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 , 문간 , 집안 , 가문 , 일가
  • 좌우 두 짝으로 이루어진 문의 닫힌 모양, ‘문’ 의미를 지님.

# 에 관한 한자 모두 79

  • 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 획순 好事不出惡事行千里(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 :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好: 좋을 事: 不: 아니 出: 門: 惡: 악할 事: 行: 千: 일천 里: 마을

  • 門外漢 획순 外漢(문외한) : (1)어떤 일에 직접 관계가 없는 사람. (2)어떤 일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
    門: 外: 바깥 漢: 한수

  • 開門納賊 획순 納賊(개문납적) : 문을 열어 도둑이 들어오게 한다는 뜻으로, 제 스스로 화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開: 門: 納: 들일 賊: 도둑

  • 禍福無門惟人自招 획순 禍福無惟人自招(화복무문유인자초) : 화와 복에는 문이 따로 없음. 오직 사람이 스스로 부르는 것임.
    禍: 재난 福: 無: 없을 門: 惟: 생각할 人: 사람 自: 스스로 招: 부를

  • 屠門大嚼 획순 大嚼(도문대작) : 조선 시대에, 허균이 전국 팔도의 식품과 명산지에 관하여 적은 책.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식품 전문서이다. 1권.
    屠: 잡을 門: 大: 嚼: 씹을

  • 有將(장문유장) : 장수(將帥) 집안에서 장수(將帥)가 남.
    將: 장수 門: 有: 있을 將: 장수

  • 一針(정문일침) : 정수리에 침을 놓는다는 뜻으로, 사람의 급소를 짚어 따끔한 훈계를 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頂: 정수리 門: 一: 針: 바늘

  • 同學(동문동학) : 한 스승 밑에서 함께 학문을 배우거나 수업을 받음.
    同: 한가지 門: 同: 한가지 學: 배울

  • 崇祖尙(숭조상문) :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中)을 위함.
    崇: 높을 祖: 할아비 尙: 오히려 門:

  • 萬戶(천문만호) : (1)수많은 백성들의 집. (2)대궐의 많은 문호를 이르는 말.
    千: 일천 門: 萬: 일만 戶: 지게

  • 無相解脫(무상해탈문) : 삼 해탈문의 하나. 모든 법(法)은 공(空)으로서 차별상(差別相)이 없다고 보고, 자재경(自在境)에 들어가는 선정(禪定)을 이른다.
    無: 없을 相: 서로 解: 脫: 벗을 門:

  • 賊出關(적출관문) : 도둑이 나간 뒤에 문을 닫는다는 뜻으로,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의미.
    賊: 도둑 出: 關: 빗장 門:

  • 前沃畓(문전옥답) : 집 가까이에 있는 기름진 논.
    門: 前: 沃: 기름질 畓:

  • 之嘆(북문지탄) : 북문에서 한탄(恨歎)함이라는 뜻으로, 벼슬자리에 나가기는 하였으나, 뜻대로 성공(成功)하지 못한 것을 한탄(恨歎)함.
    北: 북녘 門: 之: 嘆: 탄식할

  • 之禍(멸문지화) : 한 집안이 다 죽임을 당하는 끔찍한 재앙.
    滅: 멸망할 門: 之: 禍: 재난

  • 造車(폐문조거) : 문을 닫고 수레를 만든다는 뜻으로, 실제 상황에 부합하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자기 고집이나 생각대로만 일을 처리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閉: 닫을 門: 造: 지을 車: 수레

  • 投食(망문투식) : 노자가 떨어졌을 때에 남의 집을 찾아가서 얻어먹음.
    望: 바랄 門: 投: 던질 食:

  • 山林下(산림문하) : 학덕은 높으나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산속에 숨어 사는 선비의 제자.
    山: 林: 수풀 門: 下: 아래

  • 而望(의문이망) : 어머니가 대문에 기대어 서서 자식이 돌아오기를 기다림. 또는 그런 어머니의 마음.
    倚: 의지할 門: 而: 말 이을 望: 바랄

  • 口禍之(구화지문) : 화는 입으로부터 생기므로 말을 삼가야 함.
    口: 禍: 재난 之: 門:

  • 旌表閭(정표문려) : 정문(旌)을 세워 효자(孝子)와 열녀(烈女)를 표창(表彰)하고 알림.
    旌: 表: 門: 閭: 이문

  • 之歎(북문지탄) : 북문에서 한탄(恨歎)함이라는 뜻으로, 벼슬자리에 나가기는 했으나, 뜻대로 성공(成功)하지 못한 것을 한탄(恨歎)함.
    北: 북녘 門: 之: 歎: 탄식할

