步才(칠보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刺客奸人 획순 刺客奸人(자객간인) : 남을 몰래 찔러 죽이는 사람과 남을 헐뜯고 이간질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마음씨가 몹시 모질고 악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正人君子(정인군자) : 마음씨가 올바르며 학식과 덕행이 높고 어진 사람.

#따위 228 #어버이 60 #재주 82 #정도 153 #모양 142 #고사 108 #사용 312 #부모 136 #세월 71 #나이 97 #조금 96 #서로 71 #표현 88 #아내 81 #자신 208 #자연 73 #천하 94 #소리 96 #근본 66 #사이 200 #편안 62 #나무 166 #유래 280 #인간 65 #상태 110 #아침 72 #이치 67 #사람 1461 #재앙 64 #세상 33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1개) : 가실심기, 각사수교, 감석성경, 강산승경, 개산시간, 결산선거, 결석신고, 계산세기, 계선사격, 고순시국, 고신서경, 과실상규, 구순성격, 구심실구, 국수사과, 귀시시개, 극성수기, 금색세계, 금속사기, 금심수구, 기수소관, 기술설계, 가사 사건, 가사 시간, 가산 세금, 가산 시간, 가상 상가, 가상 설계, 가상 세계, 가속 상각, 가속 시간, 가스 사고, 가스 살균, 가스 소거, 가슴 신경, 간섭 소거, 간섭 시간, 감사 사건, 감산 시간, 감성 소구, 감소 시간, 감속 시간, 감쇠 시간, 감수성 균, 갑상 설관, 건설 설계, 건식 선거, 건식 시금, 검사 설계, 견성 성공, 견습 사관, 경사 습곡, 경상 설골, 경성 사기, 경수 신경, 계산 시간, 계속 시간, 고삭 신경, 고샅 삼각, 고속 상각, 고실 소골, 고실 소관, 고실 신경, 곡사 사격, 골수 생검, 곱셈 시간, 공사 설계, 공생 세균, 공식 사과, 과소 상각, 과소 신고, 과실 상계, 관성 시간, 광 송신기, 광 수신기, 괘서 사건, 교수 설계, 구속 수감, 구속 시간, 구슬 세공, 구심 신경, 군 수송기, 귀선 소거, 귀선 시간, 귀속 시기, 극소 성격, 금속 상감, 급속 사격, 기상 시간, 기수 시기, 간 속 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