  • 大姓家(대성가문) : 후손이 번성하고 세력이 있는 집안.
    大: 姓: 家: 門:

  • 巨族(명문거족) : 이름나고 크게 번창한 집안.
    名: 이름 門: 巨: 族: 겨레

  • 弄斧(반문농부) : 자신의 실력도 헤아리지 아니하고 어떤 일을 하려고 당치 아니하게 덤비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 기계를 잘 만드는 반수(班輸)라는 사람을 흉내 내어, 그의 집 문 앞에서 도끼를 가지고 기계를 만들려고 한 어리석은 사람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班: 나눌 門: 斧: 도끼

  • 夜不閉(야불폐문) : 밤에 대문을 닫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세상이 태평하여 인심이 순박함을 이르는 말.
    夜: 不: 아니 閉: 닫을 門:

  • 不夜關(문불야관) : 문은 밤에 잠그지 않는다는 뜻으로, 도적이 없어 문을 잠그지 않는 태평성대(太平聖代 )의 세상이라는 의미.
    門: 不: 아니 夜: 關: 빗장

  • 盲人直(맹인직문) :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盲: 소경 人: 사람 直: 곧을 門:

  • 堂戶對(문당호대) : (1) 문벌(閥)이 서로 어슷비슷함 (2) 결혼(結婚) 조건(條件)이 갖추어진 상대(相對).
    門: 堂: 戶: 지게 對: 대답할

  • 不納(거문불납) : 문을 닫고 들이지 않음.
    拒: 막을 門: 不: 아니 納: 들일

  • 立雪(정문입설) : 정(程)씨 문 앞에 서서 눈을 맞는다는 뜻으로, 제자(弟子)가 스승을 존경(尊敬)함을 이르는 말.
    程: 門: 雪:

  • 眼(정문안) : 모든 사물의 이치를 환히 아는 특별한 안력(眼力). 본디 두 눈 외에 정수리에 있는 또 하나의 눈이라는 뜻이다.
    頂: 정수리 門: 眼:

  • 子弟(명문자제) : 이름난 집안의 자제.
    名: 이름 門: 子: 아들 弟: 아우

  • 東西日月南北鴻雁路(동서일월문남북홍안로) : 동과 서는 해와 달의 문이요, 남과 북은 기러기의 길임.
    東: 동녘 西: 서녘 日: 月: 門: 南: 남녘 北: 북녘 鴻: 큰기러기 雁: 기러기 路:

  • 不出(두문불출) : (1)집에만 있고 바깥출입을 아니함. (2)세상을 피하여 집에서 숨어 살면서 나라나 사회의 일을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杜: 팥배나무 門: 不: 아니 出:

  • 前雀羅(문전작라) : 문 앞에 참새 그물을 친다는 뜻으로, 권력이나 재물을 잃으면 찾아오는 사람이 드물어짐을 이르는 말.
    門: 前: 雀: 참새 羅: 그물

  • 鳥喧蛇登樹犬吠客到(조훤사등수견폐객도문) : 새가 지저귀니 뱀이 나무로 올라가고, 개가 짖으니 손님이 문에 이름.
    鳥: 喧: 떠들썩할 蛇: 登: 오를 樹: 나무 犬: 吠: 짖을 客: 到: 이를 門:

  • 圭竇(필문규두) : 섶나무 울타리 사립문과 모나고 둥근 허술한(규격이 없는) 창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篳閨竇’으로도 표현함.
    篳: 사립문 門: 圭: 竇: 구멍

  • (사문) : 부지런히 모든 좋은 일을 닦고 나쁜 일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뜻으로, 불문에 들어가서 도를 닦는 사람을 이르는 말.
    沙: 모래 門:

  • 爲朋(동문위붕) : 같은 스승 밑에서 공부(工夫)한 벗.
    同: 한가지 門: 爲: 朋:

  • 勢家(권문세가) : 벼슬이 높고 권세가 있는 집안.
    權: 저울추 門: 勢: 기세 家:

  • 禍福同(화복동문) : 화나 복은 모두 자신(自身)이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禍: 재난 福: 同: 한가지 門:

  • 洞開獄(통개옥문) : 은사(恩赦)로 죄의 경중을 가리지 아니하고 모든 죄인을 풀어 주던 일.
    洞: 밝을 開: 獄: 門:

  • 婆羅行(바라문행) : 승려의 건방지고 거친 행동.
    婆: 음역자 羅: 그물 門: 行:

  • 僧敲月下(승고월하문) : 스님이 달빛 아래에서 문을 두드린다는 뜻으로, 당(唐)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시구를 완성하지 못하고 ‘推(퇴)’자와 ‘敲(고)’자를 고민하던 고사 퇴고(推敲)의 유래가 된 <題李凝幽居>의 구절.
    僧: 敲: 두드릴 月: 下: 아래 門:

  • 點額(용문점액) : 용문에서 이마에 점을 찍는다는 뜻으로, 용문 아래에서 위로 오른 물고기는 용이 되지만, 그렇지 못하면 머리를 부딪혀 상처만 입는다는 고사에서 과거에 낙방해 돌아오는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門: 點: 額: 이마

  • 絶戶(멸문절호) : 집안을 멸망시키고 가문을 끊어지게 한다는 뜻으로, 일문일가(一一家)를 모두 전멸시킨다는 의미.
    滅: 멸망할 門: 絶: 끊을 戶: 지게

  • 迎入(개문영입) : 문을 열어 손님 따위를 반가이 맞아들임.
    開: 門: 迎: 맞을 入:

  • 之患(멸문지환) : 한 집안이 다 죽임을 당하는 끔찍한 재앙.
    滅: 멸망할 門: 之: 患: 근심

  • 令出多(령출다문) : (1)명령 계통이 문란하여 한 가지 일에 대하여 여러 곳에서 각기 다른 명령을 내림. (2)‘영출다문’의 북한어.
    出: 多: 많을 門:

  • 往生(계문왕생) : 계율을 잘 지킨 공덕으로 극락에서 태어남.
    戒: 경계할 門: 往: 生:

  • 拒虎後進狼(전문거호후문진랑) : 앞문에서 호랑이를 막으니 뒷문에서 이리가 닥쳐온다는 뜻으로, (1) 어려움이 지나자, 또 다른 어려움이 닥침 (2) 재화(災禍)가 빈번(頻煩)히 닥침.
    前: 門: 拒: 막을 虎: 後: 門: 進: 나아갈 狼: 이리

  • (형문) : (1)두 기둥에다 한 개의 가로 막대를 질러 만든 허술한 대문. (2)은자(隱者)가 사는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衡: 저울대 門:

  • 家家前(가가문전) : 집집마다의 문 앞.
    家: 家: 門: 前:

  • 義路(예문의로) : 예의 문과 의의 길이라는 뜻으로, 예는 군자가 출입하는 문이고, 의는 군자가 걸어가는 길을 의미하는 군자의 실천적 가치를 표현하는 말. <출전 - 孟子>.
    門: 義: 옳을 路:

  • (봉문) : (1)쑥으로 지붕을 인 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나 숨어 사는 사람의 집을 이르는 말. (2)자기 집을 낮추어 이르는 말.
    蓬: 門:

  • 無願解脫(무원해탈문) : 일체를 바라거나 구할 것이 없다고 깨달아 이르는 해탈의 경지를 이르는 말.
    無: 없을 願: 원할 解: 脫: 벗을 門:

  • 無作解脫(무작해탈문) : 삼 해탈문의 하나. 일체를 바라거나 구할 것이 없다고 깨달아 이르는 해탈의 경지를 이른다.
    無: 없을 作: 지을 解: 脫: 벗을 門:

  • 政出多(정출다문) : 정사(政事)가 나오는 문이 많다는 뜻으로, 문외한으로서 정치에 대하여 아는 체하는 사람이 많음을 이르는 말.
    政: 정사 出: 多: 많을 門:

  • 好事不出(호사불출문) : 좋은 일은 좀처럼 세상에 알려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
    好: 좋을 事: 不: 아니 出: 門:

  • 林下儒(임하유문) : 초야에 묻혀 학문에만 힘을 쏟는 선비.
    下: 아래 儒: 선비 門:

  • 盲者直(맹자직문) :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盲: 소경 者: 直: 곧을 門:

  • 大道無(대도무문) : 큰 깨달음이나 진리에 이르는 데에는 정해진 길이나 방식이 없음.
    大: 道: 無: 없을 門:

  • 揖盜(개문읍도) : 문을 열어 도둑을 맞이한다는 뜻으로, 상황을 깨닫지 못하고 스스로 화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開: 門: 揖: 읍할 盜: 도둑

  • 寡婦(망문과부) : 정혼한 남자가 죽어서 시집도 가 보지 못하고 과부가 되었거나, 혼례는 하였으나 첫날밤을 치르지 못하여 처녀로 있는 여자.
    望: 바랄 門: 寡: 적을 婦: 며느리

  • 南大入納(남대문입납) : (1)주소를 알 수 없는 편지 또는 주소나 이름을 모르고 집을 찾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줄거리나 골자를 알 수 없는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南: 남녘 大: 門: 入: 納: 들일

  • 之禍(북문지화) : ‘기묘사화’를 달리 이르는 말. 남곤이 정식 절차를 밟지 않고, 밤중에 비밀리에 경복궁의 북문인 신무문을 열게 하고 들어가서 화를 일으켰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北: 북녘 門: 之: 禍: 재난

  • 開顯(본문개현) : 법화경에서, 석가모니가 자신이 보리수 아래에서 성불한 새로운 부처가 아니라 구원겁(久遠劫) 전의 근본 부처임을 밝힌 일.
    本: 門: 開: 顯: 나타날

  • 鳥宿池邊樹僧敲月下(조숙지변수승고월하문) : 새는 못가의 나무에서 잠자고, 스님은 달 아래의 문을 두드림.
    鳥: 宿: 묵을 池: 邊: 樹: 나무 僧: 敲: 두드릴 月: 下: 아래 門:

  • 盲者正(맹자정문) : 맹자가 정문을 바로 찾아 들어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盲: 소경 者: 正: 바를 門:

  • 金椎(정문금추) : 정수리를 쇠망치로 두들긴다는 뜻으로, 정신을 바짝 차리도록 깨우침을 이르는 말.
    頂: 정수리 門: 金: 椎: 몽치

  • 一鍼(정문일침) : 정수리에 침을 놓는다는 뜻으로, 따끔한 충고나 교훈을 이르는 말.
    頂: 정수리 門: 一: 鍼:

  • 世族(명문세족) : (1)이름나고 세력이 있는 집안 일족. (2)대대로 나라의 중요한 벼슬을 하여 집안의 운명과 나라의 운명을 함께하는 집안.
    名: 이름 門: 世: 인간 族: 겨레

  • 禍福無(화복무문) : 화복은 운명적인 것이 아니라 사람이 선한 일을 하거나 악한 일을 함에 따라서 각기 받는다는 말.
    禍: 재난 福: 無: 없을 門:

  • 前成市(문전성시) :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집 문 앞이 시장을 이루다시피 함을 이르는 말. ≪한서≫의 <정숭전(鄭崇傳)>에 나오는 말이다.
    門: 前: 成: 이룰 市: 저자

  • 紫塞(안문자색) : 기러기가 북으로 가는 고로 안문(雁)이라 했고, 흙이 붉은 고로 자색(紫塞)이라 함.
    鴈: 기러기 門: 紫: 자주빛 塞: 막을

  • 登龍(등룡문) : (1)용문(龍)에 오른다는 뜻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여 크게 출세하게 됨. 또는 그 관문을 이르는 말. 잉어가 중국 황허강(黃河江) 중류의 급류인 용문을 오르면 용이 된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2)용문(龍)에 오른다는 뜻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여 크게 출세하게 됨. 또는 그 관문을 이르는 말. 잉어가 중국 황허강(黃河江) 상류의 급류인 용문을 오르면 용이 된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규범 표기는 ‘등용문’이다. (3)‘등용문’의 북한어.
    登: 오를 門:

  • 而揖盜(개문이읍도) : 문을 열고 절까지 해가며 도둑을 맞이 한다는 뜻으로, 스스로 재화(災禍)를 자초하는 행동(行動)이나 태도(態度)를 말함.
    開: 門: 而: 말 이을 揖: 읍할 盜: 도둑

  • 洞開重(통개중문) : 겹겹이 닫힌 문을 활짝 열어 놓는다는 뜻으로, 출입이 금지된 곳을 개방함을 이르는 말.
    洞: 밝을 開: 重: 무거울 門:

#구름 67 #군자 56 #의미 1817 #노력 69 #얼굴 99 #목숨 58 #음식 79 #상태 110 #죽음 73 #사랑 91 #나이 97 #자연 73 #실패 56 #행동 137 #세상 339 #벼슬 88 #잘못 93 #신하 62 #이름 211 #의지 69 #표현 88 #형제 68 #예전 60 #물건 136 #편안 62 #사람 1461 #속담 63 #태도 72 #바람 136 #여자 101